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공원 내 텃밭 경작 참여 여부에 따른 공원 공공성 인식 연구
Public Park Awareness along with Community Garden Cultivation Participation within an Urban Park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3 no.1, 2015년, pp.120 - 131  

남궁희 ((주)지역활성화센터) ,  김슬예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강은지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김용근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도시공원 내 텃밭 경작 참여 여부에 따른 공원 공공성 인식 연구로 공원 내 텃밭에서 발생하고 있는 문제점을 기반으로 공원 내 텃밭에 관한 인식과 공원 내 텃밭 공공성 평가, 공원 내 텃밭 공공성 증진에 대한 이용자 인식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텃밭 경작 참여 여부에 따른 인식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경작 참여 집단과 비참여 집단을 구분하여 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첫째, 경작 참여 집단은 비참여 집단에 비해 공원 내 텃밭 조성에 대한 필요성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공원 내 텃밭을 개인의 이익을 위한 공간으로 인식하고 있어 공원의 공공성을 위협하고 있었다. 둘째, 공원 내 텃밭 공공성을 평가한 결과, 경작 비참여 집단이 참여 집단에 비해 도시공원 내 텃밭의 공공성을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공원 내 텃밭 공공성 증진을 위한 텃밭 분양 방법 및 소비 방법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경작 참여 집단은 텃밭을 공공의 가치로 인식하기보다는 개인의 가치를 위한 공간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에 지속가능한 관리 운영을 위해서 두 집단 모두 공원 이용자 사이에 텃밭의 공공적 가치 인식을 공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공원의 기능과 텃밭의 기능이 상충되지 않고 도시공원 내 텃밭이 공원 공공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조성 및 관리 운영되기 위한 이용자 측면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따라서 앞으로 공원 내 텃밭이 조성되고 관리 운영함에 있어 공원의 공공성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는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aimed at understanding recognition of the park's community garden, public evaluation of it, and user awareness of the public enhancement plan. This was based on the problem that arose in the park community garden as public awareness research along with community garden cultivation par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도시공원 내 텃밭 조성에 따른 이용자 인식을 알아보고자 텃밭 조성에 대한 긍정적․부정적 영향을 조사하였다. 경작 참여집단과 비참여 집단으로 구분하여 교차분석을 시행한 결과, 집단 간 유의확률 0.
  • 이에 첫 번째로 공원 이용자 특성과 이용 현황을 알아보고자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이용 빈도를 명목척도로 구성하였다. 두 번째는 공원 내 텃밭이 조성됨에 따른 집단 간 갈등의 근본적인 원인을 이해하고자 Lee(2010)와 Yoon(2013)의 연구를 바탕으로 공원 내 텃밭에 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공원 내 텃밭 조성의 필요성을 등간 리커드 척도로, 텃밭 조성에 따른 영향 인식과 텃밭 소유 주체를 명목척도로 구성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공원 내 텃밭의 조성 및 운영에 있어 나타나는 공공성 관련 문제점을 살펴보고자 하며, 이를 위해 먼저 도시공원 내 텃밭의 공공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도출하여 경작 참여 여부에 따른 공원 내 텃밭의 공공성에 대한 인식 차이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공원의 기능과 텃밭의 기능이 상충되지 않고, 도시공원 내 텃밭이 공원 공공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조성 및 관리ㆍ운영되기 위한 이용자 측면의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이상 기존의 선행되어진 연구는 도시공원 내 텃밭이 도입됨에 따른 공공성에 대한 문제의식과 이를 유지하기 위한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나, 실제 도시공원 내 텃밭이 도입된 이후의 공공성 평가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진행된 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원 내 텃밭에서 발생하고 있는 문제점을 기반으로 텃밭 조성에 대한 인식과 공원 내 텃밭 공공성 평가를 통해 도시공원 내 텃밭이 나아가야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일반적으로 공원은 공공재로 모든 사람이 이용하는 공간이지만 현재 공원 내 텃밭은 개인에게 일정한 금액을 받고 분양됨으로 공원의 사유화에 대한 갈등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이용자들도 인식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텃밭 소유 주체에 대한 인식 조사를 시행하였다. 경작 참여 여부에 따른 공원 내 텃밭 소유 주체에 대해 교차분석을 시행한 결과, 집단 간 유의확률 0.
  • 본 연구는 공원의 기능과 텃밭의 기능이 상충되지 않고 도시공원 내 텃밭이 공공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텃밭의 효율적인 조성 및 관리ㆍ운영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공간의 공공성은 공간을 이용하는 이용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에 공원 내 텃밭의 공공성에 대하여 텃밭 경작 참여 여부에 따른 인식 차이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된다.
