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팔꿉관절 가쪽위관절 통증 환자에서 근위방향 기능적 마사지를 이용한 노쪽 손목 폄근 신장운동이 통증과 근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tretching Extensor Carpi Radialis With Proximal Functional Massage on Pain and Strength in Patients With Lateral Epicondylalgia 원문보기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Physical Therapy Korea, v.19 no.1, 2012년, pp.66 - 75  

정성대 (연세대학교 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하성민 (연세대학교 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김수정 (연세대학교 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박규남 (연세대학교 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권오윤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보건환경대학원 인간공학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two types of stretching extensor carpi radialis on the visual analog scale (VAS), pressure-pain thresholds (PPTs), grip strength (GS), and strength of wrist extensor (SWE) in patients with lateral epicondylalgia. Sixteen patients with latera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일반적으로 임상에서 사용되는 신장운동이 팔꿉관절 가쪽위관절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결과적으로 드러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을 연구하기 위해 시작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팔꿉관절 가쪽위관절 통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노쪽 손목 폄근의 전통적 신장운동(conventional stretching; CS)과 근위방향 기능적 마사지를 이용한 신장운동(stretching of proximal functional massage; PFM)이 시각적 상사 척도(visual analog scale; VAS), 압통 역치(pressure-pain thresholds; PPTs), 악력(grip strength; GS) 그리고 손목 폄근력(strength of wrist extensor; SWE)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 두 가지 신장운동 간 효과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은 첫 번째로, 팔꿉관절 가쪽위관절 통증이 있는 대상자들에게 노쪽 손목 폄근 신장운동을 실시했을 때 통증이 감소(VAS, PPTs)하고 근력(GS, SWE)이 증가할 것이다.
  • 본 연구는 일반적으로 임상에서 사용되는 신장운동이 팔꿉관절 가쪽위관절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결과적으로 드러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을 연구하기 위해 시작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팔꿉관절 가쪽위관절 통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노쪽 손목 폄근의 전통적 신장운동(conventional stretching; CS)과 근위방향 기능적 마사지를 이용한 신장운동(stretching of proximal functional massage; PFM)이 시각적 상사 척도(visual analog scale; VAS), 압통 역치(pressure-pain thresholds; PPTs), 악력(grip strength; GS) 그리고 손목 폄근력(strength of wrist extensor; SWE)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 두 가지 신장운동 간 효과를 비교하였다.
  • 본 연구는 팔꿉관절 가쪽위관절 통증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써, CS과 PFM의 전후 효과를 알아보고 또한 이 두 가지 신장운동간 차이를 비교하여 어떤 신장운동이 팔꿉관절 가쪽위관절 통증 감소에 더 효과적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팔꿉관절 가쪽위관절 통증이 있는 대상자의 증상 개선 및 통증 감소를 위해 전통적인 신장운동과 근위방향 기능적 마사지를 이용한 신장운동을 제시하고, 각각의 신장운동에 따른 시각적 상사척도, 압통 역치, 악력 그리고 손목 폄근력의 변화를 알아보고두 가지 신장운동 중에서 어느 방법이 더 효과적인지 알아보고자 시도하였다. 연구 결과, 근위방향 기능적 마사지를 이용한 신장운동은 시각적 상사척도 감소, 압통 역치, 악력 그리고 손목 폄근력의 유의한 증가를 나타낸 반면, 전통적 신장운동은 시각적 상사척도의 감소와 악력의 증가만 유의하게 나타날 뿐, 압통 역치와 손목 폄근력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 본 연구에서는 신장운동으로 발생되는 장력 스트레스가 손상 부위에 발생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노쪽 손목 폄근들의 신장 운동 시 근위방향 기능적 마사지를 이용하였다. 