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국 이주민 거주지역 내 시장공간의 문화경관해석 - 서울시 대림동 중앙시장을 대상으로 -
Cultural Landscape Analysis of Market Space in Chinatown - A Case Study of the 'Chung-Ang Market of Dairimdong'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0 no.5, 2012년, pp.73 - 87  

천현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이준 (서울대학교 대학원) ,  강용 (서울대학교 대학원) ,  김성균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초록

국내에 중국인의 유입이 증가하면서 중국 이주민 거주지가 많이 생겨나고 있다. 이러한 이주민 거주지역은 도시내의 독특한 경관을 형성할 뿐 아니라 도시경관에 있어서 문화적 다양성이 드러나고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중국 이주민 거주지 내의 시장공간을 대상으로 문화경관을 해석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지는 서울시 영등포구 대림동 중국 이주민 거주지내의 중앙시장으로 하였으며, 연구방법은 참여관찰법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중국인 상인들은 보행자 도로에 탄즈나 상품더미와 같은 개인의 물건을 놓고 거기서 상행위를 하고 있으며, 큰 규모의 차양을 설치하여 보행자 도로를 완전 점유함으로써 보행자 도로를 가게의 내부공간으로 변형시켰다. 또한 보행자 도로를 이용하는 행인들은 차량용 도로를 통해 이동하게 되어 차량용 도로가 자동차만의 공간일 뿐 아니라 보행자를 위한 공간으로 변형하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를 통하여 원상태의 공간분류인 건물 - 보행자 도로 - 차량용 도로에서 건물 - 보도 및 탄즈 겸용공간 - 차도 및 보도의 겸용공간으로 변형되었다. 중국인 거주자에 의해서 중앙시장의 공간의 이용행태는 원상태의 공간의 이용행태하고는 본질적으로 다르며, 공간 구분에서도 기존의 공간구분과는 다르다. 그리고 이러한 공간에 대하여 중국 이주자들이 어떻게 인지하는지를 살펴보면 먼저 중앙시장에서 상행위를 하는 중국상인은 가게공간에서 탄즈와 같은 중국식 시설물을 설치함으로써 공간을 이용하기가 편리한 공간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중앙시장을 이용하는 중국인 고객은 중앙시장을 중국의 음식이나 일상용품을 쉽게 구매할 수 있는 공간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중앙시장의 경관이 중국현지 경관과 유사하다고 생각하고 있어 이 공간을 친근하고 익숙한 공간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이처럼 중앙시장은 중국인이 중심이 되는 소비의 공간이자 한국 안에 위치하는 작은 중국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차이나타운의 건설 시 중국인 거주자의 입장에서 계획이 될 수 있도록 이론적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참여관찰법을 통한 연구는 실질적이고 깊이 있는 정보를 현장에서 직접 수집하는 방법으로 조경분야에서도 정보를 수집하는데 방법론적 의미를 가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owadays, the Korean society is full of multiculturalism as there are many foreign ethnic enclaves. Many Chinese quarters are built in various parts of Korea along with the increasing population of Chinese immigrant. Especially, the Chinese quarter has shown the sign of time and the cultural charact...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주민 거주지의 특징은 무엇인가? 이러한 이주민 거주지역은 도시 내의 독특한 경관을 형성할 뿐 아니라, 기존의 도시 내부에서 국제화된 부분의 출현과 그 맥락을 같이 한다고 볼 수 있다(최재헌과 강민조, 2003). 더욱이 이주민 거주지는 도시경관에 있어서 문화적 다양성이라는 차원을 넘어 출신국가의 경제적 지위가 공간적 차원으로 드러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한성미, 2010). 그러나 단일민족으로 오랫동안 지내왔던 우리나라에서는 외국인에 대한 편견이 우리 사회에 뿌리 깊게 자리잡혀 있으며, 다문화사회의 진전은 그 동안에 단 일성, 순혈성을 강조해 온 기존 구성원의 의식 및 문화적 경향을 비추어 볼 때 사회적, 문화적 파장이 크다고 볼 수 있다(김일림, 2009).
중국인 집단 거주지역 내의 시장공간을 대상으로 참여 관찰법을 통하여 공간을 해석한, 본 연구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한계는 대림동 지역의 공간을 구성하는 중국인들 대부분은 조선족과 한족이므로 연구결과가 모든 중국문화를 대변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래서 추후 연구에서는 다른 민족 출신의 중국문화도 함께 고려한 연구가 수행되어져야 하겠다. 그리고 방법론적인 한계는 연구자가 직접 참여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기 때문에 연구자의 주관적인 해석이 개입될 수 있기 때문에 참여관찰법을 사용 시에 연구자가 객관성을 유지 할 수 있도록 최대한 노력해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에 거주하는 등록 외국인 중, 중국인의 비율은? 그러나 단일민족으로 오랫동안 지내왔던 우리나라에서는 외국인에 대한 편견이 우리 사회에 뿌리 깊게 자리잡혀 있으며, 다문화사회의 진전은 그 동안에 단 일성, 순혈성을 강조해 온 기존 구성원의 의식 및 문화적 경향을 비추어 볼 때 사회적, 문화적 파장이 크다고 볼 수 있다(김일림, 2009). 우리나라에 거주하는 등록 외국인을 국가별로 살펴보면 비 OECD 국가 중에서 중국인의 비율이 약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국가별 외국인 중에서 중국인이 가장 높게 평가된다(이영심과 최정신,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강영은, 신영선, 지달님, 김지애, 임승빈(2009) 참여관찰법을 이용한 공간 모델 기초연구: 농촌마을 커뮤니티시설을 중심으로. 한국농촌계획학 회지 15(1): 31-46. 