  • 본 연구는 도시공원 내 텃밭 경작 참여 여부에 따른 공원 공공성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도시공원 내 텃밭이 조성된 공원을 방문하여 설문을 시행하였다. 대상지는 서울시에서 2012년 조성된 텃밭으로 한정하였으며 도시농업공원인 노들섬 노들텃밭, 갈현근린공원 내 갈현텃밭, 초안산 근린공원의 나눔텃밭 그리고 용산가족공원의 친환경텃밭을 대상으로 하였다.
  • 본 연구는 도시공원 내 텃밭 경작 참여자와 비참여자를 대상으로 공원 내 텃밭에 관한 인식과 공원 내 텃밭 공공성 평가,공원 내 텃밭 공공성 증진방안에 관한 인식을 조사·분석함으로써 공원의 공공성을 유지하기 위한 공원 내 텃밭의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도시공원 내 텃밭 공공성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자 현재 텃밭의 공공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이용 주체, 이용 프로그램과 같이 이용자가 고려되는 사회ㆍ문화적 관점에서의 도시공원 내 텃밭의 공공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도시공원의 공공성 증진을 위해 텃밭 경작 참여 여부에 따른 공원 공공성 인식을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에 첫 번째로 공원 이용자 특성과 이용 현황을 알아보고자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이용 빈도를 명목척도로 구성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독립변수로 ‘공원 내 텃밭 경작 참여 여부’에 따라 종속변수인 ‘공원 이용 현황’, ‘공원 내 텃밭 인식’, ‘공원 내 텃밭 공공성 평가’, ‘공원 내 텃밭 공공성 증진 방안’에 대한 인식이 실제로 차이가 있는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도시공원 내 텃밭 공공성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자 현재 텃밭의 공공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이용 주체, 이용 프로그램과 같이 이용자가 고려되는 사회ㆍ문화적 관점에서의 도시공원 내 텃밭의 공공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에 세부 항목으로 조경 및 디자인 관련 요소로써 공간을 이용하는 사람에게 영향을 미치는 심미성, 이용자의 행태를 유발하는 이용성과 이용자와의 원활한 상호작용을 통해 행태를 유발하는 상호작용으로 구성하였다.
  • 이에 공원 내 텃밭 조성의 필요성을 등간 리커드 척도로, 텃밭 조성에 따른 영향 인식과 텃밭 소유 주체를 명목척도로 구성하였다. 세 번째는 공원 내 텃밭 공공성 평가를 통해 현재 공원 내 텃밭의 공공성 실태를 파악하고 공원의 공공성을 유지하기 위해 개선할 요인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현재 국내에는 공원과 관련하여 공공성을 평가한 연구가 부족하므로 건축ㆍ도시공간에서 공공성을 다루고 있는 선행연구 중 Jang(2005)과 Eun(2013)의 공개공지를 대상으로 공공성을 분석한 틀을 기반으로 본 연구의 공공성을 5점 리커드 척도로 평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독립변수로 ‘공원 내 텃밭 경작 참여 여부’에 따라 종속변수인 ‘공원 이용 현황’, ‘공원 내 텃밭 인식’, ‘공원 내 텃밭 공공성 평가’, ‘공원 내 텃밭 공공성 증진 방안’에 대한 인식이 실제로 차이가 있는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공원 내 텃밭이 사회 구성원 간 합의를 이루고 사회적 가치로써 공공성을 유지하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Figure 1 참조).
  •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공원 내 텃밭의 조성 및 운영에 있어 나타나는 공공성 관련 문제점을 살펴보고자 하며, 이를 위해 먼저 도시공원 내 텃밭의 공공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도출하여 경작 참여 여부에 따른 공원 내 텃밭의 공공성에 대한 인식 차이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공원의 기능과 텃밭의 기능이 상충되지 않고, 도시공원 내 텃밭이 공원 공공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조성 및 관리ㆍ운영되기 위한 이용자 측면의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도시공원 내 텃밭의 지속가능한 유지를 위해서는 체계적인 관리와 운영 방식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텃밭 경작 참여 여부에 따른 텃밭의 지속가능한 관리ㆍ운영을 위해 필요한 사항에 대한 인식조사를 실시하였다. 집단 간 교차 분석을 실시한 결과,유의확률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농업은 어떠한 기능을 하고 있는가? 도시농업은 도시 또는 인근지역에서 이루어지는 농업활동으로 도시에서의 먹거리 생산, 도시 환경 개선, 여가 활동 및 커뮤니티 형성과 같은 경제적ㆍ생태적ㆍ사회적인 기능을 하고 있다(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0). 2006년 텃밭 상자를 시작으로 대두되어진 우리나라의 도시농업은 2011년도시농업의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이 제정되면서 정부 및 일반 시민들의 도시농업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고, 이와 관련된 다양한 활동들이 활성화되었다.
도시공원이란 무엇인가? 도시공원은 자연 경관 보호와 시민의 건강ㆍ휴양 및 정서 생활 향상에 기여하기 위한 도시계획시설 중 하나로 모든 시민을 위해 존재하는 공공성이 요구되는 공간이다. 일반적으로 도시공원은 여가 휴양의 위락적 기능, 환경 보전의 환경ㆍ생태적 기능, 방재 예방의 보호적 기능 등의 측면에서 도시 환경을 유지하는 기본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003).
공원의 공공성에 대한 논란이 일어난 것은 어떠한 갈등에서 생기는 문제이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가? 하지만 테니스장과 같이 다양한 활동을 위해 도입된 시설이 점점 특정 개인이나 집단에 의해 독점적으로 사용되면서 공원의 공공성에 대한 논란이 일고 있다. 이러한 논란은 공간을 둘러싼 개인의 이해와 공공의 요구에 대한 갈등에서 생기는 문제이며, 이를 극복하고다수의 가치가 공유되기 위해서는 조정과 타협이 필요한 실정이다. Lee(2003)는 시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통한 사회적 합의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는데, 이에 공원에서는 민관협력, 시민참여를 강조하면서 공원 조성에서부터 관리까지 시민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여 도시공원의 공공성을 확보하고자 다양한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Kim,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ct on Development and Support of Urban Agriculture. 

