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폐경 후 여성 골다공증과 낙상의 실태 및 골절 위험 예측요인
Incidence of Osteoporosis and Falls and Predictors of Fracture Risk in Postmenopausal Women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18 no.4, 2012년, pp.237 - 247  

안숙희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  김윤미 (가천대학교 간호대학) ,  전나미 (성신여자대학교 간호대학) ,  이숙희 (서영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cidence of osteoporosis and falls and their consequences, and to identify predictors of fracture risk in the postmenopausal women. Methods: A total of 687 postmenopausal women were recruited through a stratified convenience sampling. A str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폐경 후 여성을 골다공증과 낙상발생 및 골절 위험도가 높아지는 취약군(Roux et al., 2007)으로 인식하고 이들의 건강증진과 질병예방을 위한 간호지식체를 확장하기 위해 골다공증과 낙상 실태를 조사하고 골절 위험요인을 탐색함을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이를 통해 폐경 후 여성의 골다공증, 낙상 및 골절 예방을 위한 간호전략을 수립하는 기초 자료를 획득하며, 장기적으로는 노인기로 접어드는 여성의 신체건강 유지는 물론이고 여성노인의 수명 연장 및 건강한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전국 대도시에 거주하는 노년기 이전의 폐경 후 여성을 층화 편의표출법에 의해 모집하여 이들의 골다공증과 낙상 실태를 조사하고, 골절 위험요인을 탐색하였다. 폐경 후 여성의 골다공증 발생률은 22.
  • 본 연구는 전국 대도시에 거주하는 노년기 이전의 폐경 후 여성을 확보하기 위해 6개 층화를 구성하고 인구비율에 따라 일정 수를 할당한 표본을 모집하여 전국 단위의 자료를 분석하였다는 강점이 있다. 또한, 노년기의 건강문제를 미리 예방하기 위한 간호전략을 마련하기 위해 폐경 후 여성에서 골다공증, 낙상 및 골절 위험요인을 사정하였다는 것에 연구의 의의가 크다.
  • 본 연구는 폐경 후 여성의 골다공증과 낙상 실태를 조사하고 골절 위험 예측요인을 탐색하기 위함이며, 다음과 같이 구체적인 연구목표를 설정하였다.
  • 본 연구는 폐경 후 여성의 골다공증과 낙상 실태를 파악하고 골절위험 요인을 탐색하기 위해 수행하기 위하여 상관성 조사연구설계를 사용하였다.
  • , 2007)으로 인식하고 이들의 건강증진과 질병예방을 위한 간호지식체를 확장하기 위해 골다공증과 낙상 실태를 조사하고 골절 위험요인을 탐색함을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이를 통해 폐경 후 여성의 골다공증, 낙상 및 골절 예방을 위한 간호전략을 수립하는 기초 자료를 획득하며, 장기적으로는 노인기로 접어드는 여성의 신체건강 유지는 물론이고 여성노인의 수명 연장 및 건강한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 하지만 폐경 후 여성을 대상으로 낙상과 골절위험도를 평가한 연구는 찾기 어렵고, 관련 위험요인을 탐색한 연구는 적은 편이다. 이에 본 연구팀은 노인대상 연구에서 보고된 골다공증과 낙상 위험요인을 토대로 폐경 후 여성에서 이러한 위험요인이 골다공증과 낙상 발생 및 골절 위험도에 영향을 미치는 지 탐색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여성의 폐경연령은? 우리나라 여성의 폐경연령은 평균 50세로 여성의 삶 중 1/3이상의 여생을 폐경 후 상태로 살아간다. 특히, 폐경 이후 첫 5년 정도는 여성호르몬의 결핍으로 급격한 골 흡수가 야기되기 때문에 매년 평균 3.
폐경 이후 골밀도는 어떻게 변화하는가? 우리나라 여성의 폐경연령은 평균 50세로 여성의 삶 중 1/3이상의 여생을 폐경 후 상태로 살아간다. 특히, 폐경 이후 첫 5년 정도는 여성호르몬의 결핍으로 급격한 골 흡수가 야기되기 때문에 매년 평균 3.1%의 골밀도 감소가 예측되고, 그 후 15년간의 골밀도 손실은 7.9%에 그치기 때문에 폐경 첫 5년에 골밀도 손실이 가장 많다(Kang, Park, Kim, Kim, & Oh, 2002). 이후 노화로 인해 골 형성 기능이 감소되어 골 소실이 지속되기 때문에, 50세 이상의 중 ‧ 노년 여성은 골다공증 위험군으로 간주된다.
폐경 후 여성의 골다공증과 낙상 실태를 조사하고 골절 위험 예측요인을 탐색하기 위한 본 연구의 연구목표는? •폐경 후 여성의 골다공증 실태와 낙상 실태를 파악한다. •폐경 후 여성의 골다공증 발생 여부와 낙상 발생 여부에 따른 인구학적 특성을 비교한다. • 폐경 후 여성의 골다공증 발생 여부와 낙상 발생 여부에 따른 신체건강 변수를 비교한다. •폐경 후 여성의 골다공증 발생 여부와 낙상 발생 여부에 따른 10년 후 골절발생률을 비교한다. • 다변량분석을 통해 폐경 후 여성의 10년 후 골절발생률 예측요인을 탐색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hn, S., Kim, H., So, H., & Song, R. (2009). Influencing fear of falling in postmenopausal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5, 344-352. http://dx.doi.org/ 10.4069/kjwhn.2009.15.4.344 

