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황금과 황백 추출물이 젖산균 증식 및 김치 숙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cutellaria baicalensis and Phellodendron amurense Extracts on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and Kimchi Fermentation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3 no.2, 2004년, pp.420 - 426  

박민경 (청운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정광심 (청운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인만진 (청운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실험에서는 우선, 10가지 한약재로 50%-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고 paper disc법을 이용하여 Lac. plantarum 및 Leu. mesenteroides에 대한 항균효과를 검색한 결과 황금추출물은 Leu. mesenteroides에 황백 추출물은 두 균주 모두에 대하여 항균효과를 보였다. 이어서, 각기 다른 농도의 황금 또는 황백 추출물이 첨가된 MRS broth에서 Lac. plantarum과 Leu mesenteroides를 24시간 배양하며 일정 시간에 증식 정도를 측정하였다. 황백 추출물은 두 균주에 대하여 0.05%∼0.2%의 농도에서 우수한 생육 억제효과가 있는 반면 황금 추출물은 Lac. plantarum의 생육 억제에는 큰 효과가 없으나 Leu. mesenteroides에 대해서는 0.1% 농도에서 황백 추출물 0.05%와 유사한 효과를 보였다. 황금과 황백 추출물의 첨가는 실제 김치 숙성에도 영향을 미쳐 0.02%∼0.04%의 황백 추출물 첨가는pH의 저하, 산도, 유산균 및 총균수의 증가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숙성 지연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황금 추출물의 첨가는 0.04% 농도에서 숙성지연 효과를 보였다. 한편, 황금과 황백 추출물의 1:1 혼합 첨가도 0.03%∼0.04%의 농도에서 숙성 지연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같은 농도에서 숙성 지연효과를 비교하면 황백 >황금과 황백의 혼합물>황금의 순으로 나타났다. 0.04%의 황백 추출물 첨가 김치는 숙성 후기인 21일에는 대조구 및 0.02%의 황금 추출물 첨가 김치와, 숙성 28일에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신맛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among 10 medicinal plants extracted with 50%-ethanol, antimicrobial activities measured by paper disc method were showed in Scutellaria baicalensis (Sb) on Leu mesenteroides and in Phellodendron amurene (Pa) on Lac. plantarum and Leu. mesenteroides. While 0.05∼0.2% of Pa extracts sho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Leu. mesenteroides와 Lac.
  • plantarum의 생육억 제 효과가 있는 한약재를 탐색하고, 선택된 한약재 추출물의 첨가 가 김치의 보존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또한, 한약재 추출물의 항균효과는 혼합첨 가에 의해 상승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16) 추출물의 혼합첨가가 김치숙성 및 관능 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도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Park KY. 1995. The nutritional evaluation, and antimutagenic and anticancer effects of kimchi. J Korean Soc Food Nutr 24: 169-182. 

  2. Jeon YS, Kye IS, Cheigh HS. 1999. Changes of vitamin C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kimchi on different cabbage variety and fermentation temperatur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773-779. 

  3. Park KY, Ha JO, Rhee SH. 1996. A study on the contents of dietary fibers and crude fiber in kimchi ingredients and kimchi. J Korean Soc Food Nutr 25: 69-75. 

  4. Lee YO, Park KY, Cheigh HS. 1996. Antioxidative effect of kimchi with various fermentation period on the lipid oxidation of cooked ground meat. J Korean Soc Food Nutr 25: 261-266. 

  5. Byun MW, Cha JH, Kwon HO. 1989. The combined effect of heat treatment and irradiation on the inactivation of major lactic acid bacteria associated with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1: 185-191. 

  6. Kang KO, Ku KH, Lee HJ, Kim WJ. 1991. Effect of enzyme and inorganic salts addition and heat treatment on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183-187. 

  7. An DJ, Lew KC, Lee KP. 1999. Effects of adipic acid and storage temperature on extending the shelf life of kimchi. Food Sci Biotechnol 8: 78-82. 

  8. Moon KD, Byun JA, Kim SJ, Han D. 1995. Screening of natural preservatives to inhibit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257-263. 

  9. Lee SH, Choi UJ, Im YS. 1997. Effect of Scizandra chinensis (Omija) extract on the fermentation of kimchi.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5: 229-234. 

  10. Kim OM, Kim MK, Lee KR, Kim SD. 1998. Selective antimicrobial effects of spices extracts against Lactobacillus plantarum and Leuconostoc mesenteroides isolated from kimchi.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6: 373-378. 

  11. Lee BW, Shin DH. 1991. Antimicrobial effect of some plant extracts and their fractionates for food spoilage microorganisms.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205-211. 

  12. Ahn DJ, Kwak YS, Kim MJ, Lee JC, Shin CS, Jeong KT. 2000. Screening of herbal plant extracts showing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ome food spoilage and pathogenic microorganism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8: 109-115. 

  13.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2002. Food Codex. Moonyong publisher, Seoul. p 24-30. 

  14. Lee CW, Ko CY, Ha DM. 1992. Microfloral changes of the lactic acid bacteria during kimchi fermentation and identification of isolates. Kor J Appl Microbiol 20: 102-109. 

  15. Lim JL, Park HK, Han HE. 1989. Reevaluation of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gram-positive bacteria in kimchi. Korean J Microbiol 12: 404-414. 

  16. Zaika LL. 1988. Spice and herbs; Their antimicrobial activity and its determination. J Food Safety 9: 97-100. 

  17. Kim YD, Kim YJ, Oh SW, Kang YJ, Lee YC. 1999. Antimicrobial activities of solvent extracts from Citrus sudachi juice and peel.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613-1618. 

  18. Park UY, Chang DS, Cho HR. 1992. Screening of antimicrobial activity for medicinal herb extracts. J Korean Soc Food Nutr 21: 91-93. 

  19. Park UY, Chang DS, Cho HR. 1992. Antimicrobial effect of Lithospermi radiradix (Lithospermum erythrorhizon) extract. J Korean Soc Food Nutr 21: 97-100. 

  20. Mheen TI, Kwon TW. 1984. Effect of temperature and salt concentration on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16: 443-450. 

  21. Lee SH, Jo OK. 1998. Effect of Lithospermum erythrorhizon, Glycyrrhiza uralensis and dipping of chitosan of kimchi. Korean J Food Technol 30: 1367-1372. 

  22. Lee SH, Park KN, Lim YS. 1999. Effects of Scutellaria bicalensis G., Lithospermum erythrorhizon extracts and ozon-treated crab shell on fermentation of baechu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359-364. 

  23. Kim MR, Mo EK, Kim JH, Lee KJ, Sung CK. 1999. Effect of hot water extract of natural plants on the prolongation of optimal fermentation time of kakdugi.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365-370. 

  24. Park HS, Cho YW, Park KK, Kim OJ, Ko WK, Ro HS. 1996. Antihyperlipidemic activity of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 Coptidis japonica Makino and Rhei koreanum Nakai on experimental hyperlipidemia in rats. J Korean Pharm Sci 26: 215-219. 

  25. Kim YE, Lee YC. 1997. Antioxidative effect of ethanol fraction for several Korean medicinal plant hot water extracts. J Korean Soc Food Nutr 10: 141-144. 

  26. Park EJ, Lee GY. 1999. Effects of Phellodendron amurense on DNA replication inhibition in methyl methanesulfonatetreated chinese hamster ovary cells. J Toxicol Public Health 15: 461-46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