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진해만에 출현하는 식물플랑크톤을 정량 분석하여 종조성과 분포를 시 공간적으로 파악하고, 군집의 변화와 환경요인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진해만 주변해역 15개 정점에서 2011년 1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매월 1회씩 총 12회 조사하였다. 식물플랑크톤은 총 158종 출현하였으며, 이 중 규조류가 95종, 와편모류가 58종, 유글레나류가 1종, 규질편모류가 4종 출현하였다. 조사 기간 동안 식물플랑크톤의 개체수는 각 정점에서 $4.0{\times}10^3{\sim}9.0{\times}10^7\;cells{\cdot}L^{-1}$의 범위로 나타났다. Chl.a의 경우 7월 평균 값이 가장 높게(13.19 $mg{\cdot}m^{-3}$)나타났으며, 3월 평균 값이 가장 낮게(3.44 $mg{\cdot}m^{-3}$) 나타나,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과 유사한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정량 분석 결과 우점종의 경우, 봄철 Leptocylindrus danicus, Pseudo-nitzschia spp.이 나타났으며, 여름철 Dactliosolen fragilissimus, Pseudo-nitzschia spp., 가을과 겨울에는 Chaetoceros spp., Skeletonema spp.가 우점하여 계절별 종 특이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조사 기간 동안의 질소와 인의 총량의 DIN : DIP비는 진해만 서부 해역은 14 : 1의 비율을 보였고, 진해만 동부 해역은 28 : 1의 비율로 보다 높은 질소의 양을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총인과 총질소 Chl.a 또한 진해만 서부 해역과 비교하여 진해만 동부 해역이 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Thalassiosira spp.와 Skeletonema spp.에 의해 진해만 동부해역이, Leptocylindrus danicus와 Pseudo-nitzschia spp.에 의해 진해만 서부 해역으로 식물플랑크톤 군집 구조에 의해서 나뉘어 졌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eographic distribution and species composition of phytoplankton were investigated in Jinhae Bay for 12 months. Total 158 species were found including 95 bacillariophyceae, 58 dinophyceae, 1 euglenoids, and 4 dictyochaceae. The total cell numbers of phytoplakton ranged from $4.0{\times}10^3{\s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진해만 해역의 2011년부터 주기적인 조사를 통하여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의 시·공간적 분포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진해만 전체해역에서 식물플랑크톤의 수평적 군집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서 2011년 1월부터 12월 까지 월 1회씩, 15개 정점에서 식물플랑크톤 개체수 밀도와 환경요인을 조사하였다. 진해만의 영양염류는 반폐쇄성 지역의 특성으로 인하여 담수 유입의 영향이 매우 크게 나타나, 집중호우가 일어나는 7월과 8월에 높은 DIN과 낮은 염분을 나타내 식물 플랑크톤의 군집구조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행암만에 겨울철에도 빈번하게 적조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마산만은 최초로 적조 연구가 이루어진 해역으로, 높은 영양염으로 인하여 적조규모가 대형화·장기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행암만 또한 내만의 생활하수 및 산업폐수의 영향으로 부영양화가 심화된 해역으로 겨울철에도 빈번하게 적조 현상이 나타내며 환경수질 기준에 평균 2배 이상을 초과하는 유기물질로 오염되어 있다. 원문만 및 고현만 도 도시와 산업시설에 의한 오폐수의 유입과 외해수와의 교환이 원활하지 않아 수질이 나쁘며, 이로 인한 적조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해역이다.
A. sanguinea는 진해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A. sanguinea는 11월 진해만 전체 해역에서 다소 높은 밀도를 보이고 적조띠를 형성하며 적조를 발생 시키고 있었다.
진해만에 나타나는 식물플랑크톤의 순위-빈도는 어떠한가? 식물플랑크톤은 총 158종이 출현하였고, 전체의 90 %이상이 규조류의 점유율을 보였고, 다음으로 와편모조류와 규질편모조류, 유글레나 순으로 관찰되었다. 식물플랑크톤의 출현 순위-빈도는 Dactliosolen fragilissimus(21.7 %), Pseudo-nitzschia spp.(16.8 %), Chaetoceros spp.(15.7 %), Thalassiosira spp.(13.6 %), Skeletonema spp.(9.7 %), Leptocylindrus danicus(6.8 %) 순으로 나타나 전체 출현종의 84.3 %를 차지하고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Baek, S. H. and Y. O. Kim(2010), The Study of summer seadon in Jinhae Bay-Short-term changes of community structure and horizont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phytoplankton-, Korean J. Environ. Biol., Vol. 28, No. 3, pp. 115-124. 

  2. Bergon, P.(1903), Etudes sur la flora diatomique du bassin d' Arcachon et des parages de l' Atlantique voisins des cette station, Bulletin de la Societe d' Arcachon., Vol. 3, p. 49. 

