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상황버섯 자실체로부터 분리된 수용성 다당류의 특성 분석 및 이의 베타 시크리타아제 활성 저해효과
Characterization and β-secretase Inhibitory Activity of Water-soluble Polysaccharides Isolated from Phellinus linteus Fruiting Body 원문보기

한국균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v.40 no.4, 2012년, pp.229 - 234  

조항수 (가톨릭대학교 생명공학과 & 가톨릭대학교 GRRC 생체의약선도분자연구센터) ,  최두진 (가톨릭대학교 생명공학과 & 가톨릭대학교 GRRC 생체의약선도분자연구센터) ,  정미자 (가톨릭대학교 생명공학과 & 가톨릭대학교 GRRC 생체의약선도분자연구센터) ,  박제권 (가천대학교 약과학과) ,  박용일 (가톨릭대학교 생명공학과 & 가톨릭대학교 GRRC 생체의약선도분자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AD) 의 진행과정의 주요 분자는 베타아밀로이드 펩타이드(${\beta}$-amyloid peptide, $A{\beta}$)이며, $A{\beta}$ 생성에 가장 중요한 작용을 하는 효소가 ${\beta}$-secretase이다. 본 연구에서는 상황버섯 자실체로부터 수용성 고분자물을 분리, 정제하였고, 이들 고분자물이 주로 glucose, galactose, mannose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특히, glucose 함량이 가장 많은 glucan의 일종으로서, FT-IR 구조분석, laminarinase 효소분석에 의한 결합구조 분석 등의 결과로부터, 최소한 일정 부분 beta-(1,3)-결합구조를 갖는 beta-glucans 들의 일종이고, beta-(1,6)-결합의 분지를 갖는 beta-(1,3)(1,6)-glucan은 아닌 beta-(1,3)-glucans임을 확인하였다. Et-P는 분자량이 각각 1,629, 1,294, 21 kDa인 다당류들로서, FT-IR 분석원소분석의 결과로 볼 때, Et-P가 페놀성(phenolic) 물질과 복합체 형태로 존재하는 다당류일 것으로 판단되었다. 상황버섯 자실체 열수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수용성 다당류인 Et-P는 DPPH radical 소거능을 보이고, 특히, 뇌신경세포 사멸에 의한 치매 유발 물질로 알려진 베타-아밀로이드 펩타이드($A{\beta}$)를 생성하는 ${\beta}$-secretase 효소의 활성을 현저히 저해하는 효과를 나타냈다. 이는 상황버섯 자실체 유래 수용성 다당류인 Et-P가 향 후 보다 심도 깊은 연구를 통해 항치매 효과를 나타내는 건강 식의약소재로 개발될 가능성이 있음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key molecule in the pathogenesis of Alzheimer's disease (AD) is the ${\beta}$-amyloid peptide ($A{\beta}$) generated by ${\beta}$-secretase activity, an aspartic protea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inhibitory effect of the high-molecular weight water-sol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상황버섯 자실체(Phellinus linteus fruiting body)로부터 수용성 다당류를 분리, 정제하고, 이 다당류의 성분당 조성 및 구조를 분석하고, β-secretase 활성 억제 효과를 조사하여 항치매 관련 기능성 소재로의 활용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알츠하이머 발병의 주요 원인 물질은 무엇인가? , 2012). 알츠하이머 발병의 주요 원인 물질이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Aβ) 인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것을 생성하는데 가장 중요한 작용을 하는 효소가 β-secretase이다. 따라서 β-secretase 활성을 억제하는 천연 소재를 개발하고자 하는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Kim et al.
상황버섯의 생리활성 효과는?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은 분류학적으로 소나무 바늘버섯과(Hymenochaetaceae), 진흙버섯속(Phellinus)에 속하는 백색부후균이며(Choi et al., 1996),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은 항암효과(Chung et al., 1994; Ikekawa et al., 1968), 항돌연변이 효과(Ham et al., 2009) 장내 유해효소 저해효과(Kim et al., 1998), 면역증진 효과(Kim et al., 1996), 항산화(Lee et al., 2006) 등 다양한 생리활성 효과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황버섯 유래 다당류의 β-secretase 활성 억제에 대한 연구보고는 전무하다.
알츠하이머병의 주요 원인 물질인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 생성에, 가장 중요한 작용을 하는 효소는? , 2000). Aβ 생성에 가장 중요한 작용을 하는 효소인 β-secretase를 저해하는 활성을 나타내는 추출물이나 천연 물질은 항치매 식의약소재로 개발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분리된 상황버섯 자실체 유래 수용성 다당류인 Et-P는 향 후보다 심도깊은 연구를 통해 항치매 효과를 나타내는 건강 식의약소재로 개발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Barre, L. L., Vaughan, A. S. and Suton S. J. 2007. On thermallyactivated degradation of guar gum. J. Mater Sci. 42:5497-5507. 