  2. Arnold, C. M., Busch, A. J., Schachter, C. L., Harrison, L., & Olszynski, W. (2005). The relationship of intrinsic fall risk factors to a recent history of falling in older women with osteoporosis. Journal of Orthopedic and Sports Physical Therapy, 35, 452-460. 

  3.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Mahwah: Lawrence Erlbaum Assocates. 

  4. Dargent-Molina, P., Benhamou, C. L., Cortet, B., Sutter, B., & Thomas, T. (2007). Devising global strategies for fracturerisk evaluation. Joint, Bone, Spine, 74, 240-244. 

  5. Dontas, I. A., & Yiannakopoulos, C. K. (2007). Risk factors and prevention of osteoporosis-related fractures. Journal of Musculoskeletal & Neuronal Interactions, 7, 268-272. 

  6. Fujiwara, S., Nakamura, T., Orimo, H., Hosoi, T., Gorai, I., Oden, A., et al. (2008).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Japanese model of the WHO fracture risk assessment tool (FRAX). Osteoporosis International, 19, 429-435. http:// dx.doi.org/10.1007/s00198-007-0544-4. 

  7. Grisso, J. A., Kelsey, J. L., Strom, B. L., Chiu, G. Y., Maislin, G., O'Brien, L. A., et al. (1991). Risk factors for falls as a cause of hip fracture in women: The Northeast Hip Fracture Study Group.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24, 1326-1331. 

  8. Haentjens, P., Autier, P., Barette, M., & Boonen, S. (2001). The economic cost of hip fractures among elderly women. A one-year, prospective, observational cohort study with matched-pair analysis. Belgian Hip Fracture Study Group. Journal of Bone and Joint Surgery American, 83, 493- 500. 

  9. International Menopause Society. (2008). FRAX: A fracture risk assessment tool. Retrieved June 1, 2012, from http://www.imsociety.org/updates_view_open.php?menopauseliveID81&SESSIDmpcigywu 

  10. Jang, S, N., Cho, S. I., Oh, S. W., Lee, E. S., & Baik, H. W. (2007). Time since falling and fear of falling among communitydwelling elderly.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s, 19, 1072- 1083. 

  11. Jang, S. N., Choi, Y, H., Choi, M. G., Kang, S. H., Jeong, J. Y., Choi, Y. J., et al. (2006). Prevalence and associated factors of osteoporosis among postmenopausal women in Chuncheon: Hallym Aging Study (HAS).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39, 389-396. 