결과적으로, 근위방향 기능적 마사지를 이용한 신장운동은, 전통적 신장운동 동안 발생되는 수동적 장력 스트레스로 인한 염증 또는 열상 부위(상대적으로 장력 스트레스에 취약한 손상 부위)의 악화와 정상적인 치유 과정을 방해할 수 있는 요인들을 예방하며 근육을 신장할 수 있었기 때문에 CS에 비해 PFM 실시 후 통증이 더 감소하였으며, 근력 역시 상대적으로 더 증가하였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의 가설은 첫 번째로, 팔꿉관절 가쪽위관절 통증이 있는 대상자들에게 노쪽 손목 폄근 신장운동을 실시했을 때 통증이 감소(VAS, PPTs)하고 근력(GS, SWE)이 증가할 것이다. 두 번째로, PFM 방법이 CS 방법보다 더 효과적일 것이라는 연구 가설을 설정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팔꿉관절 가쪽위관절 통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노쪽 손목 폄근의 전통적 신장운동(conventional stretching; CS)과 근위방향 기능적 마사지를 이용한 신장운동(stretching of proximal functional massage; PFM)이 시각적 상사 척도(visual analog scale; VAS), 압통 역치(pressure-pain thresholds; PPTs), 악력(grip strength; GS) 그리고 손목 폄근력(strength of wrist extensor; SWE)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 두 가지 신장운동 간 효과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은 첫 번째로, 팔꿉관절 가쪽위관절 통증이 있는 대상자들에게 노쪽 손목 폄근 신장운동을 실시했을 때 통증이 감소(VAS, PPTs)하고 근력(GS, SWE)이 증가할 것이다. 두 번째로, PFM 방법이 CS 방법보다 더 효과적일 것이라는 연구 가설을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팔꿉관절 가쪽위관절 통증의 증상은 무엇인가? 팔꿉관절 가쪽위관절 통증(lateral epicondylalgia)은 일반적으로 손목 또는 손가락을 펴는 동안 팔꿉관절 가쪽위관절 융기부위에 통증이 발생하고 가쪽위관절 융기 (lateral epincondyle)부위의 압통 역치가 감소하여 촉진 시 압통이 나타나며, 악력의 감소를 보인다(Abbott 등, 2001; Buchbinder 등, 2002; Stephens, 1995; Struijs 등, 2003; Yaxley과 Jull, 1993). 흔히 ‘테니스 엘보우(tennis elbow)’로 알려져 있으며, 손목과 아래팔의 빠르고 반복 적인 움직임이 요구되는 직업 또는 스포츠 활동들에서 발생된다고 보고되었다(Dimberg, 1987; Gellman, 1992; Hong 등, 2004; Pienimäki 등, 1996).
현재까지 신장운동이 팔꿉관절 가쪽위관절 통증을 감소시키기 위한 중재방법 중 하나로써 제시되고 널리 사용되어 온 이유는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신장운동은 뻣뻣한 근육들로 인해 야기 되는 근육 동통(soreness)등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나, 뻣뻣한 근육들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손상들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으로 제시되어왔다(High 등, 1989; Power 등, 2004; Safran 등, 1989; Smith, 1994). 팔꿉관절 가쪽위 관절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들도 여러 연구들에서 노쪽 손목 폄근과 손가락 폄근의 반복적 사용 및 과사용으로 인해 뻣뻣함이 증가된다고 보고되었다(Kohia 등, 2008; Kraushaar과 Nirschl, 1999; Nagrale 등, 2009).
테니스 엘보우는 언제 발생하는가? 팔꿉관절 가쪽위관절 통증(lateral epicondylalgia)은 일반적으로 손목 또는 손가락을 펴는 동안 팔꿉관절 가쪽위관절 융기부위에 통증이 발생하고 가쪽위관절 융기 (lateral epincondyle)부위의 압통 역치가 감소하여 촉진 시 압통이 나타나며, 악력의 감소를 보인다(Abbott 등, 2001; Buchbinder 등, 2002; Stephens, 1995; Struijs 등, 2003; Yaxley과 Jull, 1993). 흔히 ‘테니스 엘보우(tennis elbow)’로 알려져 있으며, 손목과 아래팔의 빠르고 반복 적인 움직임이 요구되는 직업 또는 스포츠 활동들에서 발생된다고 보고되었다(Dimberg, 1987; Gellman, 1992; Hong 등, 2004; Pienimäki 등, 1996). 일반적으로, 팔꿉관절 가쪽위관절 융기염은 노쪽 손목 폄근 힘줄 (extensor carpi radialis brevis & longus tendon) 또는 손목 폄근(extensor digitorum)의 손상과 깊은 관련이 있다고 알려졌다(Noteboom 등, 1994; Phil 등, 2010; Sahrmann, 2011; Stasinopoulos과 Johnson,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Abbott JH, Patla CE, Jensen RH. The initial effects of an elbow mobilization with movement technique on grip strength in subjects with lateral epicondylalgia. Man Ther. 2001;6(3):163-169. 

