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일본.인도네시아 간호대학생의 죽음에 대한 태도 비교
Comparison of Attitudes toward Death among Nursing Students from South Korea, Japan and Indonesia 원문보기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15 no.4, 2012년, pp.212 - 221  

Lee, So Woo (일본 오이타 현립 간호과학대학) ,  Lee, So Young (꽃동네대학교 간호학과) ,  Lee, Young Whee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  Kuwano, Noriko (일본 오이타 현립 간호과학대학) ,  Ando, Michiyo (일본 성 마리아대학교 간호학과) ,  Hayashi, Mariko (일본 후쿠오카 적십자병원) ,  Wardaningsih, Shanti (인도네시아 무하마디아 요가카타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는 한국 일본 인도네시아 간호대학생의 죽음에 대한 태도를 비교함으로써 각 국가별 죽음에 대한 태도의 차이를 파악하고 간호학 교육과정에서의 죽음 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방법: 한국 일본 인도네시아 간호대학생 294명을 대상으로 Wong 등의 죽음 태도 질문지(Death Attitude Profile Revised: DAP-R 32)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서술적 통계와 ${\chi}^2$-test, ANOVA, multiple comparison analysi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한국 일본 인도네시아 간호대학생의 죽음 태도(DAP-R) 전체 32항목의 평균 값은 $3.84{\pm}0.73$이었고 국가 별로는 인도네시아 $4.32{\pm}0.71$, 한국 $3.75{\pm}0.57$, 일본 $3.56{\pm}0.70$의 순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하위영역별로는 죽음 회피와 접근적 수용은 인도네시아가 가장 높았고($3.67{\pm}1.38$, $5.37{\pm}1.00$), 중립적 수용은 한국이 $5.51{\pm}0.91$, 도피적 수용은 일본이 $3.63{\pm}1.46$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01). 말기환자를 담당한 경험에 따라 죽음에 대한 접근적 수용을 하는 경향이 유의하게 컸다(P=0.047).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제외한 4개 하위 영역에서 각 국가별 죽음에 대한 태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결론: 간호대학생이 죽음에 대한 바람직한 태도를 형성할 수 있도록 각 국가별 죽음에 대한 태도와 사회 문화적 요인을 고려한 죽음 교육 과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nursing students' attitudes toward death among South Korea, Japan and Indonesia, and to confirm the need for death education in nursing. Methods: A total of 294 nursing students completed a questionnaire titled as the Death Attitude Profile-Revised (Wo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한국·일본·인도네시아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죽음에 대한 태도를 파악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한국·일본·인도네시아 간호대학생의 죽음에 대한 태도를 비교함으로써 각 국가별 죽음에 대한 태도의 차이를 파악하고 간호학 교육과정에서의 죽음 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 또한 죽음에 대한 태도가 국가와 문화적 배경 등에 따라 다양하다고 보고되어 왔으므로(9,10) 국가별 죽음에 대한 태도 비교는 죽음과 삶에 대한 대상자 이해의 폭을 넓히고 이를 통해 간호의 정체성과 임종환자 간호에서 필요한 핵심적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일본, 인도네시아 간호대학생의 죽음에 대한 태도 비교를 통해 국가별 죽음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 간호학 교육과정에서의 죽음 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삶의 질에 대한 요구를 증가시키고 있는 원인은 무엇인가? 인구의 고령화와 만성퇴행성질환의 증가는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국민 개개인의 관심을 증가시키고 있으며 나아가 국민의 건강권을 확보하고 유지하기 위한 사회적 책임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경제 개발로 인한 사회변화와 함께 정보화 사회, 지식 사회로의 빠른 변화는 신체적 건강만이 아닌 정신적, 사회적 건강의 중요성과 삶의 질에 대한 요구를 증가시키고 있다.
죽음이란? 죽음은 모든 인간이 겪어야 하는 보편적이고 절대적인 현상으로서 모든 개인이 한번은 경험하는 고유한 사건이다. 전통적인 가족제도 하에서 죽음은 인간의 마지막 삶을 마무리하는 과정으로 가족의 돌봄 속에서 맞이 하였으나 산업발달 및 의ㆍ과학의 발달과 함께 평균수명은 연장된 반면, 핵가족화로 인해 가족과 분리되어 대부분 죽음을 의료기관에서 맞이하고 있다(1).
죽음의 태도에 대한 사회적, 심리적 접근이 시작되었고 삶과 죽음의 연관성 및 삶의 질과 관련된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 배경은 무엇인가? 오늘날 죽음은 질병이나 굶주림, 노화로 인한 죽음에서 벗어나 재해, 사고, 자살 등에 의한 죽음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정 연령층이 아닌 전 연령층이 함께 고민해야 하는 공통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죽음의 태도에 대한 사회적, 심리적 접근이 시작되었고 삶과 죽음의 연관성 및 삶의 질과 관련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Kim SN, Choi SO, Lee JJ, Sin KI. Effects of death education program on attitude to death and meaning in life among university students. J Korean Soc Health Educ Promot 2005;22:141-53. 

