$\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들의 가공식품 구매실태와 식품표시 인지 정도
A Study on Utilization of Processed Foods and Recognition of Food Labels among University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8 no.1, 2015년, pp.24 - 33  

이정실 (경동대학교 호텔조리학과) ,  오현근 (경동대학교 호텔조리학과) ,  최경순 (삼육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utilization of processed food and the recognition of food labels among 257 university students (201 females and 56 males) in Seoul and Kangwon-do.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most important considered information on food labels are shelf life, nutrition facts,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특히 대학생은 편의식 등의 가공식품을 선택할 기회가 많으므로 건강에 좋은 식품을 선택할 수 있는 정보의 제공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가공식품 구매실태와 식품표시 사항을 인지하는 정도 및 가공 식품의 선택과 관련된 요인 등을 분석하여 대학생들이 식품표시제를 효율적으로 이해하고 선택할 수 있도록 식품표시 관련 영양교육 자료를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양과 건강에 관련된 교양과목을 수강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가공식품의 식품표시에 대한 인식 중 식품 표시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무엇인가? 가공식품의 식품표시에 대한 인식은 Table 2와 같다. 대학생들이 식품표시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유통기한(34.6%), 영양성분(31.9%)이었다. Joo 등(2005)도 성인여성들이 식품표시의 중요도에서 제조연월일 및 유통기한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다고 하였다.
일반표시란 무엇인가? 식품표시제는 일반표시와 영양표시로 나눌 수 있다. 일반표시는 식품에 관한 정보 즉, 원재료명, 내용량, 제조일자, 유통기한, 영양성분, 식품첨가물, 주의사항표시 등에 관한 정보를 제품의 포장이나 용기에 표시한 것이다. 영양표시는 열량, 탄수화물, 당류, 단백질, 지방, 포화지방, 트랜스지방, 콜레스테롤 및 나트륨 등의 9가지 영양소와 기타 영양소의 식품 1회 제공량 당 들어있는 함량과 영양기준치의 %를 제시한 것이다(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2004).
식품표시제란 어떤 제도인가? 경제 수준의 향상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면서 질 좋은 식품을 통해 건강을 유지하려는 소비자의 욕구도 고급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가공식품 중에서도 어떤 제품을 선택할 것인지를 위한 식품표시의 중요성이 대두되었다(Kim & Kim 2001). 식품표시제란 생산자는 소비자에게 건전한 식생활을 할 수 있도록 정확한 구매정보를 제공하고, 소비자는 자신의 요구에 맞는 식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소비자를 보호하는 제도이다. 식품표시제는 일반표시와 영양표시로 나눌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n HK, Jin YH. 2009. Effect of the consumer recognition about food additives on the behavioral intention: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risk. J Foodservice Management 12:441-459 

  2. Bae YJ, Yeon JY. 2011. Dietary behaviors, processed food preferences and awareness levels of nutrition labels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living in middle region by breakfast eating. J Korean Dietetic Association 17:387-402 

  3. Choi BB. 2013. Dietary habits and behaviors of college students in the northern Gyeonggi-do region. Korean J Food & Nutr 36:404-413 

  4. Choi JH, Yi NY. 2013. The study of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s of university students regarding nutritional labeling. Korean J Food & Nutr 26:391-397 

  5. Choi MH, Youn SJ, Ahn YS, Seo KJ, Park KH, Kim GH. 2010. A survey on the consumer's recognition of food labeling in Seoul a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1555-1564 

  6. Chung EJ, Jeon JS, Ahn HS. 2010. Reading and understanding of food & nutrition labels and dietary behaviors of femal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J Korean Diet Assoc 16: 239-254 

  7. Chung HK, Kang JH, Lee HY. 2011. Usefulness, attitude for using and purchase intention on food labeling of housewives and university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16:86-97 

  8. Han MH, Choi KB, Lyu ES. 2014. Study on consumption patterns and degree of checking food-nutrition labeling of convenience foods at convenience stores by young adult workers in Busan.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309-317 

