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성인의 야식의 에너지 수준에 따른 영양상태 비교: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이용
Comparison of nutritional status by energy level of night snack in Korean adults: using the data from 2005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원문보기

韓國營養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v.45 no.5, 2012년, pp.479 - 488  

서윤석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양교육) ,  이은경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양교육) ,  정영진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야간에 고열량 식품 섭취는 그대로 체지방으로 축적되어 비만을 유발한다고 한다. 본 연구는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20세 이상의 성인 3,903명 (남자 41.6%, 여자 58.4%)을 대상으로 야식의 에너지 수준을 야식 비섭취군, 500 kcal 미만 야식군, 500 kcal 이상 야식군의 3군으로 분류하여 체위, 혈압 및 혈청성분, 식습관, 식품 및 영양소의 섭취상태를 비교하였다. 1) 전체대상자 중 야식을 섭취하는 사람은 34.0%이었고, 500 kcal 미만 야식군은 28.4%로 500 kcal 이상 야식군의 5.6%에 비해 약 5배 정도 많았다. 500 kcal 미만 야식군은 여자가 남자보다 많은 반면, 500 kcal 이상 야식군은 남자가 여자 보다 약 3.9배 정도 많았고 젊은 연령대와 대졸 이상의 학력자 및 소득 수준이 높은 사람이 많았으며, 자가진단한 건강상태가 좋지 않다고 답한 사람이 적었다. 2) 평균 체질량지수는 군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평균 허리둘레는 500 kcal 이상 야식군에서 다른 두 군보다 높게 나타났고, 성과 연령을 보정한 후에도 허리둘레와 야식의 에너지 섭취량 간에 약한 양의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3) 이완기 혈압, 공복 혈당, 혈청 중성지방, 혈청 GPT, 혈청 크레아티닌의 농도는 500 kcal 이상 야식군에서 다른 두 군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야식의 에너지 섭취량과의 상관분석 결과 공복혈당과 경구당부하 2시간 후 혈당만이 야식 에너지 섭취량과 약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4) 500 kcal 이상 야식군에서 아침 결식자가 많았고, 외식 횟수가 하루 3회 이상인 사람이 다른 두 군에 비해 약 2배 정도 높게 나타난 반면, 야식 비섭취군에서 간식을 안하는 비율이 높았다. 5) 500 kcal 이상 야식군에서 육 난류, 음료류, 주류, 패스트푸드류의 섭취 빈도가 다른 두 군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영양소 섭취량을 섭취 에너지 1,000 kcal당으로 환산한 결과는 지방과 알코올의 섭취량이 높게 나타난 반면 탄수화물, 조섬유, 칼슘, 인, 철, 나트륨의 섭취량이 낮았다. 식품군 섭취량과의 상관분석 결과에서 육 난류, 음료류, 주류, 과일류, 우유 및 유제품류가 야식 에너지 섭취량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영양소 섭취량에서 칼슘, 인, 철, 칼륨, 조섬유와 약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6) 500 kcal 이상 야식군은 다른 두 군에 비해 탄수화물 섭취 비율이 낮은 반면 지방의 섭취 비율은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부터 야식의 에너지 수준이 500 kcal 이상인 경우 주로 동물성 식품, 고지방 식품, 주류 및 음료류 등 고열량 식품군의 섭취가 높고, 허리둘레, 공복 혈당, 경구 당부하 2시간 후 혈당이 높아 야식의 빈번한 섭취가 한국 성인, 특히 젊은 층의 남성에서 복부비만과 당뇨병을 야기할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nutritional status of night eaters using the data from 2005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 total of 3,903 subjects aged 20 and above were divided into 3 groups by using 24-hr recall data according to the night snack calorie intake: non-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한국 성인들의 야식의 에너지 수준에 따른 영양 위험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야식 비섭취군은 남자 39.
  •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20)를 이용하여 야식을 섭취하는 성인들의 영양 위험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저녁식사 이후에 섭취한 간식을 야식으로 간주하고 야식을 안하는 군과 야식군으로 나누고 야식군은 다시 야식의 에너지 수준에 따라 한 끼 식사수준의 과량 섭취군과 가벼운 간식 수준의 소량 섭취군의 두 군으로 분류하여 이들의 체위와 혈압 및 혈청성분, 식품 및 영양소 섭취상태 및 식습관을 비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인한 우리나라 식생활의 서구화 및 인구의 고령화에 따른 문제점은?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인한 우리나라 식생활의 서구화 및 인구의 고령화에 따라 비만, 고혈압, 당뇨병, 뇌졸중, 고지혈증 등 심혈관질환의 발병이 증가 추세에 있다.1)이와 같은 만성 질환의 증가는 사람들의 식사, 흡연, 운동 등과 같은 생활양식의 큰 변화 때문이며 식사패턴의 변화가 바람직하지 않은 영양상태를 초래하여 이들 만성적 비전염성 질환을 발병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는 것으로 WHO에서는 보고하고 있다.
2009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에 의하면 19세 이상 성인 중 비만 유병률은? 2009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3) 에 의하면 19세 이상 성인 중 비만 유병률은 1998년 26.0%에서 2001년 30.6%, 2005년 30.8%, 2009년 31.3%로 우리나라 비만인구의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나타내 주고 있다. 비만한 성인의 식이 및 생활습관을 조사한 Kim 등4) 의 연구에서는 비만인의 경우 정상 체중군에 비하여 식사속도가 빠르고, 식사를 불규칙적으로 하는 등 식생활이 좋지 않고, 지방과 탄수화물로부터 에너지 섭취비율이 높으며, 간식과 야식의 경향이 높다고 하였다.
야식증후군의 진단 기준도 지역 사회 인구집단과 병원 환자 대상에 따라 달라지며 연구자들 사이에도 차이가 있는데 이에 대한 사례로? 야식증후군의 진단 기준도 지역 사회 인구집단과 병원 환자 대상에 따라 달라지며 연구자들 사이에서도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야식 증후군의 저녁 과식은 7시 이후 또는 8시 반 이후 시간에 1일 총 섭취에너지의 25%에서 50%까지 섭취하는 것으로 정의하는 등 표준화 되어 있지 않다.1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Hubert HB, Feinleib M, McNamara PM, Castelli WP. Obesity as an independent risk factor for cardiovascular disease: a 26-year follow-up of participants in the Framingham Heart Study. Circulation 1983; 67(5): 968-977 

