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 균사체로부터 항보체 활성 다당류의 정제 및 특성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ti-complementary Polysaccharide from Phellinus linteus Mycelia 원문보기

한국균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v.40 no.2, 2012년, pp.109 - 113  

서호찬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식용버섯으로부터 항보체 활성물질을 탐색하여 새로운 소재화 연구의 일환으로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 균사체로부터 항보체 활성 물질을 분리, 정제를 하였으며 화학적 특성을 검토하였다. 정제는 상황버섯의 열수추출한 후, 열수추출물(PL-0)를 한외여과하여 분자량별로 5개의 획분을 얻었다. 이 중, 300kDa 이상의 획분(PL-5)을 DEAE-Sepharose FF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 Sepharose CL-4B 겔여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PL-5-IIIa 획분을 얻었다. PL-5-IIIa 획분을 HPLC를 행한 결과 단일 피크로 나타났으며 정제다당 PL-5-IIIa의 분자량은 800,000Da으로 측정되었다. 정제다당 PL-5IIIa는 64.2%의 당과 29.6%의 단백질로 구성되었으며 구성당은 galactose가 43.1%, mannose가 40.6%, fucose가 15.8%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have isolated an anti-complementary polysaccharide from the hot water extracts of Phellinus linteus mycelia. Anti-complementary polysaccharide, PL-5-IIIa, was purified by ultrafiltration,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using Sepharose CL-4B. GPC (Sepharose CL-4B) and its homogenicity was demonst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관균주와 임업협동조합에서 분양받은 버섯 균사체 중, 우수한 활성을 나타낸 상황버섯 (Phellinus linteus) 균사체로부터 항보체 활성 물질을 분리, 정제를 하였으며 화학적 특성을 검토하였다.
  • 최근에는 항암활성과 더불어 다양한 생체조절기능 성분이 보고되고 있는 식용버섯으로부터 항보체 활성물질을 탐색하여 새로운 소재화 연구의 일환으로 버섯균사체 추출물들의 항보체 활성을 검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연계에 존재하는 천연물질 중에서 인체에 대해 각종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다당류들을 분리할 수 있는 것들은? 현재 자연계에 존재하는 천연물질 중에서 인체에 대해 각종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다당류들이 버섯(Chang and Miles, 1989), 한약재(Yamada et al., 1988), 고등식물 (Yamada et al., 1988), 곰팡이(Gao et al., 1989) 등의 다양한 기원으로부터 분리되고 있어 이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 예로서 표고버섯(Lentinus edodes), 자실체에서 분리한 β-1,3-glucan인 lentinan(Chihara et al.
보체계의 활성화는 일으키는 경로 2가지는 무엇인가요? 이 중에서 항보체 활성은 보체계를 활성화시키거나 억제시키는 작용에 기인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Egwang and Befus, 1984). 보체계의 활성화는 고전적 경로(classical pathway)와 선택적 경로(alternative pathway)의 연속적인 메카니즘에 의해 일어난다. 고전적 경로는 IgG와 IgM을 포함한 면역 복합체나 이들의 응집물에 의해 C1부터 활성화가 시작되어 C3b 활성형을 생성하는 경로이며 항체의 관여없이도 여러 종류의 polyanions, 일부 다당류 등이 고전적 경로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인자로 알려져 있다.
여러 버섯의 균사 배양액에서 추출한 β-1,3 1,4 및 β-1,4 1,6-glucan을 함유 하는 단백다당인 krestin등의 효능은? , 1980) 등이 항암 효과를 나타내어 면역증강제로 시판되거나 사용이 검토되고 있다. 이들은 항종양 활성(Ohno et al., 1985), 항바이러스 활성(Song et al., 1995), 항보체 활성(Yoshioka et al, 1972), 항응고 활성(Lee et al., 1997), 혈당 강하작용 (Shimizu et al., 1989) 등의 효과가 보고되었으며 이들은 주로 인체 면역기능의 활성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 중에서 항보체 활성은 보체계를 활성화시키거나 억제시키는 작용에 기인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Egwang and Befus, 198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Chang, S. T. and Miles, P. G. 1989. Overview of biology of fungi in edible mushroom and their cultivation. CRC press: 41-52. 