  2. Appell HJ. Muscular atrophy following immobilisation: A review. Sports Med. 1990;10(1):42-58. 

  3. Bauer JA, Murray RD. Electromyographic patterns of individuals suffering from lateral tennis elbow. J Electromyogr Kinesiol. 1999;9(4):245-252. 

  4. Briggs CA, Elliott BG. Lateral epicondylitis. A review of structures associated with tennis elbow. Anat Clin. 1985;7(3):149-153. 

  5. Buchbinder R, Green S, Bell S, et al. Surgery for lateral elbow pain.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02(1). 

  6. Chan HL, Ng GY. Effect of counterforce forearm bracing on wrist extensor muscles performance. Am J Phys Med Rehabil. 2003;82(4):290-295. 

  7. Chung B, Wiley JP. Effectiveness of extracorporeal shock wave therapy in the treatment of previously untreated lateral epicondyliti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m J Sports Med. 2004;32(7):1660-1667. 

  8. Cleary MA, Kimura IF, Sitler MR, et al. Temporal pattern of the repeated bout effect of eccentric exercise on delayed-onset muscle soreness. J Athl Train. 2002;37(1):32-36. 

  9. Dimberg L. The prevalence and causation of tennis elbow (lateral humeral epicondylitis) in a population of workers in an engineering industry. Ergonomics. 1987;30(3):573-579. 

  10. Drechsler WI, Knarr JF, Snyder-Mackler L. A comparison of two treatment regimens for lateral epicondylitis: A randomized trial of clinical interventions. J Sport Rehabil. 1997;6(3):226-234. 

  11. Erak S, Day R, Wang A. The role of supinator in the pathogenesis of chronic lateral elbow pain: A biomechanical study. J Hand Surg Br. 2004;29(5):461-464. 

  12. Fess EE. Grip Strength: Clinical assessment recommendations. 2nd ed. Chicago. American Society of Hand Therapists. 1992:41-45. 

  13. Finsen L, Sogaard K, Graven-Nielsen T, et al. Activity patterns of wrist extensor muscles during wrist extensions and deviations. Muscle Nerve. 2005;31(2):242-251. 

  14. Gellman H. Tennis elbow (lateral epicondylitis). Orthop Clin North Am. 1992;23(1):75-82. 

  15. High DM, Howley ET, Franks BD. The effects of static stretching and warm-up on prevention of delayed-onset muscle soreness. Res Q Exerc Sport. 1989;60(4):357-361. 

  16. Hong QN, Durand MJ, Loisel P. Treatment of lateral epicondylitis: Where is the evidence? Joint Bone Spine. 2004;71(5):369-373. 

  17. Innes E. Handgrip strength testing: A review of the literature. Aust Occup Ther J. 1999;46(3):120-140. 

  18. Kochar M, Dogra A. Effectiveness of a specific physiotherapy regimen on patients with tennis elbow: Clinical study. Physiotherapy. 2002;88(6):333-341. 

  19. Kohia M, Brackle J, Byrd K, et al. Effectiveness of physical therapy treatments on lateral epicondylitis. J Sport Rehabil. 2008;17(2):119-136. 

  20. Kraushaar BS, Nirschl RP. Tendinosis of the elbow (tennis elbow): Clinical features and findings of histological, immunohistochemical, and electron microscopy studies. J Bone Joint Surg Am. 1999;81(2):259-278. 

  21. Kroslak M, Murrell GAC. Tennis elbow counterforce bracing. Techniques in Shoulder and Elbow Surgery. 2007;8(2):75-79. 

  22. Khamwong P, Nosaka K, Pirunsan U, Paungmali A. Reliability of muscle function and sensory perception measurements of the wrist extensors. Physiother Theory Pract. 2010;26(6):408-415. 

  23. Lin YC, Tu YK, Chen SS, et al. Comparison between botulinum toxin and corticosteroid injection in the treatment of acute and subacute tennis elbow: A prospective, randomized, double- blind, active drug-controlled pilot study. Am J Phys Med Rehabil. 2010;89(8):653-659. 

  24. Nagrale AV, Herd CR, Ganvir S, et al. Cyriax physiotherapy versus phonophoresis with supervised exercise in subjects with lateral epicondylalgia: A randomized clinical trial. J Man Manip Ther. 2009;17(3):171-178. 

  25. Ng GY, Chan HL. The immediate effects of tension of counterforce forearm brace on neuromuscular performance of wrist extensor muscles in subjects with lateral humeral epicondylosis. J Orthop Sports Phys Ther. 2004;34(2):72-78. 