  2. Posner BM, Franz M, Quatromoni P. Nutrition and the global risk for chronic diseases: the INTERHEALTH nutrition initiative. The INTERHEALTH Steering Committee. Nutr Rev 1994; 52(6): 201-207 

  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Health Statistics 2009: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ry, Cheongwon: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0. p.442-444 

  4. Kim K, Lee W, Lee S, Ann N, Oh H, Sin Y, Park J, Hong C, Kim S, Kim E, Lee J, Kim E, Jang J. Health status and lifestyle including diet, exercise, and daily activities in obese adults. Korean J Sports Med 2005; 23(1): 54-63 

  5. Stunkard AJ, Grace WJ, Wolff HG. The night-eating syndrome; a pattern of food intake among certain obese patients. Am J Med 1955; 19(1): 78-86 

  6. Birketvedt GS, Florholmen J, Sundsfjord J, Osterud B, Dinges D, Bilker W, Stunkard A. Behavioral and neuroendocrine characteristics of the night-eating syndrome. JAMA 1999; 282(7): 657-663 

  7. Vetrugno R, Manconi M, Ferini-Strambi L, Provini F, Plazzi G, Montagna P. Nocturnal eating: sleep-related eating disorder or night eating syndrome? A videopolysomnographic study. Sleep 2006; 29(7): 949-954 