  2. Eun, J. S.(2013) A Study on the Public Utilization for Privately Owned Public Space of Individual Buildings in Urban Commercial Streets. Master Degree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3. Heo, J. N. and T. G. Kim(2012) Valuation and preference of urban agriculture park using choice experiment. Korea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10: 375-384. 

  4. Jang, H. R.(2005) A Study on the Effect of Factors on the Use of Private-owned Pocket Parks. Master Degree Thesis, University of Seoul. Seoul, Korea. 

  5. Kang, K. N., J. K. Lee, K. H. Kim, and M. H. Lee(2007) Revitalization planning of urban farming based on vegetable gardens. Journal of The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26(1): 167-176. 

  6. Kim, M. N.(2006) A Study of the Management Subject and the Park User's Mind for the Citizen's Participation in the Seoul Forest Park Management. Master Degree Thesis, University of Seoul. Seoul, Korea. 

  7. Kim, S. E.(2013) A Comparative Study on Park Marketing Strategies by Operating Agencies: The Case of Seoul Forest, World Cup Park and Olympic Park. Master Degree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8. Kim, S. H., J. G. Hyun, J. H. Lee, J. S. Kim, G. H. Lee, and H. M. Yang(2008) Public. Mimesis. 

  9. Kim, Y. K.(2014) Analysis of Current Operational State of Vegetable Gardens by Elementary School and Plans for Activation. Master Degree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10. Korea Planners Association(2013) Urban Agriculture Present and New Experiment. 

  11. Land & Housing Institute(2011) Planning Strategies for Urban Farming in the Development Project Areas. 

  12. Lee, C. H.(2012) Comparative Study on Urban Agriculture Operating Agents: Construction and Operating System with a Focus on Community Allotment. Master Degree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13. Lee, H. S.(2009) A study on off-leash dog runs in urban parks as public facilities : Case studies of dog runs in urban parks in Tokyo.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n 10(2): 139-152. 

  14. Lee, J. B.(2010)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Public Open Space. Master Degree Thesis, Mokwon University. Daejeon, Korea. 

  15. Lee, J. W.(2003) A Study on Acquisition of the Publicity in Korean City through Kevin Lynch's Theory : Focused on Itaewon. Master Degree Thesis, Kookmin University. Seoul, Korea. 

  16. Lee, W. S., S. E. Won, S. Y. Lee, and M. H. Seo(2011) Finding the vacant space and community garden formation model for making urban vegetable garden. Gyeonggi Agriculture Research & Extension Service. 

  17. Park, H.(2012) A study on the implications from the modern large park planning and the features. Journal of the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3(3): 63-74. 

  18. Park, T. H. and I. S. Lee(2012) Effects of the urban farm program on the participants' sense of communit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0(5): 119-128. 

  19.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2010) Urban Agriculture Condition and Perception Survey Result. 

  20. Seoul Research Institute(2012) Revitalization Planning of Urban Agriculture in Seoul. 

  21. Son, E. H.(2012) Shared space and community. Journal of North-east Asian Cultures 32: 61-79. 

  22. Son, Y. H.(2014) The current status of use and the difference of awareness by user groups in the Cheongryongsan Vegetable Garden Park.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20(2): 71-80. 

  23.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2003) Landscape Planning and Design. Seoul: Munundang. 

  24. Yoo, S. B.(2014) A Study on the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Urban Community Garden Focused on Urban Publicness. Master Degree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25. Yoon, S. M.(2013) Study on Making the Agricultural Ecological Park Using the Extant Farmland in the City and the Value Cognition. Master Degree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26. http://www.segye.com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