  9. Han WK, Lee GJ. 1991. A study on the consumer recognition of food safety and food additives. Korean J Soc Food Sci 7:23-34 

  10. Joo NM, Yoon JY, Kim OS, Ko YJ, Jung HA, Choi EY. 2005.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of food labeling system in Seoul and Geongsangmando area. Korean J Food Culture 20:525-531 

  11. Kim BR. 2007. A study on perceptions toward food safety of high school students in Chuncheon area.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9:119-131 

  12. Kim HC, Kim MR. 2001. Consumers' recognition and information need about food safety: Focused on pesticide residue, food borne illness, and food additives. Korean J Diet Cult 16:296-309 

  13. Kim JH, Lee SM. 2011. Effects of short-term food additive nutrition education including hands-on activities on food label use and processed-food consumption behaviors: among 5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16:539-547 

  14. Kim SA, Kim JS, Lo JM, Kim JW. 2014. Trends of perception and information needs on food additives of children and parents by analyzing the safety assessment reports of food additives in 2008-2013. Korean J Food Cook Sci 30:249-261 

  15. Kim SM, Kim JW. 2010. Development of risk communication strategy and educational homepage on food additive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5:240-252 

  16. Kim YJ, Jeon ER, Yoo MJ, Jung LH. 2012. Perception and utilization of food labelling system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Gwangju. J Korean Sci Food Nutr 41:796-806 

  17. Kim YS, Kim BR. 2012. Intake of snacks, and perceptions and use of food and nutrition labels by middle school students in Chuncheon a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1265-1273 

  18.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2004. Study on a strategic framework for mandatory nutrition labeling on food labels. 

  19. Kwon KI, Yoo SW, Kim SJ, Kang HN, Kim HN, Kim JY, Kim SY, Kim KL, Lee JH, Jung SM, Ock SW, Lee EJ, Kim JW, Kim MC, Park HK. 2010. A survey on customers' perception of nutrition labeling for processed food and restaurant meal. Korean J Nutr 43:181-188 

  20. Lee DH. 2012. Uneasy feeling on food additives and social perception on food. Safe Food 7:10-15 

  21. Lee JS. 2009. Perception on nutrition labeling of the processed food 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Busan.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4:430-440 

  22. Lee JW, Kim DS. 2003. Recognition of processed foods may affect the use of food labelings in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9:185-196 

  23. Lee KA, Kim HS. 2001. Consumers' understanding and preference for shelf life and ingredient listings in food label.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7:405-411 

  24. Lee KA, Lee HJ, Park EJ. 2010. The effect of use of nutrition labeling on knowledge and perception of nutrition labelling, and awareness of nutrition labelling usefulness with among college students. J Korean Sco Food Sci Nutr 39:253-266 

  25. Oh SE, Lee MS. 2006.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dietary behaviors and food intake patterns of university student according to the obesity index. Korean J Food & Nutr 19: 79-90 

  26. Park EJ. 2013. Perception and consumption status of food labeling of processed foods among college students in Daegu-Gyeogbuk area.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3: 671-688 

  27. Roos E, Tjarnemo H. 2011. Challenges of carbon labelling of food products: a consumer research perspective. British Food Journal 113:982-996 

  28. So YJ, Kim SA, Lee JH, Park EY, Kim HJ, Kim JS, Kim JW. 2013. A survey on the perceptions of consumer organization to promote risk communication for food additives. Korean J Food Cookery Sci 29:105-113 

  29. Song HJ, Choi SY. 2013. A study on intake and purchasing behavior processed food among adolescents.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9:230-243 

  30. Song HJ, Kim SH, Choi SY. 2012.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education of food additives in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 Food & Nutr 25:957-967 

  31. Won HR, Yun HR. 2011. College students' dietary behavior for processed foods and the level of perception on food labeling systems according to the level of nutrition knowledge in Wonju province.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ence 22: 379-393 

  32. Zarkin GA, Dean N, Nauskopf JA, Williams R. 1993. Potential health benefits of nutrition label changes. Am J Public Health 83:717-72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