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WAT모형을 이용한 유량 및 유사 예측 정확성 평가 및 최적관리 기법 효과 분석
Evaluation of SWAT Flow and Sediment Estimation and Effects of Soil Erosion Best Management Practices 원문보기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54 no.1, 2012년, pp.99 - 108  

이지민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지역건설공학과) ,  류지철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지역건설공학과) ,  강현우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지역건설공학과) ,  강형식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금동혁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지역건설공학과) ,  장춘화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지역건설공학과) ,  최중대 (강원대학교 지역건설공학과) ,  임경재 (강원대학교 지역건설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oil erosion and sediment from agricultural farmland has caused various negative impacts on environment in recent years. The effect of rice straw mat on soil erosion has been investigated by many researchers these days. In this study, the SWAT model was applied to Hongcheon watershed to evaluate SW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산정된 식(1)에 각각의 소유역 내 모든 HRU_Slope (%)의 경사도를 적용시켜 나온 USLE P 인자가 바로 볏짚매트를 적용하였을 경우이다. 본 연구에서는 볏짚매트를 경작지에 적용할 경우 유사량 저감 효과를 모의하였다. 또한 모의 기간 내 (2008년 1월∼2009년 12월) 볏짚매트 적용 전/후의 유사량 총합과 일평균 유사량을 산정하였고, 강우가 집중되는 6∼8월에 볏짚매트 적용 전/후의 유사량 총합과 일평균 유사량을 산정하여 볏짚매트의 적용 유무에 따른 유사량 저감 정도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집약적 토지이용과 많은 양의 비료사용으로 인하여 강우시 수질오염과 탁수문제가 일어난 홍천강 유역에 대하여 SWAT 모형 적용성 평가 및 볏짚매트 이용한 유사 저감효과를 모의하였다. 그 결과 실측유량에 대하여 SWAT 모형 보정결과 보정기간 (2008년) NSE=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WAT 모형을 이용해 수문 및 수실을 시공간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필요한 자료는 무엇인가? 특히 SWAT 모형은 유역내의 장기 강우-유출, 유사의 이동 및 과정을 예측 모의할 수 있으며, 미 계측 지역에서의 모의도 가능하며, 경작형태나 기후 ․ 식생 등의 변화에 따른 수질의 상대적 효과도 수치화 할 수 있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SWAT 모형을 이용하여 수문 및 수질을 시 ․ 공간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는 시간적으로 변화하는 기상자료 (일 강수량, 기온, 풍속, 일조량, 상대습도)와, 공간적으로 변화하는 토지이용현황, 토양속성, 그리고 수치표고모형 (Digital Elevation Model, DEM) 등이 필요하다 (Table 2) (Heo et al., 2008).
SWAT 모형의 특징은 무엇인가? , 1998)등의 의해 개발된 유역단위 모형이다. 특히 SWAT 모형은 유역내의 장기 강우-유출, 유사의 이동 및 과정을 예측 모의할 수 있으며, 미 계측 지역에서의 모의도 가능하며, 경작형태나 기후 ․ 식생 등의 변화에 따른 수질의 상대적 효과도 수치화 할 수 있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SWAT 모형을 이용하여 수문 및 수질을 시 ․ 공간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는 시간적으로 변화하는 기상자료 (일 강수량, 기온, 풍속, 일조량, 상대습도)와, 공간적으로 변화하는 토지이용현황, 토양속성, 그리고 수치표고모형 (Digital Elevation Model, DEM) 등이 필요하다 (Table 2) (Heo et al.
SWAT 모형에서 발견되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SWAT 모형은 유역에서의 강수에 따른 유출 및 비점오염의 발생 및 거동의 시 ․ 공간적 변화를 분석할 수 있기 때문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 경작지에서의 유출 및 토양유실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여러 가지 제한 및 모형의 구조적 한계점으로 인해 유사 발생이 빈번하게 일어나는 유역에서 정확한 토양유실 및 유사거동을 평가하는데 문제점이 지적되어왔다 (Jha et al., 2002; Jang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rnold, J. G., 1992. Spatial scale variability in model development and parameterization. Ph.D. diss., West Lafayette, Ind.: Purdue University. 

  2. Arnold, J. G., R. Srinivasan, R. S. Muttiah, and J. R. Williams, 1998. Large area hydrologic modeling and assessment: part I: model development. Journal of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4(1): 73-89. 

  3. Bicknell, B. R., J. C. Imhoff, Jr. J. L. Kittle, T. H. Jobes, and Jr., A. S. Donigan, 2001. Hydrologic Simulation Program - Fortran (HSPF) User's Manual for Version 12.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National Exposure Research Laboratory, Athens, G.A. 

  4. Donigian, A. S. and J. T. Love, 2003. Sediment calibration procedures and guidelines for watershed modeling. WEFTMDL, November 16-19, WEF Specialty Conference Proceedings on CD-ROM, Illinois, Chicago. 

  5. Gangwon Development Research Institute, 2007. 2007 annual report (in Korean). 

  6. Han River Basin Environmental Office Republic office Republic of Korea, 2005. Effects of Turbid Water on aquatic Ecosystem and Control Measure (in Korean). 