  2. Chihara, G., Hamuro, H., Maeda, Y., Arai, Y. and Fukuoka, K. 1970. Fractionation and purification of the polysaccharides with marked antitumor activity, especially schizophyllan from Schizophyllum commune. Cancer Res 30: 2776-2781. 

  3. Chihara, G., Mamuro, J., Maeda, Y., Arai, Y. and Fukuoka, F. 1976. Fractionation and purification of the polysaccharide with marked anti-tumor activity especially lentinan from Lentinus edodes. Cancer Res 30(11): 2776-2780. 

  4. Egwang, T. G. and Befus, A. D. 1984. The role of complement in the induction and regulation of immune reponses. Immunology 15: 207-211. 

  5. Gao, Q. P., Kiyohara, H., Cyong, J. C. and Yamada, H. 1989. Chemical properties and anti-complementary activities of polysaccharide fractions from roots and leaves of Panax ginseng. Planta Med 55: 9-17. 

  6. Immunochemistry, Thomas Publisher (2nd ed.), pp. 459-461. 

  7. Lee, H. S., Kweon, M. H., Lim, W. J., Sung, H. C. and Yang, H. C. 1997. An anticoagulant polysaccharide isolated from the alkali extracts of Coriolus versicolor.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369-375. 

  8. Lin F. M., Pomeranz, Y. 1968. Effect of borate on colorimetric determinations of carbohydrates by the phenol-sulfuric acid. Anal Biochem 24(1):128-131. 

  9. Lowry, O. H., Rosebrough, N. J. and Rindall, R. J. 1951. Protein measurement with the folin phenol reagent. J Biol Chem 193: 256-260. 

  10. Mayer, M. M. 1961. On the destruction of erythrocytes and other cells by antibody and complement. Cancer Res 21: 1262-1269. 

  11. Ohno, N., Iino, K., Suzuki, I., Oikawa, S., Sato, K., Miyazaki, T. and Yadomae, T. 1985. Neutral and acidic antitumor polysaccharides extracted from cultured fruit bodies of Griofora frondosa. Chem Pharm Bull 33(3): 1181-1192. 

  12. Ohno, N., Suzuki, I., Oikawa, S., Sato, K., Miyazaki, T. and Yadomae, T. 1984. Antitumor activity and structure characterization of glucan, extracted from cultured fruit bodies of Grifola frondosa. Chem Pharm Bull 32: 1142-1151. 

  13. Roit, I., Brostoff, I., Male, D. 1993. Immunology, Mosby. 

  14. Sasaki, T. and Takasuka, N. 1976. Further study of the structure of lintinan an anti-tumor polysaccharide from Griofola frondosa. Carbohydr Res 47: 99-109. 

  15. Shimizu, N., Gonda, R., Neiko, K., Kanari, H. and Tomoda, M. 1989. The major pectic arabinogalactan having activity on the reticuloendothelial system grom the roots and rhizomes of Saposhnikovia divaricata. Chem Pharm Bull 37(5): 1329-1333. 

  16. Song, K. S., Cho, S. M., Lee, J. H., Kim, H. M., Han, S. B., Ko, K. S. and Yoo, I. D. 1995. B-Lymphocyte stimulating polysaccharide from mushroom Phellinus linteus. Chem Pharm Bull 43(12): 2105- 2114. 

  17. Suzuki, I., Hashimoto, K., Oikawa, S. and Sato, K. 1980. Antitumor and immunomodulating activities of a ?-glucan obtained from liquid cultured Coriolus versicolor. Chem Pham Bull 37: 410-420. 

  18. Yamada, H. 1984. Structure and antitumor activity of alkali-soluble polysaccharide from Cordyceps ophioglossoides. Carbohydrate Research 125: 107-112. 

  19. Yamada, H., Ra, K. S., Kiyohara, H. Cyong, J. C. and Otsuka, Y. 1988. Characterization of anti-complementary neutral polysaccharide from the root of Bupleurum falcatum. Phytochem 29: 3163-3170. 

  20. Yoshioka, P., Ikekawa, T., Noda, M. and Fukuoka, F. 1972. Studies on antitumor activity of some fractions from basidiomycetes. An antitumor acidic polysaccharide fraction from P. ostreatus. Chem Phar Bull 20: 1233-124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