  12. Jeong, G. H., Yang, S. O., & Baik, S. H. (2005). Osteoporosis measured by quantitative ultrasound and its risk factors in middle-aged women, Gyeonggi-do, Korea. Journal of Muscle and Joint, 12, 39-47. 

  13. Kang, T. H., Park, Y. K., Kim, E. H., Kim, S. M., & Oh, H. J. (2002). Spinal bone mineral density related with YSM in Korean menopausal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3, 224-232. 

  14. Kanis, J. A., Johnell, O., Oden, A., Johansson, H., & McCloskey, E. (2008). FRAX and the assessment of fracture probability in men and women from the UK. Osteoporosis International, 19, 385-397. http://dx.doi.org/10.1007/s00198- 007-0543-5 

  15. Kho, D. H., Kim, H. J., Kim, E. S., & Kim, D. H. (2008). Risk factors predicting hip fractures in patients over 70 years old. Hip & Pelvis, 20, 197-202. 

  16.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0).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4th (2008) results report: 2008 National health statistics. Seoul: Ministry of Health, Welfare and Family. 

  17. Lee, D. Y., Lim, S. J., Moon, Y. W., Min, Y. K., Choi, D., Yoon, D. K., et al. (2010). Determination of an applicable FRAX Model in Korean women.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25, 1657-1660. http://dx.doi.org/10.3346/jkms. 2010.25.11.1657 

  18. Lee, H. Y., & Bak, W. S. (2009). The risk factors of osteoporosis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1, 303-313. 

  19. Lee, K. (2011). Evidence-based management for osteoporosis. Journal of Korean Medical Association, 54, 294-302 http://dx.doi.org/10.5124/jkma.2011.54.3.294 

  20. Lim, J. Y., Park, W. B., Oh, M. K., Kang, E. K., & Paik, N. J. (2010). Falls in a proportional region population in Korean elderly: Incidence, consequences, and risk factors. Journal of Korean Geriatric Society, 14, 8-17. 

  21. Lippuner, K., Johansson, H., Kanis, J. A., & Rizzoli, R. (2010).FRAX assessment of osteoporotic fracture probability in Switzerland. Osteoporosis International, 1, 381-389. http://dx.doi.org/10.1007/s00198-009-0975-1 

  22. Park, J. W., Huh, J. K., Kim, J. Y., Oh, J. H., Baek, G. H., & Gong, H. S. (2011). Osteoporosis medication treatment thresholds for patients with a distal radius fracture as determined using bone mineral density and the fracture risk assessment tool. Korean Journal of Bone Metabolism, 18 , 15-21. 

  23. Roux, C., Priol, G., Fechtenbaum, J., Cortet, B., Liu-Leage, S., & Audran, M. (2007). A clinical tool to determine the necessity of spine radiography in postmenopausal women with osteoporosis presenting with back pain. Annals of the Rheumatic Diseases, 66, 81-85. http://dx.doi.org/10.1136/ard.2006.051474 

  24. Rubenstein, L. Z., & Josephson, K. R. (2006). Falls and their prevention in elderly people: What does the evidence show? Medical Clinics of North America, 90, 807-824. 

  25. Siris, E. S., Baim, S., & Nattiv, A. (2010). Primary care use of FRAX: absolute fracture risk assessment in postmenopausal women and older men. Postgraduate Medicine, 122, 82-90. http://doi.dx.org/10.3810/pgm.2010.01.2102 

  26. Tang, B. M., Eslick, G. D., Nowson, C., Smith, C., & Bensoussan, A. (2007). Use of calcium or calcium in combination with vitamin D supplementation to prevent fractures and bone loss in people aged 50 years and older: A meta-analysis. Lancet, 370, 657-66. http://dx.doi.org/10.1016/S0140-6736 (07)61342-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