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신경계중환자에게 적용한 중환자 중증도 분류도구 연구
Evaluation of Critical Patient Severity Classification System(CPSCS) for neurocritical patients in intensive unit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3 no.11, 2012년, pp.5238 - 5246  

김희정 (남서울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신경계 중환자에 적용한 간호행위에 따른 중환자 중증도 분류도구를 신경계 중환자에게 적용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중환자 중중도 분류도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신경계 중환자의 간호중재를 위한 기초자료를 파악하고자 시도되었으며 2008년 1월부터 2009년 5월, 2011년 10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서울시 소재 C 대학 병원 중환자실에 입원한 만 18세 이상의 신경계환자 203명의 의무기록지를 분석하였다. 신경계 중환자의 일반적 특성 및 임상관련 특성에 따른 중환자 중증도 분류도구 차이는 사망, 생존(p=<.001), 혈색소(p=<.001), 중탄산(p=<.001), 백혈구(p=<.001), 기관 내 삽관 유무(p=<.001), 중심 정맥관 삽입 유무(p=<.001), 중증도(p=<.001)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 203명 중 64명이 사망하여 사망률은 31.5%였다. 중환자 중중도 분류도구로 측정된 신경계 중환자의 평균 점수는 $112.09{\pm}18.91$로 나타났고 중중도가 높아질수록 중환자 중중도 분류도구 점수도 유의하게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각 영역별로는 활력징후 측정 $3.74{\pm}2.15$, 감시 측정 $28.97{\pm}4.31$, 일상 활동 $34.99{\pm}3.66$, 영양 $.19{\pm}.98$, 정맥 주입 및 약물요법 $18.20{\pm}8.27$, 치료 및 시술 $16.93{\pm}4.90$, 호흡치료 $8.61{\pm}7.07$로 확인되었다. 감시 측정, 일상 활동, 정맥 주입 및 약물요법, 치료 및 시술, 호흡치료영역이 포함된 모형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F=678.789, p<.001) 이들이 중환자 중증도 분류도구를 설명하는 설명력은 98.1%를 나타내어 신경계 중환자의 중중도를 예측하는데 유용한 영역이라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evaluation of CPSCS for neurocritical patients and provide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s for these pati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medical records of 203 neurocritical patients over 18 years of age who were admitted to the ICU of C University Hospital during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행위에 따른 중환자 중증도 분류도구를 신경계 중환자에게 적용하여 그 결과를 평가하기 위해 시도되었으며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서울시 소재 C 대학 병원 중환자실내 신경계 중환자의 간호행위에 따른 중환자 중증도 분류도구를 분석하기 위한 후향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신경계 중환자의 간호행위에 따른 중환자 중중도 분류도구를 파악하여 간호업무의 향상과 효율성을 높이고 간호중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게 되었다. 자료 분석 결과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임상관련 특성에 따른 중환자 중증도 분류도구와의 차이 검정에서 사망, 생존, 혈색소, 중탄산, 백혈구, 기관내 삽관 유무 및 중심 정맥관 삽입 유무,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 아주 위중한 병의 증세를 말하며[17], 본 연구에서는 병원간호사회[18]에서 개발하고 2004년 임상간호사회의 중환자간호 분야회[19]에서 도구의 항목을 일부 수정 보완한 도구를 적용한 것이다. 측정한 점수의 합으로 1군부터 6군까지 나누며 4군 이상의 경우에 환자의 중증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 이는 간호행위에 초점을 맞추어 중증도를 평가하고 있으므로 중환자의 간호행위 요구 규명, 중증도가 높은 위험환자의 인력배분 그리고 중환자실내 인력 배치 등에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어 간호행위관련 실무에 기여한 바가 크다고 사료된다. 현재까지 간호행위에 따른 중환자분류도구와 관련된 연구로는 병원간호사회 중환자분류도구 준거 타당도 검정[11], 간호행위에 따른 중환자 중증도 분류도구의 타당성 연구[12], 중환자 중증도 분류도구를 이용한 신경계 중환자의 중증도와 사망예측요인[13], 순환기계 중환자실 환자의 사망 요인 및 간호 중증도 조사연구[14], 신경계 중환자의 APACHE III와 중환자 중중도 분류도구의 타당도 검정[15] 등이 있으나 간호행위에 따른 중환자 분류도구를 이용한 신경계 중환자의 관련성 검정이 부족한 실정이고 중증도가 높아질수록 중환자 중증도 분류도구의 점수도 유의하게 높아지는지에 대한 경향분석연구는 아직까지 없었으므로 이에 본 연구는 간호행위에 따른 중환자 중중도 분류도구를 신경계 중환자에게 적용, 그 경향을 분석하고 중환자중증도 분류도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간호업무의 향상과 효율성을 높이고 간호중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가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환자의 중증도 평가는 어떤 것들이 많이 사용되는가? 오늘날 대부분의 중환자실에서는 성인 중환자의 중증도 평가 체계를 이용하여 중환자의 중증도를 평가하고 있다. 중환자의 중증도 평가는 현재 APACHE(Acute Physiology and Chronic Health Evaluatio), SAPS(Simplified Acute Physiology Score) 그리고 MPM(Mortality Probability Model)등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들은 최근 APACHE III와 SAPS II, MPM II 로 개정되었고 각 모형은 중환자의 사망률을 예측하는데 유용성과 적합성이 뛰어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3-5].
APACHE III와 SAPS II, MPM II는 어떤 점에서 정확하지 못하다고 보고되는가? 이들은 최근 APACHE III와 SAPS II, MPM II 로 개정되었고 각 모형은 중환자의 사망률을 예측하는데 유용성과 적합성이 뛰어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3-5]. 그러나 이들 각 모형의 사망 예측치 계산을 위해 구성된 변수들은 간호행위에 대한 구성요소가 포함되어 있지 않아 각 모형에 대한 중증도 측정만으로는 중환자의 정확한 간호 요구를 반영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가 있다[6]. 그러므로 중환자실에서 시행되고 있는 간호업무의 향상과 효율성을 높이고 더 나아가 간호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환자 간호 요구도에 따른 체계적인 환자분류가 필요하다[7].
우리나라의 신경계질환으로 인한 사망은 다른 나라들과 비교했을 때 어떠한가? 우리나라의 신경계질환으로 인한 사망은 인구 10만 명당 11.3명으로 경제협력개발 기구 회원국의 평균 16.2명보다는 낮으나 일본의 5.6명 보다는 2배 이상 높은 수준이다[1]. 신경계질환과 이로 인한 합병증은 중증도에 따라 즉각적으로 대상자의 생명을 위협할 수 있으므로 임상 실무현장에서도 대상자의 중증도에 대한 정확한 평가가 요구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Healthcare Policy Korean Medical Association Research Institute (2007, December). Sources of analysis of the OECD health data (issue Brief No 3). Seoul: Research Institute for Healthcare Policy, 2007 