  3. Bizsel, N. and O. Uslu(2000), Phosphate, nitrogen and iron enrichment in the polluted Izmir Bay, Aegean Sea, Mar. Environ. Res., Vol. 49, pp. 101-122. 

  4. Bockstahler, K. R and D. W. Coats(1993), Grazing of the mixotrophic dinoflagellate Gymnodinium sanguineum on ciliate population of Chesapeake Bay, Mar. Biol. Vol. 116, pp. 477-487. 

  5. Botes, L., G. C. Pitcher and P. A. Cook(2000), The potential risk of harmful algae to abalone farming the south coast of South Africa, J. Shellfish Res. Vol. 19, p. 502. 

  6. Brogueira, M. J., M. R Oliveira and G. Cabec adas(2007) Phyt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defined by key environmental variables in Tagus estuary, Portugal, Mar. Environ. Res., Vol. 64, pp. 616-628. 

  7. Carstensen, J., D. J. Conley and P. Henriksen(2004), Frequency, composition and causes of summer phytoplankton blooms in a shallow coastal ecosystem, the Kattegat, Limnlogy and Oceanography, Vol. 49, pp. 191-201. 

  8. Cho, C. H.(1978), On the Gonyaulax red tide in Jinhae bay, Bull. Korean Fish. Soc., Vol. 11, No. 2, pp. 111-114. 

  9. Cho, C. H.(1979), Mass motalitys of oyster due to red tide in Jinhae Bay in 1978, Bull. Kor. Fish. Soc., Vol. 12, No. 1, pp. 27-33. 

  10. Cho, K. J., M. Y. Choi, S. K. Kook, S. H. Im, D. Y. Kim, J. G. Park and Y. E. Kim(1998), Eutrophication and Seasonal variation of water quality in Masan-Jingae Bay, The Sea. J.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ol. 3, No. 4, pp. 193-202. 

  11. Choi, M. Y., S. K. Kwak, and K. J. Cho(2000), Algal bloom and distribution of Prorocentrum population in Masan-Jingae Bay, Korean J. Environ. Biol, Vol. 18, No. 4, pp. 447-456. 

  12. Graham, L. E., J. M. Graham and L. W. Wilcox(1998), ALGAE second edition, PEARSON Education, p. 616. 

  13. Han, M. S., K. Furuya and T. Nemoto(1992), Specie spspecific productivity of Skeletonema costatum in the inner part of Tokyo Bay, Mar.Ecol.Prog.Ser., Vol. 79, pp. 267-273. 

  14. Han, M. S., S. W. Kim and Y. O. Kim(1991), Influence of discontinuous layer on plankton community structure and distribution in Masan Bay, Korea, Bull. Korean Fish. Soc., Vol. 24, pp. 459-471. 

  15. Hasle, G. R.(1975), Some living marine species of diatom family Rhizosoleniaceae, Beigeft zur Nova Hedwigia, Vol. 53, p. 114. 

  16. Kim, H. G.(2005), Harmful algal Blooms in the sea, Dasom Publishing Co., p. 467. 

  17. Kim, J. K.(1989), Numerical model of dynamics of phytoplankton community in Masan bay, Korea, Department of Biology, Graduate School Hanyang University, Korea. p. 109. 

  18. Kim, J. G., C. K. Park and S. G. Shin(1995), The eutrophication modelling for Jinhae Bay in summer - Simulation of phytoplankton distribution by ecosystem model, J.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Vol. 3, pp. 185-195. 

  19. Lee, J. H., M. Y. Han and H. T. Huh(1981), Studies on the causative organisms of red tide in the Jinhae Bay, Bulletin of KORDI, Vol. 3, pp. 97-105. 

  20. Lee, P. Y.(1993), Occurrence and Seasonal Variation of Oxygen-Deficient Watermass in Wonmun Bay. Bull. Korean Fish. Soc., Vol. 26, No. 4, pp. 392-400. 

  21. Lee, Y. S.(2002), Aninfluence of inflowing freshwater on the diatom blooms in the Eastern Coast of Dolsan, Yosu, Korea, J. KSESS, Vol. 24, No. 3, pp. 477-488. 

  22. Nybakken, J. W.(1993), Marine biology-An ecological approach-(3rd edition), Harper Collins Coll, Pub., New York, p. 595. 

  23. Park, J. G., H. J. Hur, D. W. COATS, W. H. Yih and N. Ha(2007), Eudoparasitic dinoflagellates, Amoebophyra spp. and their host dinoflagellates in Jinhae Bay, Korea, J. Kor. Soc. of Oceanogr, Vol. 12, No. 4, pp. 359-369. 

  24. Park, J. G., S. H. Huh and H. J. Jeong(2001), Phytoplankton in Chinhae Bay : I. Photosynthetic Properties and Primary Production in Variant Light Environments, ALGAE, Vol. 16, pp. 189-196. 

