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투석 전 만성 신부전 환자의 삶의 질 구조 모형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n Quality of Life in Pre-dialysis Patients with Chronic Kidney Disease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2 no.5, 2012년, pp.699 - 708  

김혜원 (건양대학교 간호학과) ,  최스미 (서울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test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f the quality of life of pre-dialysis patients, in order to provide guidelines for the development of interventions and strategie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patients with Chronic Kidney Disease (CKD). Methods: Participa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투석 전 만성 신부전 환자의 삶의 질에 대해 조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투석 전 만성신부전환자의 삶의 질 구조모형의 타당성과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논의하고자한다.
  • 본 연구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투석 전 만성 신부전 환자의 인구학적 요인, 사회적 지지 정도, 영양상태, 신체적 요인, 생행동적 요인이 투석 전 만성 신부전 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통합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투석 전 만성 신부전 환자의 삶의 질에 대해 조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있다.
  • 본 연구는 투석 전 만성 신부전 환자를 대상으로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모형을 구축하여 직·간접 경로를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투석 전 만성 신부전 환자의 삶의 질 구조모형을 구축하고, 적합도를 검증하며,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각 요인들의 직접적, 간접적 경로를 도출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투석 전 만성 신부전 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 삶의 질 모형을 구축한 후 요인간의 직접적, 간접적 경로를 확인하기 위한 탐색적 구조모형 연구이다.
  • 이상으로 투석 전 만성 신부전 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 각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 직접적, 간접적 경로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투석 전 만성 신부전 환자의 삶의 질에 대해 연구한 점, 투석 전 만성 신부전 환자의 영양상태, 신체적 요인, 생행동적 요인이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인자임을 규명한 점,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포괄적으로 조사한 점에서 선행연구들과 차별성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l Saran, K., Elsayed, S., Molhem, A., Aldrees, A., & Alzara, H. (2011). Nutritional assessment of patients on hemodialysis in a large dialysis center. Saudi Journal of Kidney Diseases and Transplantation, 22, 675-681. 

  2. Alvarez-Ude Cotera, F., & Rebollo Alvarez, P. (2008). Psychological disturbances and deterioration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patients with stage 3-5 chronic kidney disease not on dialysis. Nefrologia, 28(3), 57-62. 

  3. Basok, E. K., Atsu, N., Rifaioglu, M. M., Kantarci, G., Yildirim, A., & Tokuc, R. (2009). Assessment of female sexual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in predialysis, peritoneal dialysis, hemodialysis, and renal transplant patients. International Urology and Nephrology, 41, 473-481. http://dx.doi.org/10.1007/s11255-008-9475-z 

  4. Bae, B. R. (2009).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17.0. Seoul: Chungram. 

  5. Campbell, K. L., Ash, S., & Bauer, J. D. (2008). The impact of nutrition intervention on quality of life in pre-dialysis chronic kidney disease patients. Clinical Nutrition, 27, 537-544. http://dx.doi.org/10.1016/j.clnu.2008.05.002 

  6. Cohen, S. D., Patel, S. S., Khetpal, P., Peterson, R. A., & Kimmel, P. L. (2007). Pain, sleep disturbance,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hronic kidney disease. Clinical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Nephrology, 2, 919-925. http://dx.doi.org/10.2215/CJN.00820207 

  7. Devins, G. M., Mendelssohn, D. C., Barre, P. E., & Binik, Y. M. (2003). Predialysis psychoeducational intervention and coping styles influence time to dialysis in chronic kidney disease. American Journal of Kidney Disease, 42, 693-703. http://dx.doi.org/10.1016/S0272-6386(03)00835-7 

  8. Dinwiddie, L. C., Burrows-Hudson, S., & Peacock, E. J. (2006). Stage 4 chronic kidney disease: Preserving kidney function and preparing patients for stage 5 kidney disease. American Journal of Nursing, 106(9), 40-51. 

  9. Frank, A., Auslander, G. K., & Weissqarten, J. (2003). Quality of life of patients with end-stage renal disease at various stages of the illness. Social Work in Health Care, 38(2), 1-27. 

