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 검색어에 아래의 연산자를 사용하시면 더 정확한 검색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검색연산자
검색도움말
검색연산자 기능 검색시 예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예1) (나노 (기계 | machine))
공백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예) semi*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통합검색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논문 상세정보

성별에 따른 프로그래밍 성취도와 문제해결과정의 관계 분석

Analysis on the Relation Between Programming Achievement and Problem Solving According to Gender

초록
용어

논문에서 용어와 풀이말을 자동 추출한 결과로,
시범 서비스 중입니다.

프로그래밍 교육은 고등사고력을 향상시켜, 문제해결력을 높이는 데 기여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많은 연구들에서 프로그래밍 교육의 필요성을 언급하면서, 성별에 따른 근본적인 차이를 지적하였다. 본 연구는 프로그래밍 교육에서 여학생들이 낮은 관심과 성취도를 보이는 것에 대한 원인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이 있다. 목적 달성을 위해, 프로그래밍 수업을 진행하고 있는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 133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여학생은 개별 프로젝트 진행을 선호하였고, 보다 체계적인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상관분석 결과, 여학생들은 프로그래밍 실력이 높을수록 다양한 문제해결 과정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프로그래밍 학습에서 효과를 거두기위해서 성별에 따라 다른 학습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는 데 의의를 찾을 수 있다.

Abstract

It is reported that programming education contributes to improving problem solving skills by developing higher thinking skills. As many researches mention the need of programming education, they point to the fundamental difference by gender.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cause of low interest and achievement levels in programming education in female students. To achieve our goals, we chose 133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in which programming class is being carried out as subjects of our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female students had the tendency to prefer individual projects to a more systematic method of problem solving. Moreover, according to correlation analysis, higher programming skills in female students showed various problem solving processes. This study shows significance in proposing different study methods according to gender to obtain effective programming study.

본문요약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사고력을 지속적으로 신장시켜 나가고, 자아를 토대로 문제를 해결해 갈 수 있는 고등학생들의 프로그래밍이나 문제해결 등에 대한 연구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그래밍과 문제해결과정과의 관계를 밝히 고자 한다.

    프로그래밍 교육으로 가능한 고등 사고력의 신장, 문제해결력의 향상 등은 모든 교육에서 지향하고 있는 측면이지만, 프로그래밍 교육에 대한 연구는 주로 초등학생을 기준으로 한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한 것들이 대부분이다 [8][9][14][34][35]. 따라서 본 연구는 사고력을 지속적으로 신장시켜 나가고, 자아를 토대로 문제를 해결해 갈 수 있는 고등학생들의 프로그래밍이나 문제해결 등에 대한 연구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그래밍과 문제해결과정과의 관계를 밝히 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성별에 따른 프로그래밍 능력의 귀인이나 문제해결의 과정 등이 어떻게 다른지를 규명하는데에 목적을 가지고 있다.

    남학생과 여학생의 프로그래밍 능력을 비교한 기존 연구에서는 남학생의 학업성취도가 여학생의 학업성취도 보다 높다고 보고하였는데[16][18][19][20], 이러한 결과는 프로그래밍 과목 자체가 실기위주의 특성을 지녔기 때문에 남학생의 학업성취도가 더 높게 나온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성별에 따른 프로그래밍 능력의 귀인이나 문제해결의 과정 등이 어떻게 다른지를 규명하는데에 목적을 가지고 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래밍 경험의 유무와 성별의 차이에 따라 보다 구체적으로 문제해결과정을 비교해 보고자 한다.

    그러나 여학생보다 남학생의 컴퓨터 활용 능력과 프로그래밍 능력이 높기 때문에 여학생에게 더욱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내용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래밍 경험의 유무와 성별의 차이에 따라 보다 구체적으로 문제해결과정을 비교해 보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성별에 따른 프로그래밍 능력의 귀인을 규명하고, 프로그래밍 능력과 문제해결능력과의 상관을 밝히는 것이다.

    특히, 성별에 대한 연구들은 남학생의 프로그래밍 능력이나 언어적 강점만을 제시하였고, 여학생에 대해서는 감성적인 접근을 언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성별에 따른 프로그래밍 능력의 귀인을 규명하고, 프로그래밍 능력과 문제해결능력과의 상관을 밝히는 것이다.

  • 본 연구는 성별에 따른 프로그래밍 학습 방법과 문제해결 방법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학습자 중심의 프로그래밍 학습을 위해서는 학생들의 선호도를 충분히 고려한 학습을 시행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성별에 따른 프로그래밍 학습 방법과 문제해결 방법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프로그래밍 학습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성별 뿐 아니라 프로그래밍 실력에 따른 선호도, 문제풀이 방법 등에 대해 보다 체계적인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본 연구는 프로그래밍 경험유무와 성별에 따라 프로그래밍 성취도와 문제해결방법이나 과정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프로그래밍 경험유무와 성별에 따라 프로그래밍 성취도와 문제해결방법이나 과정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이 있다. 목적 달성을 위해 프로그래밍을 전문적으로 교육하고 있는 학교의 학생으로 한정하였다.

  • 성별과 프로그래밍 경험에 따라서 프로그래밍 능력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기 위해 검사를 실시하였다.

    성별과 프로그래밍 경험에 따라서 프로그래밍 능력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기 위해 검사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래밍 성취도 검사는 지식을 알아보는 이론 성취도 검사와 직접 프로그래밍한 내용을 평가하는 실기 성취도 검사로 구분하여 시행하였다.

  • 즉, 프로그래밍의 개요 및 기초 같은 일반적인 지식과 프로그래밍의 명령문들을 알고 있는지에 대한 것이다.

    이론 성취도 검사는 프로그래밍의 이론을 확인하기 위한 도구이다. 즉, 프로그래밍의 개요 및 기초 같은 일반적인 지식과 프로그래밍의 명령문들을 알고 있는지에 대한 것이다. 세부 내용은 프로그래밍의 개요와 기초, 표준 입·출력 함수, 연산자와 수식, 제어의 흐름, 배열의 활용, 함수와 프로그램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 태도 검사에서 학생들은 프로그래밍을 할 때 어떤 방법으로 하는지와 프로젝트 수행에서 선호하는 방법을 조사하였다.

    첫째, 프로그래밍에 대한 태도 설문이다. 태도 검사에서 학생들은 프로그래밍을 할 때 어떤 방법으로 하는지와 프로젝트 수행에서 선호하는 방법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키워드에 따른 질의응답 제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프로그래밍
프로그래밍이란 무엇인가?
컴퓨터에게 특정 작업을 처리시키기 위해,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단어를 사용 하여 순서대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

프로그래밍은 컴퓨터에게 특정 작업을 처리시키기 위해,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단어를 사용 하여 순서대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27]. 따라서 프로그래밍 학습은 컴퓨터 처리과정에 대한 이해를 돕고, 추상화에 대한 개념을 확립하게 한다[11].

정보교육
정보교육은 언제부터 시작되었는가?
제2차 교육과정으로 전문학교의 ‘산업 일반’ 과목에서 컴퓨터 관련 내용을 가르치면서부터이다.

정보교육이 시작된 것은 제2차 교육과정으로 전문학교의 ‘산업 일반’ 과목에서 컴퓨터 관련 내용을 가르치면서부터이다. 전문교육으로 시작된 정보교육은 제7차 교육과정에서의 소양교육을 거처 현재에 이르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문의하기 

궁금한 사항이나 기타 의견이 있으시면 남겨주세요.

Q&A 등록

원문보기

원문 PDF 다운로드

  • ScienceON :
  • KCI :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