  2. Lee YH. Death-preparing education model development based on the study about attitude toward death and death-preparing education desire [master's thesis]. Seoul: Ewha Woman's Univ.; 1998. Korean. 

  3. Yoon MO. Effect of death preparing education program on death anxiety and meaning of life in volunteers.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09;12:199-208. 

  4. Kim HM.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attitudes for the death among the aged: with the aged who live in Su-won city [master's thesis]. Yongin: Kangnam Univ.; 2001. Korean. 

  5. Hattori K, McCubbin MA, Ishida DN. Concept analysis of good death in the Japanese community. J Nurs Scholarsh 2006;38:165-70. 

  6. Kang KA, Lee KS, Park KW, Kim YH, Jang MJ, Lee E. Community dwellers' perception of past life recollection and preparation for death.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1;14:81-90. 

  7. Oyama Y, Okino Y. The comparison study about the perception of life and death of nurses and nursing students. Journal of Japanese Academy of Nursing 2003;34:75-7. 

  8. Kim S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nsive care unit nurses' death perception and terminal care performance. [master's thesis]. Suwon: Ajou Univ.; 2011. Korean. 

  9. Maruyama K. Psychological study of life and death. J Seigakuin Univ. 2004;16:189-218. 

  10. Furuya Y, Ono K, Yokoyama H. Nursing students' perception of life and death. Bull Yamanashi Junior Coll Nurs 2003;9:115-29. 

  11. Damiati N. Nurses' attitudes towards death and caring for terminally Ill patients: a comparative study among Indonesia, Japan, and Korea [master's thesis]. Oita: Oita Univ.; 2010. English. 

  12. Michihiro M, Oka S, Hashimoto K, Ando K, Yasufuku M, Nagoshi M. Comparison of awareness of life/death between nursing college students in Japan and Korea. J Jpn Nurs Health Sci 2004;4:13-21. 

  13. Lee YE, Park HS, Son SK. The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 well-being and attitude toward death in nursing students. Faith & Scholarship 2007;12:195-232. 

  14. Kim TS, Cho MK. A study of the nursing students' attitudes toward death according to practice experiences. Chungnam Med J 1993;20:275-91. 

  15. Kim kH, Kim KD, Byun HS, Chung BY. Spiritual well-being, self esteem, and attitude to death among nursing students. J Korean Oncol Nurs 2010;10:1-9. 

  16. Kim SH, Kim DH, Son HM. Comparison of attitudes of nursing students toward death,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clinical experience.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1;14:144-51. 

  17. Isshiki Y, Kawano M. The survey on Images of death of nursing students and another discipline's students-comparison of question items results of each discipline-. J Integr Res Nurs 2000;2:57-61. 

  18. Wong PTP, Recker GT, Gesser G. Death attitude profile-revised: a multidimensional measure of attitudes toward death. In: Neimeyer RA, ed. Death anxiety handbook: research, instrumentation, and application. Washington, DC:Taylor & Francis;1994. p. 121-48. 

  19. Matsunami K. Sekai no soshiki. Tokyo:Shinchosha;1991. 

  20. Kashima S. Japanese nurses' perception of life and death- compared to Korean and Indonesian nurses' [BSN's thesis]. Oita: Oita Univ.; 2009. 

  21. Huriah T, Firmawati E. Implementation strategy for the integration of Islamic nursing into the curriculum of nursing science study program, faculty of medicine, Muhammaduyah University of Yogyakarta. Nursing Science Study Program, Faculty of Medicine UMY. 2009. p. 1-11. 

  22. Kim B. The comparison study between Korea and Japan about the anxiety of death and perception of life and death?focused on the relationships with religion and feeling of religion?. Ann Clin Geriatr behav Osaka Univ 1997;2:24-35. 

  23. Isshiki Y, Kawano M. The survey on Images of death of nursing students and another discipline's students (First report). J Jpn Soc Nurs Res 1999;22:246. 

  24. Niimi A. Nursing students' attitudes toward life and death: the analysis of purpose in life test. Bull Kawasaki Coll Allied Health Prof 2002;22:25-30. 

  25. Tokumaru S, Kobayashi T, Hira K, Matsuoka T. Survey on fear of death and after death of the Japanese students. J Home Econ Jpn 2006;57:411-19. 

  26. Kobayashi Y, Yanagihara K, Shimizu M. The present state and the orientation of the terminal care training in Korea: Taking home care and hospice care into consideration. Bull Niigata Seiryo Univ 2006;6:183-96. 

  27. Higa N. A report on nurse's consciousness of death. Bull Tanki Coll Shizuokakenritsu Univ 1996;10:217-27. 

  28. Fujieda T. The preparatory education of death and how it should be. In: Deeken A, ed. Death education. Tokyo:Mejikaru Furendosha; 1986. p. 171-28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