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5 no.4, 2012년, pp.951 - 956
박순희 (전주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영양식품요법) , 이슬 (전주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영양식품요법) , 진효상 (전주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영양식품요법)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in order to discover acid-forming bacteria during fermentation of Makgeolli, as Makgeolli loses its commercial value due to overproduced acidic materials. In Makgeolli kept at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막걸리에 유기산이 과잉 생성되면 어떤 결과를 초래하는가? | 막걸리의 저장성을 향상시키는 기술 개발은 막걸리 산패의 원인과 기전을 이해해야 하지만, 아직 이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 막걸리의 산패는 저장 중 증가하는 유기산 때문이며, 유기산은 맛을 내는 성분으로서 막걸리 고유의 신선함을 부여하나, 과잉 생성되면 상품가치를 상실하게 된다(Jung BK 2007; Lee HO 2008). 특히, 유기산중 초산은 이러한 산패의 주원인이며, Acetobacter에 의한 것이다. | |
막걸리의 산패 원인은? | 막걸리의 저장성을 향상시키는 기술 개발은 막걸리 산패의 원인과 기전을 이해해야 하지만, 아직 이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 막걸리의 산패는 저장 중 증가하는 유기산 때문이며, 유기산은 맛을 내는 성분으로서 막걸리 고유의 신선함을 부여하나, 과잉 생성되면 상품가치를 상실하게 된다(Jung BK 2007; Lee HO 2008). 특히, 유기산중 초산은 이러한 산패의 주원인이며, Acetobacter에 의한 것이다. | |
2000년대 초반부터 막걸리 소비량이 증가한 배경은? | 한국 고유의 전통주인 막걸리 소비량은 1970년대 중반부터 감소하기 시작하여 1980년대 이후 주류의 소비패턴 변화로 인해 감소가 지속되었다. 그런데 2000년대 초반부터 술에 대한 다양한 기호도와 고급화가 일어나고, 전통문화로의 회귀현상이 고조되면서 소비량이 증가되고 있다(Chang JH 1989). 농림수산식품부는 막걸리 시장이 2010년 5,200억 원 규모에서 2012년엔 무려 1조 원 규모의 거대시장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Jung 등 2011). |
Blast. http://blast.ncbi.nlm.nih.gov. 2010.9.3 방문
Cha YJ, Park KJ, Kim DK, Chun HS, Lee BK, Kim KH, Lee SY, Kim SJ. 1994.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ellulose producing Acetobacter xylinum KI strain. Korean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2:571-576
Chang JH. 1989. History of Korean spirits. Korean J Dietary Culture 4:271-274
Hong HG. 1984. The effect on the composition of takju of addition of nuruk under varied conditions. MS Thesis, Seoul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J Ames M Jay. 2000. Modern Food Microbiology. 6th ed. pp. 149-152. APAC Pub.
Jung BK. 2007. Studies on Takju brewing with red yeast rice. M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Korea
Jung EK, Kim SJ, Joo NM. 2011. Consumption and satisfaction evaluation of Takju among consumers ages 20 to 29. J Korean Diet Assoc 17:47-57
Jwa MK, Lim SB, Song DJ, Kim BO. 2000. Quality changes of commercial Yakju and Takju during storage. Cheju Journal of Life Science 3:3-9
Kim MY. 2011. Effect of inoculation level of starter culture (Acetobacter aceti) and acetic acid addition on fermentation of Makgeolli vinegar. M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Kirsop BE, Snell JJS. 1984. Maintenance of Microorganisms. pp. 35-40. Academic Press. London
Lee CH, Kim GM. 1995. Determination of the shelf-life of pasteurized Korean rice wine, Yakju, in aseptic packag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27:156-163
Lee HO. 2008. Studies on Takju brewing with birch sap. M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Korea
Lee JS, Lee TW. 1970. Studies on the microflora of Takju brewing. Korean J Microbiol 8:116-133
MSU Ribosomal Database Project. http://rdp.cme.msu.edu. 2010. 9.3 방문
Park CS, Lee TS. 2002. Quality characteristics of Takju prepared by wheat flour Nuruk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296-320
Seo MY, Lee JK, Ahn BH, Cha SK. 2005. The chanages of microflora during the fermentation of Takju and Yakju. Korean J Food Sci Technol 37:61-66
So MH, Lee YS, Noh WS. 1999. Changes in microorganisms and main components during Takju grewing by a modified Nuruk. Korean J Food & Nutr 12:226-232
Sung CK. 1998. Development of natural food preservatives from agricultura products. Ph.D.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orea
Technical Service Institute of National Tax Service. 1997. Manufacturing Guideline of Alcoholic Beverages. pp.83-176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