  2. G. Rocke, et al, "Clinician predictions of intensive care unit mortality", Crit Care med, Vol 32, No 5, pp. 1149-1154, 2004. 

  3. S. Lemeshow, et al, "Mortality Probability Models (MPM II) based on an international cohort of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JAMA, Vol 270, pp. 2478-2486, 1993. 

  4. S. Lemeshow, J. Klar, D. Teres, "Mortality Probability Models for patients in the intensive care unit for 48hrs or 72 hrs: A prospective multicenter study", Crit Care med, Vol 22, pp. 1351-1358, 1994. 

  5. E. K. Kim, Y. D. Kwon, J. H. Hwang, "Comparing the performance of three severity scoring systems for ICU patients: APACHE II, SAPS II, MPM II", J Prev Med Public health, Vol 38, No 3, pp. 276-282, 2005. 

  6. J. L. Vincent F. L. Ferreira, "Evaluation of organ failure: we are, making process. Intensive Care Med, Vol 26, No 8, pp. 1023-1024, 200 

  7. K. Y. Kim, K. S. Jang, "The study of critical indicator development for establishing patient classification system in the intensive care unit", J Korean Acad Nurs Adm, Vol 8, No 4, pp. 475-488, 2002. 

  8. H. J. Kim, G. H. Kim, "Verification of validity and risk factors on Mortality Probability, Model II of neurological patients in intensive care unit", J Korean Acad Nurs, Vol 41, No 1, pp. 92-100, 2011. 