  2. 권지성(2008) 쪽방 거주자의일상생활에대한문화기술지. 한국사회복지학회지 60(4): 131-156, 1229-5132. 

  3. 김일림(2009) 한국적 다문화 이론과 공간에 대한 고찰: 서울의 경우. 한국사진지리학회지 19(4): 95-106. 

  4. 문성준, 서탁(2008) 인천 차이나 타운의 역할: 화교들의 문화변용을 중 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2(6): 1229-7526. 

  5. 박배균, 정건화(2004) 세계화와 "잊어버림"의 정치: 안산시 원곡동의 외 국인 노동자 거주지역에 대한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0(4): 800-823. 

  6. 신재영 역(2006) 참여관찰법. James P. Spradley. 서울: 시그마프레스. pp. 6-129. 

  7. 이정덕(2003) 문화인류학적 연구방법론. 서울행정학회 2003년 하계학술 대회 발표논문집. pp. 262-271. 

  8. 이희봉(1988) 인문회복의 도시설계를 위한 부분문화 이론과 방법. 대한 국토도시계획학회지 23(1): 7-19. 

  9. 이창석, 유영한(2001) 한국의 문화경관, 그 실체, 변화와 새로운 패러다 임에 의한 가치 평가. 한국생태학회지 24(5): 323-332. 

  10. 이영심, 최정신(2007) 재한(在韓) 조선족(朝鮮族) 이주 노동자를 위한 주거계획. 한국과 중국에거주하는조선족의주거및주생활에 대한고찰. 대한가정학회지 45(9): 15-26. 

  11. 이희봉(1985) Space, Form, and Subcultures: The Use of a Field Study Method in Architecture. University of Pennsylvania 박사학위논문. 

  12. 진양교, 허미선, 홍윤순(2000) 거주상인의 내부적 관점에서 본 재래시장 공간의 장소적 의미: 청량리시장과 황학동시장을사례로 . 한국조경학회지 28(1): 118-128. 

  13. 최재헌, 강민조 (2003) 외국인 거주지 분석을 통한 서울시 국제적 부문의 형성. 한국도시지리학회지 6(1): 17-30. 

  14. 한성미(2010) 소수자집단의 장소성 형성에 대한 문화심리학적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공학박사학위논문. 

  15. Massey, Douglas S.(1993) Theories of international migration: A review and appraisal. Population and Development Review 19(3): 431-466. 

  16. Omi, M., and R. Winant(1994) Racial Formation in the United States From the 1960s to the 1990s. New York: Routledge. 

  17. Tilley, Christopher(1994) A Phenomenology of Landscape: Places, Paths and Monuments. Oxford: Berg Publisher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