  10. Hoth, K. F., Christensen, A. J., Ehlers, S. L., Raichle, K. A., & Lawto, W. J. (2007). A longitudinal examination of social support, agreeableness and depressive symptoms in chronic kidney disease.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30(1), 69-76. http://dx.doi.org/10.1007/s10865-006-9083-2 

  11. Kalender, B., Ozdemir, A. C., Dervisoglu, E., & Ozdemir, O. (2007). Quality of life in chronic kidney disease: Effects of treatment modality, depression, malnutrition and inflamm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Clinical Practice, 61, 569-576. http://dx.doi.org/10.1111/j.1742-1241.2006.01251.x 

  12. Kim, H. W., & Choi-Kwon, S. (2010). Study on knowledge levels of pre-dialysis, chronic renal failure patients at glomerular filtration rates and their educational demand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2(2), 114-126. 

  13. Kim, J. M. (2009). Comparison quality of life and the factors affecting on QOL between hemodialysis and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degree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4. Kim, Y. H. (2000). Clinical nutrition guide for health-provider. Seoul: Gwangmungag. 

  15. Kohatsu, W. (2005). Nutrition and depression. Explore, 1, 474-476. http://dx.doi.org/10.1016/j.explore.2005.08.017 

  16. Krupp, L. B., LaRocca, N. G., Muir-Nash, J., & Steinberg, A. D. (1989). The fatigue severity scale. Application to patients with multiple sclerosis and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Archives of Neurology, 46, 1121-1123. http://dx.doi.org/10.1001/archneur.1989.00520460115022 

  17. Lee, H. M., Ryu, S. A., Kim, E. A., & Jang, K. S. (2009). Factors influencing sleep disorders in patients on hemodialysis.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16(2), 190-199. 

  18. Lee, Y. P. (2006).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quality of sleep in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sin University, Busan. 

  19. Oliveira, C. M., Kubrusly, M., Mota, R. S., Silva, C. A., & Oliveira, V. N. (2010). Malnutrition in chronic kidney failure: What is the best diagnostic method to assess? Brazilian Journal of Nephrology, 32(1), 55-68. http://dx.doi.org/10.1590/S0101-28002010000100011 

  20. Park, J. S. (2003). Literature review for biobehavioral nursing research. Journal of Nursing Query, 12(2), 41-57. 

  21. Pugh-Clarke, K., Naish, P. F., & Mercer, T. M. (2006). Quality of life in chronic kidney disease. Journal of Renal Care, 32, 156-159. 

  22. Rodrigue, J. R., Mandelbrot, D. A., Hanto, D. W., Johnson, S. R., Karp, S. J., & Pavlakis, M. (2011). A cross-sectional study of fatigue and sleep quality before and after kidney transplantation. Clinical Transplant, 25(1), E13-E21. http://dx.doi.org/10.1111/j.1399-0012.2010.01326.x 

  23. Snyder-Halpern, R., & Verran, J. A. (1987). Instrumentation to describe subjective sleep characteristics in healthy subjects. Research in Nursing & Health, 10, 155-163. http://dx.doi.org/10.1002/nur.4770100307 

  24. The Korean Society of Nephrology. (2010). Renal replacement therapy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Nephrology, 25, 381-404. 

  25. Tong, A., Sainsbury, P., Chadban, S., Walker, R. G., Harris, D. C., Carter, S. M., et al. (2009). Patients' experiences and perspectives of living with chronic kidney disease. American Journal of Kidney Diseases, 53, 689-700. http://dx.doi.org/10.1053/j.ajkd.2008.10.050 

  26. Wood, B. L., Klebba, K. B., & Miller, B. D. (2000). Evolving the biobehavioral family model: The fit of attachment. Family Process, 39, 319-344. http://dx.doi.org/10.1111/j.1545-5300.2000.39305.x 

  27. Yang, H. J. (2001). A model for quality of life in hemodialysis pati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eimyung University, Daegu. 

  28. Yoon, S. J., Yang, C. K., & Han, H. M. (1999). Depression, anxiety and sleep disturbance in patients with hemodialysis.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8, 997-1005. 

  29. Zigmond, A. S., & Snaith, R. P. (1983). Th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Acta Psychiatrica Scandinavica, 67, 361-370. http://dx.doi.org/10.1111/1600-0447.1983.tb09716.x 

  30. Zimet, G. D., Dahlem, N. W., Zimet, S. G., & Farley, G. K. (1988).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52(1), 30-41. http://dx.doi.org/10.1207/s15327752jpa5201_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