  9. P. Kiekkas, et al, "Patient severity as an indicator of nursing workloads in the intensive unit", Nurs Crit Care, Vol 12, No 1, pp. 34-41, 2007. 

  10. L. A. Goncalves, K. G. Padiha, R. M. Sousa, "Post traumatic brain vulnerability to hypoxia-hypotension: the importance of the delay between brain trauma and secondary insult", Intensive Care Med, Vol 34, pp. 551-560, 2007. 

  11. H. S. Oh, et al, "Criterion-Related Validity of the Critical Patients' Severity Classification System Developed by the Hospital Nurses' Association. Korean" J Adult Nurs, Vol 21, No 5, pp. 489-503, 2009. 

  12. K. S .Choi, "The validity research on patient severity classification tool according to nursing care-based on APACHE III scoring-", Graduate school of Kyung Hee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3. 

  13. H. J. Yang, "A study on the severity and the death predictive factor of neurology patient in intensive care unit by using patient severity classification too"l,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Kosin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4. 

  14. J. H. Shin, "A study about the factors concerned with death and nursing severity of CCU patients",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4. 

  15. M. S. Seo, H. J. Kim, H. J. Kim, "Verification of validity of APACHE III and CPSCS for the neurological patients in ICU",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 13, No 5, pp. 2353-2366, 2011. 

  16. F. Jennifer, "What is neurocritical care?" Retrieved 8.23, 2009, from http:// neurocritical care. org 

  17. H. S. Lee, "Dictionary of Korean languages", Minjunseorim, Seoul, 2009. 

  18. Clinical hospital nurse association, Research of estimation nursing cost, Living nurse, 1994. 

  19. Korean Association of Critical Care Nurses,"Critical care nursing manager seminar-Stadard and application of critical patients severity classification system", 2004. 

  20. J. A. Murray, et al, "Prehospital intubation in patients with severe head injury", J Trauma, Vol 49, No 6, pp. 1065- 1070, 2000. 

  21. W. Philip, "Intensive Care Nursing- framework for practice", Rouledge. New York, 2001. 

  22. N. Andrew, et al, "Higher hemoglobin is associated with improved outcome after subarachnoid hemorrhage", Crit Care med, Vol 35, No 10, pp. 2383-2389, 2007. 

  23. M. J. Martin, et al, "Discordance between lactate and base deficit in the surgical intensive care unit: which one do you trust?" Am J Surg, Vol 191, pp. 625-630, 2006. 

  24. J. D. Pol, et al, "Admission serum lactate levels do not predict mortality in the acutely injured patient", J Trauma Acute Care Surg, Vol 60, pp. 583-587, 2006. 

  25. M. Majid, et al, "Leukocyte count and coronary heart disease", J Am Coll Cardiol, Vol 44, pp. 1945-1956, 2004. 

  26. Yeun S. J. "The effect of white blood cell count on atherosclerotic cardiovascular disease risk", Graduate Yeun-se University, Doctoral Thesis, 2005. 

  27. I. I, Siempos, et al, "Impact of catheter related bloodstream infection on the mortality of critically ill patients: A-meta analysis" Crit Care Med, Vol 37, pp. 2283-2289, 2009. 

  28. S. H. Lee, "Useful characteristic evaluation of the serious case classification tool with it applies in ICU patients", Gradute School of Public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6. 

  29. A. Rovlias, S. Kotsou,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free for prediction of outcome after severe head injury using simple clinical and laboratory variables", J Neurotrauma,Vol 21, pp. 886-893, 2004. 

  30. J. I. Suarez, "Outcome in neurocritical care: Advances in monitoring and treatment and effect of a specialized neurocritical care team", Crit Care med, Vol 34, pp. S232-S238, 2006. 

  31. T. Geeraerts, et al, "Posttraumatic brain vulnerability to hypoxia-hypotension: the importance of the delay between brain trauma and secondary insult", Intensive Care Med, Vol 34, pp. 551-560, 2008. 

  32. I. R. M. Andrew, S. Nino, B. Ross, "Moderate and severe traumatic brain injury in adults", Lancet Neurol, Vol 7, No 8, pp. 728-743, 2008. 

  33. A. S. Park, I. S. Kwon, Y. C. Cho. "Fatigue symptoms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general hospital nurses" KAIS, Vol 10, No 8, pp. 2164- 2172,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