  2. Brookmeyer, R., Gray, S. and Kawas, C. 1998. Projections of Alzheimer's disease in the Unites States and the public health impact of delaying disease onset. Am. J. Public Health 88:1337-1342. 

  3. Choi, J. H., Ha, T. M., Kim, Y. H. and Rho, Y. D. 1996. Studies on the main factors affecting the mycelial growth of Phellinus linteus. Kor. J. Mycol. 24:214-222. 

  4. Chung, K. S., Kim, S. S., Kim, H. S., Kim, K. Y. and Han, M. W. 1994. Antitumor activity of Kp, a protein-poly-saccharide from mycelial culture of Phellinus linteus. Yakhak Hoeji. 38:158-165. 

  5. Edwards, H. G. M., Falk, M. J., Sibley, M. G., Alvarez-Benedi, J. and Rull, F. 2008. FT-Raman spectroscopy of gums of technological significance. Spectrochim. Acta A, 54:903-909. 

  6. Ham, S. S., Oh, S. W., Kim, Y. K., Shin, K. S., Chang, H. Y. and Chung, G. H. 2003. Antioxidant and genotoxic inhibition activity of ethanol extract fron the Inonotus obliquu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1071-1075. 

  7. Ham, S. S., Kim, S. H., Moon, S. Y., Chung, M. J., Cui, C. B., Han, E. K., Chung, C. K. and Choe, M. 2009. Antimutagenic effects of subfractions of Chaga mushroom (Inonotus obliquus) extract. Mutation research/genetic toxicology and environmental mutagenesis. Mutat. Res-Gen. Tox. En. 672:55-59. 

  8. Ikekawa, T., Nakanish, M., Uehara, N., Chihara, G. and Fukuoka, F. 1968. Antitumor action of some Basidiomycetes, especially Phellinus linteus. Gann. 59:155-157. 

  9. Kim, D. W., Kim, Y. J., Lee, Y. J., Min, J. W., Kim, S. Y. and Yang, D. C. 2008. Conversion of ginsenosides by 9 repetitive steamings and dryings process of Korean ginseng root and its inhibition of BACE-1 activity.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and Pathology 22:1557-1561. 

  10. Kim, S. M., Chung, M. J., Ha, T. J., Choi, H. N., Jang, S. J., Kim, S. O., Chun, M. H., Do, S. I., Choo, Y. K. and Park, Y. I. 2012. Neuroprotective effects of black soybean anthocyanins via inactivation of ASK1-KJNK/p38 pathways and mobilization of cellular sialic acids. Life Sci. 90:874-882. 

  11. Kim, D. H., Choi, H. J. and Bae, E. A. 1998. Effect of artificially cultured Phellinus linteus on harmful intertinal bacterial enzymes and rat intestinal a-glucocidase. J. Fd. Hyg. Safety. 13:20-23. 

  12. Kim, H. M., Han, S. B., Oh, G. T., Kim, Y. H., Hong, D. H., Ong, N. D. and Yoo, I. D. (1996) Stimulation of humoral and cell mediated immunity by polysaccharide from mushroom Phellinus linteus. Int. J. Immunopharmac. 18:295-303. 

  13. Pereira, M. S., Mulloy, B. and Mourao, P. A. S. 1999. Structure and anticoagulant activity of sulfated fucans. J. Bio. Chem. 19:7656-7667. 

  14. Lee, K. H., Kwon, H. J., Chun, S. S., Kim, J. H., Cho, Y. J. and Cha, W. S. 2006. B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Phellinus linteu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9:298-303. 

  15. Lin, X., Koelsch. G., Wu, S., Downs, D., Dashti, A. and Tang, J. 2000. Human aspartic protase memapsin 2 cleaves the $\beta$ - amyloid precursor protein. Proc. Natl. Acad. Sci. USA. 97:1456-146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