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텃밭 운영 프로그램이 참여자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Urban Farm Program on the Participants' Sense of Community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0 no.5, 2012년, pp.119 - 128  

박태호 (강원발전연구원) ,  이인성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도시텃밭 프로그램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서울의 3개 공공도시텃밭을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텃밭프로그램이 참여자의 상호교제와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이 다각도로 확인되었다. 지속적 프로그램이 있는 텃밭과 그렇지 못한 텃밭 사이에는 내부교제와 공동체의식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프로그램참여자가 비참여자에 비해 높은 수준의 텃밭활동, 내 외부교제 및 공동체의식을 보였고, 경로분석에서 도 프로그램참여가 공동체의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둘째, 자가점유, 거주기간, 참여인원이 공동체의식에 영향을 미치는데, 이는 거주기간이 긴 자가점유자, 특히 1인 및 노인 가구 등 사회적 소외계층을 대상으로 텃밭프로그램이 운영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셋째, 농업교육보다 지역사회와 연계된 다양한 문화 프로그램의 만족도가 높았다. 이 결과들은 도시텃밭의 공동체의식 형성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지속적이고 다양한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urban farm program on the participants' sense of community. Three public urban farms in Seoul were selected and survey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s of the urban farm program on the sense of community were verified by a multifaceted analys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도시농업의 다원적 가치 중 도시공동체의 형성과 활성화 역할에 주목하고, 도시텃밭 이용자의 공동체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수도권 도시텃밭의 현황조사를 통해 관리조직과 프로그램 운영에 있어서 차이를 보이는 3개소의 공공도시텃밭을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 운영을 비롯한 다양한 요인들이 도시텃밭의 공동체의식 형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텃밭 프로그램 운영과 공동체의식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즉, 도시텃밭의 프로그램 운영과 공동체의식 및 이와 관련된 다양한 요인들의 관계를 검토함으로써 도시텃밭 프로그램이 공동체의식 형성에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규명하고, 향후 도시텃밭 운영에서 공동체의식을 제고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 현황조사를 바탕으로 서울시의 3개 공공도시텃밭이 설문조사 대상지로 선정되었다. 설문조사의 목적은 도시농업, 특히 텃밭 프로그램 운영이 공동체의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토하고, 공동체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2011년 10월 초에서 11월 중순까지 조사대상지에서 설문조사가 실시되었고, 그 결과가 분석되었다.
  • 이 연구는 도시텃밭의 공동체의식 형성효과를 구조적인 틀에 기초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한 연구로서의 의의를 가진다. 그러나 아직 우리나라의 도시텃밭이 활성화되지 못하여 조사 대상이 제한적이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사례들을 검토하지는 못하였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텃밭에서 관리조직과 운영 프로그램에 따른 공동체의식의 차이를 살펴보고, 다양한 요인들이 공동체의식에 어떻게 관여되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도시농업의 공동체 활성화 효과에 대한 구조화된 분석의 틀을 설정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도시농업과 공동체의식과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텃밭 프로그램 운영과 공동체의식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즉, 도시텃밭의 프로그램 운영과 공동체의식 및 이와 관련된 다양한 요인들의 관계를 검토함으로써 도시텃밭 프로그램이 공동체의식 형성에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규명하고, 향후 도시텃밭 운영에서 공동체의식을 제고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재 도시농업의 역할은 어떻게 커지고 있으며 어떤 역할을 담당할 수 있나? 근래 도시농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이유는 텃밭농사를 통해 농산물을 생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다양한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도시농업은 단순한 경작활동을 넘어서 농업활동에 기반한 생태교육, 도시환경의 보호 및 복원, 여가선용 및 건강 유지, 공휴지 재활용, 공동체 활성화 등으로 그 역할이 확대되고 있다. 도시농업은 방치되어 있던 유휴지를 텃밭으로 만들어 환경을 개선하고, 신선한 농작물을 생산하는 다양한 활동을 통해 도시민 삶의 질을 증진할 뿐 아니라, 도시의 유휴인력을 생산적 복지자원으로 활용하며, 생태공동체를 형성하여 지역사회 활성화의 초석을 만드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도시텃밭 프로그램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서울의 3개 공공 도시텃밭을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텃밭프로그램이 참여자의 상호교제와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이 다각도로 확인되었다. 지속적 프로그램이 있는 텃밭과 그렇지 못한 텃밭 사이에는 내부교제와 공동체의식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프로그램참여자가 비참여자에 비해 높은 수준의 텃밭활동, 내 외부교제 및 공동체의식을 보였고, 경로분석에서 도 프로그램참여가 공동체의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둘째, 자가점유, 거주기간, 참여인원이 공동체의식에 영향을 미치는데, 이는 거주기간이 긴 자가점유자, 특히 1인 및 노인 가구 등 사회적 소외계층을 대상으로 텃밭프로그램이 운영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셋째, 농업교육보다 지역사회와 연계된 다양한 문화 프로그램의 만족도가 높았다. 이 결과들은 도시텃밭의 공동체의식 형성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지속적이고 다양한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근래 도시농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이유는? 도시농업은 ‘도시에서 짓는 농사’로 간단하게 정의할 수 있지만, 이러한 정의는 도시농업이 가진 다양한 기능에 비추어볼 때 부족한 면이 없지 않다. 근래 도시농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이유는 텃밭농사를 통해 농산물을 생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다양한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도시농업은 단순한 경작활동을 넘어서 농업활동에 기반한 생태교육, 도시환경의 보호 및 복원, 여가선용 및 건강 유지, 공휴지 재활용, 공동체 활성화 등으로 그 역할이 확대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권광식(2005) 도시농업클러스터 지원을 위한 협동조합네트워크. 한국협동조합연구 10(1): 59-77. 