  25. Park, J. S.(1980), Studies on seasonal changes in population and species composition of phytoplankton and their effects on oysters and local fishery resoiurces as food organisms and as a cause of red tide in the South Coast of Korea, Bull. Fish. Res. Vol. 23, pp. 7-157. 

  26. Park, J. S.(1982),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red tide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in Jinhae Bya, Bull. Fish. Res. Vol. 28, pp. 55-88 

  27. Park, J. S. and S. G. Lee(1990), Distribution and Species Composition of Phytoplankton in the Southern Waters of Korea and their Relation to the Character of Water Masses, Korean Fish. Soc., Vol. 23, No. 3, pp. 208-214. 

  28. Parosns, R. R., M. Takahashi and B. Hargrave(1984), Biological oceanographic process, 3rd ed., Pergamon Press, pp. 143-157. 

  29. Redfield, A. C., B. H. Ketchum and F. A. Richards(1963), The influence of organisms on the composition of seawater, The sea. Juhn Wiley. New York, Vol. 2, pp. 26-77. 

  30. Robichaux, R. J., Q. Dortch and J. H. Wrenn(1998), Occurrence of Gymnodinium sanguineum in Louisiana and Texas coastal waters, 1989-1994, NOAA Technical Report NMFS, Vol. 143, pp. 19-26. 

  31. Ryther, J. G. and W. M. Dunstan(1971), nitrogen, phosphorus and eutrophication in the coastal environment, Science, Vol. 171, pp. 1008-1013. 

  32. Wu, J. T., and T. L. Chou(2003), Silicate as the limiting nutrient for phytoplankton in a subtropical eutrophic estuary of Taiwan, Estuar. Coast. Shelf Sci, Vol. 58, pp. 155-162. 

  33. Wu, Y., C. Zhou, Y. Zhang, X. Pu and W. Li(2000), Evolution and causes of formation of Gymnodinium sanguineum bloom in Yantai Sishili Bay, Oceanol. Limnol. Sin. Haiyang. Yu Huzhao. Vol. 32, pp. 159-167. 

  34. Yeo, H. G. and M. O. Park(1997), Seasonal variations of phytoplankton community and water quality in the East Area of Chinhae Bay, J. Kor. Environ. Soc., Vol. 6, No. 3, pp. 231-238. 

  35. Yoo, K. H. and J. W. Lee(1976), Environmental studies on Masan Bay 2. Annual cycle of phytoplankton, The Journal of the Oceanological Society of Korea, Vol. 11, No. 1, pp. 34-38. 

  36. Yoo, K. I. and J. H. Lee(1979), Environmental studies of the Jungae Bay. 1. Annual cycle of phytoplankton population, 1976-1978, J. Oceanol. Soc. Kor., Vol. 14, pp. 26-31. 

  37. Yoo, K. I. and J. H. Lee(1980), Environmental studies of the Jungae Bay. 2. Environmental parameters in relation to phytoplankton population dynamics, J. Oceanol. Soc. Kor., Vol. 15, pp. 62-65. 

  38. Yoo, M. H., T. Y. Song, E. S. Kim and K. J. Choi(2007), The characteristics on the sp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in the Western Jinhae Bay, Korea, The Sea. J. Lor. Soc. Oceanogr, Vol. 12, No. 4, pp. 305-314. 

  39. Yoon, Y. H., H. K. Rho and Y. K. Kim(1992), Seasonal succession of phytoplankton population in the Hamdok Port, Northern Cheju Island, Cheju Nat. Univ., Vol. 16, pp. 27-42. 

  40. Yoon, Y. H.(1995), Seasonal dynamics of phytoplankton community and red tide organisms in the Northern Kamak Bay, Southern Korea., Yosu Nat'l Fish. Univ., Vol. 4, pp. 1-15. 

  41. Yoon, Y. H. and N. P. Koh(1995), Studies on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breeding ground in the Kogum-sudo, southern part of Korean peninsula 1. Seasonal succession of phytplankton population, Journal of Aquaculture, Vol. 8, No. 1, pp. 1-15. 

  42. Yoon, Y. H.(1999), The characteristics on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s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in Deukryang Bay, Southwestern Korea, Korean J. Environ. Bilo., Vol. 17, No. 4, pp. 481-492. 

  43. Yoon, Y. Y., H. S. Cho, I. H. Choi, M. O. Lee, I. H. Park, S. Hiroishi and T. Otake(2001), A characteristics of marine environment and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Western Junhae Bay, Korean Association of Oc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Vol. 2001, pp. 291-297. 

  44. Zingone, A., R. Casotti, M. R. Dalcala, M. Scardi, and D. Marino(1995), St-Martins summer: thecae of and autumn phytoplankton bloom in the Gulf of Naples (Mediterranean Sea), J. Plankton Research, Vol. 17, pp. 575-59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