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제개편 간호대학생들의 4학년 진학경험
Experiences of Students of Nursing College in Transition From a Three-year to a Four-year Nursing Education System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18 no.3, 2012년, pp.465 - 473  

김학선 (원광보건대학교 간호학학과) ,  차진경 (원광보건대학교 간호학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who are now pursuing a bachelor degree of nursing at a three year nursing school. Method: The study employ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For this study 19 nursing students of a reformed nursing colle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개인 면담과 포커스 그룹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질적 주제 분석(qualitative thematic analysis)방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한 질적 연구이다.
  • 본 연구는 학제개편이라는 간호계의 큰 변화의 원년에 3년제로 입학한 4학년 학생들의 경험을 토대로 그들이 경험한 학제개편의 함의가 무엇인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질문은 4학년으로 진학한 19명의 학생들에게 ‘3년제 대학으로 입학하여 4학년으로 진학한 지금은 어떠한가?’였으며, 연구 결과 5개주제로 그들의 경험이 분석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학제 개편에 따른 의미를 확인하고 학제 개편의 대상자를 위한 교육의 보완점을 파악하고, 학제개편의 당위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으며, 이를 위해 4년제 학제를 선택한 연구 참여자들의 경험을 듣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질문은 ‘3년제 대학으로 입학하여 4학년으로 진학한 지금은 어떠한가’이다.
  • 본 연구의 질문은 4학년으로 진학한 19명의 학생들에게 ‘3년제 대학으로 입학하여 4학년으로 진학한 지금은 어떠한가?
  • 이에 본 연구는 졸업을 유보하고 4학년으로 올라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제개편으로 인해 일어나는 그들의 경험을 토대로 학제개편이 가져온 여러 가지 변화, 그리고 변화에 대한 기대가 무엇인지를 이해하고 학제개편에 따른 문제해결의 대안마련 등에 대한 기초적 자료를 얻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간호 교육은 어떻게 시작되었나? 1903년 보구여관 간호부양성소에서 시작된 우리나라 간호 교육은 여러 차례 변화를 거쳐왔고 1955년 국내 최초로 4년제 대학과정이 이화여대에 개설된 이후 반세기 동안 간호학과의 학제는 전문대학의 3년제와 일반대학 4년제로 이원화된 교육체계가 운영되어 왔다. 이원화된 학제를 통합하고자 하는 염원은 1980년대의 간호교육의 발달과제로 기본교육과정을 4년제로 일원화하는 것으로써 구체화되었다(신미자 등, 2009).
간호계 학제 개편 과도기에 학생들이 겪을 수 있는 어려움은? 학제개편에 따른 과도기 시점에서 이들 중 상당수는 그대로 3년제 학제로 졸업하거나 4년제로 전환된 새로운 학제의 경험을 하게 되겠으나 대상학생 전원은 4년제로 학업을 연장할 것인지에 대한 선택의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본다. 결과적으로 학제개편 혼란기를 경험하는 학생들이 전체 간호학 졸업생의 과반수를 상회하고 학제개편 혼란기는 향 후 1∼2년의 단기간으로 끝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학제개편의 궁극적 목표는? 그러나 개편된 학제 결정의 어려움을 겪었던 첫 졸업생과 4학년으로 올라간 학생 대상자들이 교육 현장에 실재함에도 불구하고 이들에 대한 연구는 학제개편이 이루어진 것과 동시에 이제 시작해야 하는 실정이다. 학제개편은 궁극적으로는 학습자의 잠재력과 적성을 계발하고 학교와 사회에서의 적응을 돕는 것이며, 단기적 목표는 학습자의 지속적인 성장과 발달을 촉진시키는 방향으로 진행되어져야 하기 때문에 우선적으로 학습자의 욕구를 명확히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이다(김성일,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김두선 역. (1999). 질적연구방법론. 서울: 나남출판사. 

  2. 김미원, 박정모, 한애경 (2011). 4년제 간호학과 교과과정 분석.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7(3), 414-423. 

  3. 김성일 (2008). 학습자 중심의 학제개편:교육심리학적 공헌. 교육심리학회지, 22(4), 859-880. 

  4. 김성재, 김후자, 이경자, 이선옥 (2000). 포커스연구방법론. 서울: 현문사. 

  5. 김숙영, 정선이, 황청일 (2011). 국내 간호대학과 간호전문대학의 교양교육과정 비교분석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41(1), 101-109. 

  6. 김 용 (2006). 학제개편과 교육과정: 쟁점과 그 해결 가능성. 교육행정학회지, 24(4), 289-312. 

  7. 대한간호 웹진기사 (2012). 간호교육 4년 일원화, 꿈을 이루다. 제50권 제1회 통권22호(http://webzine.koreanurse.or.kr/Webzine/ read article.php?webzine_id36&sub_cat_id399&is_sub_no 631&article_id881) 

  8. 박춘자 (1995). 진국간호교육의 실제와 문제점-전문대학 교육 과정-.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1), 24-31. 

  9. 송지호 (2011.02.28). 간호교육 학제 일원화 방안. 간호교육 4년 학제 일원화를 위한 국회공청회. 

  10. 신미자, 강윤숙, 하나선, 공병혜, 김인숙, 홍윤미, 장금성, 이명 하, 정경희 (2009). 간호역사와 철학. 서울: 현문사. 

  11. 양은배, 신태진, 김성학, 고요한, 이승희 (2005). 약학대학 학제 개선의 교육학적 타당성. 한국의학교육, 17(3), 225-238. 

  12. 이광옥, 한영란, 김희정 (1996). 대학 및 전문대학의 간호교육 과정 비교연구. 지역사회간호학회지, 7(2), 361-383. 

  13. 이소우 (2000). 한국간호교육 100년 발달사적 연구(1900-2000). 한국간호교육학회지, 6(2). 303-326. 

  14. 이승근 (2012). 전문대학 교육의 역사와 발전과정. 2012 전문 대학 교직원 연수 자료집.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19-54 

  15. 정규숙 (2011.11.30). 내년부터 33곳 전문대학 '4년제 간호과 운영'. 간협신문. 

  16. 정영희 (2011.02.28). 보도자료: 간호학제 일원화를 위한 공청회, http://forkorea.net/swboard/view. php?bcode11&no2409 

  17. 조영달 (2005). 제도공간의 질적연구 방법론. 서울: 교육과학사. 

  18. Braun, V., & Clarke, V. (2006). Using thematic analysis in psychology. Qualitative Research in Psychology, 3, 77-101. 

  19. Hsieh, H. F., & Shannon, S. E. (2005). Three approaches to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Qualitative Health Research, 15(9), 1277-1288. 

  20. Lecompte, M., & Smith, D. A. (1993). Ethnography and Qualitative Design in Educational Research. London: Academic Press. 

  21. McCombs, B. L. (2003). A framework for the redesign of k-12 education in the context of current educational reform. Theory into Practice. 42. 93-1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