  2. 김수봉, 조진희, 정응호(2002) 환경친화적 도시와 도시농업. 환경과학논집 7(1): 71-91. 

  3. 소현정(2008) 도시농업 활성화를 위한 네트워크 거버넌스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연합뉴스(2011) 2020년까지 도시텃밭?주말농장 8천개 조성. 2011.5.7. 

  5. 유병규(2000) 도시 근교농업의 복합산업화와 공간 활용. 농촌사회 10: 37-70. 

  6. 이윤정(2011) 도시농업에 의한 운송부문의 이산화탄소 저감효과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이종한, 김혜숙(1997) 한국인의 지역공동생활과 주관적 안녕감. 한국심리학회지 17: 19-39. 

  8. 임미정(2011)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도시텃밭 이용자의 인식조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임효선(2011) 녹지확충을 위한 도시농업의 조경적전개방안.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장동헌(2006) 생태지향형 도시농업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최승(1988) 도시농업을 이용한 공한지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최재순(2009) 가족친화 지역사회와 가정의 공동체적 삶 회복을 위한 도시농업.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학술대회논문집. pp. 41-51. 

  13. 통계청(2010) 인구주택총조사. 

  14. Bardo, J. W.(1976) Dimensions of community satisfaction in a British new town. Multivariate Experimental Clinical Research 2(3): 129-134. 

  15. Buckner, John C.(1988) The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neighborhood cohesion.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6(6): 771-791. 

  16. Davies, W. K. D. and D. Herbert(1993) Communities within Cities: An Urban Social Geography. London: Belhaven Press. 

  17. Doolittle, R. J. and D. MacDonald(1978) Communication and a sense of community in a metropolitan neighborhood: A factor analytic examination. Communication Quarterly 26(3): 3-7. 

  18. Glynn, T. J.(1981) Psychological sense of community: Measurement and application. Human Relations 34: 789-818. 

  19. Hillery, George A. Jr.(1955) Definitions of community: Areas of agreement. Rural Sociology 20: 111-123. 

  20. Long, D. A. and D. Perkins(2003)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the sense of community index and development of a brief SCI.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31: 279-296. 

  21. MacIver, R.(1917) Community: A Sociological Study; Being an Attempt to Set Out the Nature and Fundamental Laws of Social Life. London: Macmillan. 

  22. McMillan, D. and D. Chavis(1986) Sense of community: A definition and theory.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4: 6-23. 

  23. Obst, P. L. and K. M. White(2007) Choosing to belong the influence of choice on social identification and psychology.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35(1): 77-90. 

  24. Ross, M.(1958) Case Histories in Community Organization. New York: Harper and Row. 

  25. Skjaeveland, O., T. Garling, and J. G. Maeland(1996) A multi- dimensional measure of neighboring.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24(3): 413-435. 

  26. 齊藤廣子(2004) コモンでつくる(住まい?まち?人: 住環境デザインと マネジメントの鍵). 彰國社.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