  26. Nirschl RP, Pettrone FA. Tennis elbow. The surgical treatment of lateral epicondylitis. J Bone Joint Surg Am. 1979;61(6):832-839. 

  27. Noteboom T, Cruver R, Keller J, et al. Tennis elbow: A review. J Orthop Sports Phys Ther. 1994;19(6):357-366. 

  28. Osborne H. Stop injecting corticosteroid into patients with tennis elbow, they are much more likely to get better by themselves! J Sci Med Sport. 2010;13(4):380-381. 

  29. Paungmali A, O'Leary S, Souvlis T, et al. Hypoalgesic and sympathoexcitatory effects of mobilization with movement for lateral epicondylalgia. Phys Ther. 2003;83(4):374-383. 

  30. Phil P, Franck C, Lardner R. Assessment and Treatment of Muscle Imbalance: The Janda approach. Champaign, IL., Humen Kinetics. 2010: 209-210. 

  31. Phillips BA, Lo SK, Mastaglia FL. Muscle force measured using "break" testing with a hand-held myometer in normal subjects aged 20 to 69 years. Arch Phys Med Rehabil. 2000;81(5):653-661. 

  32. Pienimaki TT, Tarvainen TK, Siira PT, et al. Progressive strengthening and stretching exercises and ultrasound for chronic lateral epicondylitis. Physiotherapy. 1996;82(9):522-530. 

  33. Power K, Behm D, Cahill F, et al. An acute bout of static stretching: Effects on force and jumping performance. Med Sci Sports Exerc. 2004;36(8):1389-1396. 

  34. Safran MR, Seaber AV, Garrett WE Jr. Warm-up and muscular injury prevention. An update. Sports Med. 1989;8(4):239-249. 

  35. Sahrmann SA. Movement System Impairment Syndromes of the Extremities, Cervical and Thoracic Spines. St. Louis, Mosby Inc., 2011:197-198. 

  36. Slater H, Theriault E, Ronningen BO, et al. Exercise-induced mechanical hypoalgesia in musculotendinous tissues of the lateral elbow. Man Ther. 2010;15(1):66-73. 

  37. Smidt N, van der Windt DA, Assendelft WJ, Mourits AJ, Deville WL, de Winter AF, Bouter LM. Interobserver reproducibility of the assessment of severity of complaints, grip strength, and pressure pain threshold in patients with lateral epicondylitis. Arch Phys Med Rehabil. 2002;83(8):1145-1150. 

  38. Smith CA. The warm-up procedure: To stretch or not to stretch. A brief review. J Orthop Sports Phys Ther. 1994;19(1):12-17. 

  39. Stasinopoulos D, Johnson MI. 'Lateral elbow tendinopathy' is the most appropriate diagnostic term for the condition commonly referred-to as lateral epicondylitis. Med Hypotheses. 2006;67(6):1400-1402. 

  40. Stasinopoulos D, Johnson MI. It may be time to modify the cyriax treatment of lateral epicondylitis. J Bodywork Mov Ther. 2007;11(1):64-67. 

  41. Stephens G. Lateral epicondylitis. J Man Manip Ther. 1995;3(2):50-58. 

  42. Stratford PW, Levy DR, Gowland C. Evaluative properties of measures used to assess patients with lateral epicondylitis at the elbow. Physiother Can. 1993;45(3):160-164. 

  43. Struijs PA, Damen PJ, Bakker EW, et al. Manipulation of the wrist for management of lateral epicondylitis: A randomized pilot study. Phys Ther. 2003;83(7):608-616. 

  44. Svernlov B, Adolfsson L. Non-operative treatment regime including eccentric training for lateral humeral epicondylalgia. Scand J Med Sci Sports. 2001;11(6):328-334. 

  45. Vicenzino B, Paungmali A, Buratowski S, et al. Specific manipulative therapy treatment for chronic lateral epicondylalgia produces uniquely characteristic hypoalgesia. Man Ther. 2001;6(4):205-212. 

  46. Wadsworth TG. Tennis elbow: Conservative, surgical, and manipulative treatment. Br Med J (Clin Res Ed). 1987;294(6572):621-624. 

  47. Weerapong P, Hume PA, Kolt GS. The mechanisms of massage and effects on performance, muscle recovery and injury prevention. Sports Med. 2005;35(3):235-256. 

  48. Yaxley GA, Jull GA. Adverse tension in the neural system. A preliminary study of tennis elbow. Aust J Physiother. 1993;39(1):15-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