  8. Lundgren JD, Allison KC, Crow S, O'Reardon JP, Berg KC, Galbraith J, Martino NS, Stunkard AJ. Prevalence of the night eating syndrome in a psychiatric population. Am J Psychiatry 2006; 163(1): 156-158 

  9. Lundgren JD, McCune A, Spresser C, Harkins P, Zolton L, Mandal K. Night eating patterns of individuals with eating disorders: implications for conceptualizing the night eating syndrome. Psychiatry Res 2011; 186(1): 103-108 

  10. Allison KC, Stunkard AJ. Obesity and eating disorders. Psychiatr Clin North Am 2005; 28(1): 55-67 

  11. Striegel-Moore RH, Franko DL, Thompson D, Affenito S, Kraemer HC. Night eating: prevalence and demographic correlates. Obesity (Silver Spring) 2006; 14(1): 139-147 

  12. Adami GE, Meneghelli A, Scopinaro N. Night eating syndrome in individuals with Mediterranean eating-style. Eat Weight Disord 1997; 2(4): 203-206 

  13. Marshall HM, Allison KC, O'Reardon JP, Birketvedt G, Stunkard AJ. Night eating syndrome among nonobese persons. Int J Eat Disord 2004; 35(2): 217-222 

  14. Stunkard AJ, Allison KC. Two forms of disordered eating in obesity: binge eating and night eating.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003; 27(1): 1-12 

  15. Jung HJ, Park KH, Cho YG, Cho JJ, Paek YJ, Song HJ, Byun JS. Night eating tendency and related health risk factors. Korean J Obes 2006; 15(2): 98-105 

  16. Birketvedt GS, Sundsfjord J, Florholmen JR. Hypothalamic-pituitary- adrenal axis in the night eating syndrome. Am J Physiol Endocrinol Metab 2002; 282(2): E366-E369 

  17. Aronoff NJ, Geliebter A, Zammit G. Gender and body mass index as related to the night-eating syndrome in obese outpatients. J Am Diet Assoc 2001; 101(1): 102-104 

  18. Gluck ME, Geliebter A, Satov T. Night eating syndrome is associated with depression, low self-esteem, reduced daytime hunger, and less weight loss in obese outpatients. Obes Res 2001; 9(4): 264-267 

  19. Lee SH, Kim KJ. The comparison of the physical fitness and eating habits between abdominal obese and lower limb obese in middle-aged women. Korean J Sports Sci 2004; 13(1): 585-600 

  2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In-depth analysis on the 3rd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Cheongwon: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5 

  21. Spaggiari MC, Granella F, Parrino L, Marchesi C, Melli I, Terzano MG. Nocturnal eating syndrome in adults. Sleep 1994; 17(4): 339-344 

  22. Greeno CG, Wing RR, Marcus MD. Nocturnal eating in binge eating disorder and matched-weight controls. Int J Eat Disord 1995; 18(4): 343-349 

  23. Park JG, Jang CJ, Lee TY, Park YS. Health statistics. Seoul: Gyechuk Cultural Press; 2008 

  24. Grilo CM, Masheb RM. Night-time eating in men and women with binge eating disorder. Behav Res Ther 2004; 42(4): 397-407 

  25. Choi MK, Kim JM, Kim JG. A study on the dietary habit and health of office workers in Seoul. Korean J Food Cult 2003; 18(1): 45-55 

  26. Colles SL, Dixon JB, O'Brien PE. Night eating syndrome and nocturnal snacking: association with obesity, binge eating and psychological distress. Int J Obes (Lond) 2007; 31(11): 1722-1730 

  27. Andersen GS, Stunkard AJ, Sorensen TI, Petersen L, Heitmann BL. Night eating and weight change in middle-aged men and women.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004; 28(10): 1338-1343 

  28. Napolitano MA, Head S, Babyak MA, Blumenthal JA. Binge eating disorder and night eating syndrome: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Int J Eat Disord 2001; 30(2): 193-2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