  7. Heo, S. G., N. W. Kim, Y. S. P, J. G. Kim, S. J. Kim, J. H. Ahn, K. S. Kim, and K. J. Lim, 2008. Evaluation of Effects on SWAT Simulated Hydrology and Sedimnet Behaviors of SWAT Watershde Delineation using SWAT ArcView GIS Extension Patch.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24(2): 147-155 (in Korean). 

  8. Jang, J. H.. K. W. Jung, H. C. Kim, and C. G. Yoon, 2010. Evaluation of the Impacts of Water Quality Management in Kyongan stream Watershed using SWAT Model.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26(3): 387-398 (in Korean). 

  9. Jang, W. S., D. S. Yoo, I. M. Chung, N. W. Kim, M. S. Jun, Y. S. Park, J. G. Kim, and K. J. Lim, 2009. Development of SWAT SD-HRU pre-processor module for accurate estimation of slope length of each HRU considering spatial topographic characteristics in SWAT.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25(3): 351-362 (in Korean). 

  10. Jang, W. S., Y. Park, J. Kim, N. Kim, J. Choi, Y. S. Ok, J. E. Yang, and K. J. Lim, 2010. Development of the SWAT DWDM for Accurate Estimation of Soil Erosion from an Agricultural Field, Journal of the Korean Soic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2(1): 79- 88. 

  11. Jang, W, S., Y. S. Park, J. D. Choi, J. G. Jong, M. H. Shin, J. C. Ryu, H. W. Kang, and K. J. Lim, 2010. Analysis of Soil Erosion Redution Effect of Rice Straw Mat by the SWAT Mode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2(3): 97-104 (in Korea). 

  12. Jha, M., P. W. Gassmanm S. Secchi, G. Roy, and J. G. Arnold, 2002. Impact of watershed subdivision level on flows, sediment loads, and nutrient lossless predicted by SWAT, Working Paper 02-WP, 315: 22-23. 

  13. Jung, J. W., J. R. Jang, B. J. Lim, Y. J. Lee, K. S. Kim, J. H. Kang, H. L. Park, S. H. Cho, and K. S. Yoon, 2011. Simulation of Stream flow using SWAT Auto Calibration Tool over the Saemangeum Watershed.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ter Science and Techonlogy 19(1): 11-17 (in Korea). 

  14. Lim, K. J., M. Sagong, B. A. Engel, T. Zhenxu, J. D.Choi, and K. S. Kim, 2005. GIS-based sediment assessment tool. Catena. 64:61-80. 

  15. Ministry of environment, 2009. The planning of water quality for Mid-watersheds (Hongcheon-gang watershed) (in Korean). 

  16. Nash, J. E., and J. E. Sutcliffe, 1970. River Flow Forecasting through conceptual models. Part I-A discussion of principles. Journal of Hydrology 10(3): 282-290 

  17. National Resources Conservation Service (NRCS), http:// www.nrcs.usda.gov/, Accessed 2011. 

  18. Park, Y. S., J. G. Kim, J. H. Park, J. H. Jeon, D. H. Choi, T. D. Kim, J. D. Choi, J. H. Ahn, K. S. Kim, and K. J. Lim . Evaluation of SWAT Applicability to Simulation of Sediment Behaviors at the Imha-Dam Watershed 2007.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23(4): 467-473 (in Korea). 

  19. Ramanarayanan, T. S., J. R. Williams, W. A. Dugas, L. M. Hauck, and A. M. S. McFarland, 1997. Using APEX to identify alternative practices for animal waste management. ASAE International Meeting, Minneapolis, MN.97-2209. 

  20. Ruan, H., L. R. Ahuja, T. R. Green, and J. G. Benjamin, 2001. Residue Cover and Surface-Sealing Effects on Infiltration. Soil Science of America Journal 65: 853- 861. 

  21. Ruy, J. C., H. W. Kang, N. W, Kim, W. S. Jang, J. W. Lee, J. P. Moon, K. S. Lee, and K. J. Lim, 2010. Analysis of Total Nitrogen Reduction Efficiency with Established Riparian Buffer System using SWAT-REMM Model in Bonggok Watershed.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26(6): 910-918 (in Korea). 

  22. Shin, M. H., C. H. Won, Y. H. Choi, J. Y. Seo, J. W. Lee, K. J. Lim, and J, D, Choi, 2009. Simulation of Field Soil Loss by Artificial Rainfall Simulator - By Varing Rainfall Intensity, Surface Condition and Slop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25(5): 785- 791 (in Korea). 

  23. Shin, M. H., C. H. Won, W. J. Park., Y. H. Choi., J. R. Jang., K. J. Lim and J. D. Choi, 2011. Analysis of the Reduction Effect on NPS Pollution Loads by Surface Cover Applic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3(4): 29-37. 

  24. Water Information System, http://water.nier.go.kr/, Accessed 2011. 

  25. WAter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WAMIS), http:// www.wamis.go.kr/, Accessed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