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텃밭의 분포 및 이용 특성 - 대구광역시 시지지역을 사례로 -
The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Use of Urban Farms - A Case Study of the Siji Region in Daegu Metropolitan City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2 no.6, 2014년, pp.1 - 9  

남태호 ,  정태열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도시 내 유휴지 및 하천, 도로변과 같은 공공시설부지는 오랫동안 도시민에게 도시농업 공간(텃밭)을 제공해 왔다. 그러나 유휴지와 공공시설부지에서 이루어지는 대부분의 경작은 불법이어서 텃밭 이용자와 토지소유자 그리고 공공시설 관리자간의 갈등을 유발하고, 도시경관의 질 저하, 환경오염, 공공시설물 훼손 등의 문제를 야기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시 내 공공시설부지 등에서 무단으로 경작되는 도시농업을 양성화할 수 있는 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도시지역에 다양한 형태로 산재한 텃밭의 분포 및 이용 실태를 조사 분석하였다. 조사는 대구광역시 시지지역을 사례지로 선정하여 현장 조사, 텃밭 이용자 및 주말농장 운영기관 담당자와의 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도시텃밭은 접근이 쉬운 주택가 인근의 개발이 제한된 녹지지역에 주로 분포했으며, 주거지에 인접할수록 텃밭의 분포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지이용 유형별로는 농경지에 분포하는 텃밭의 비율이 월등히 높았으나, 도로, 하천 등 공공시설부지에 분포하는 비율도 농경지의 3분의 1을 상회하였다. 텃밭을 경작하는 사람들 중 개인 소유 토지를 무임 경작하는 사람들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국 공유지 무단경작 비율이 다음으로 높았다. 도시 내 유휴지와 하천, 도로, 철도 등 공공시설이 위치하는 국 공유지를 텃밭으로 무임, 무단 경작하는 사람들 대부분은 노인으로 나타나, 노인 여가 공간으로서의 도시텃밭의 잠재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조사대상지가 특정 지역에 국한된 점, 텃밭의 규모를 실측하지 못한 점 등의 한계가 있으나, 도시텃밭의 분포 및 이용 특성을 파악하여 불법으로 경작되는 도시농업의 양성화 및 제도적 수용 필요성을 제기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고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in the urban area, over the past decades unused land and public land such as streams and road sides have given urban residents a space for farming (urban farms). However, because this use is illegal, farming in unused and public lands could cause conflicts between urban farm users and land own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도시지역에 있는 주말농장을 비롯하여 주택가 유휴지, 주거지 인근의 농경지, 임야, 도로 · 철도변과 하천 등에 산재하는 텃밭의 현황을 현장조사를 통해 파악하여 도시농업공간의 분포특성과 이용 실태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공공시설부지 등에서 불법적으로 이루어지는 도시농업의 양성화 및 제도화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 시지지역을 사례지로 선정, 현장조사 및 텃밭이용자와의 면담을 통해 도시농업 공간의 분포 현황과 이용 실태를 조사 · 분석함으로써 주택가 인근 공공시설부지에서 무단으로 경작되는 도시텃밭의 양성화 및 도시농업 공간 확보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 본 연구는 무단 · 불법 경작 텃밭의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이들 텃밭의 양성화, 제도화에 대한 필요성 제기를 목적으로 도시지역에 다양한 형태로 산재한 텃밭의 전반적인 실태를 조사 ·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휴지와 공공시설부지에서 이루어지는 경작이 야기하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도시 내 유휴지 및 하천, 도로변과 같은 공공시설부지는 오랫동안 도시민에게 도시농업 공간(텃밭)을 제공해 왔다. 그러나 유휴지와 공공시설부지에서 이루어지는 대부분의 경작은 불법이어서 텃밭 이용자와 토지소유자 그리고 공공시설 관리자간의 갈등을 유발하고, 도시경관의 질 저하, 환경오염, 공공시설물 훼손 등의 문제를 야기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시 내 공공시설부지 등에서 무단으로 경작되는 도시농업을 양성화할 수 있는 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도시지역에 다양한 형태로 산재한 텃밭의 분포 및 이용 실태를 조사 분석하였다.
도시농업의 기능은 무엇인가? 도시농업1)은 도시민들에게 자연과의 접촉, 생산적 여가활동,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 학습 및 교육의 기회를 제공한다(Im and Lee, 2011). 또한 신선하고 안전한 농산물을 공급하며, 자원절약에 기여한다(Rhim et al., 2011; O et al.
본 연구에서 대구광역시 시지지역을 조사한 결과 도시텃밭의 토지이용 유형은 어떻게 나타났는가? 연구 결과, 도시텃밭은 접근이 쉬운 주택가 인근의 개발이 제한된 녹지지역에 주로 분포했으며, 주거지에 인접할수록 텃밭의 분포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지이용 유형별로는 농경지에 분포하는 텃밭의 비율이 월등히 높았으나, 도로, 하천 등 공공시설부지에 분포하는 비율도 농경지의 3분의 1을 상회하였다. 텃밭을 경작하는 사람들 중 개인 소유 토지를 무임 경작하는 사람들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국 공유지 무단경작 비율이 다음으로 높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Ahn, Chul-Hwan, Gang-Ho Lee, Young-Joo Park, Sung-Bok Rhim, Kyung-Il Kim, In-Ho Kim, Joo-Ho Rhim, Bo-Eun Lee and In-Sook Yoon(2013) Current status of urban farming and new attempt. Urban Information Service 337: 3-22. 

  2. Choi, Seung(1988)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Plan for Vacant Land by the Introduction of the City Farming: In Case of Gwachon New Town. A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3. Gu, Ja-Hoon and Young-il Woo(1996) Proposed the policy recommendation of civil farm and rental cultivating land utilizing of the vacant lands within Seoul urban area: Focused on current state of Seoul. Seoul Development Review 4(2): 3-27. 

  4. Hwang, Jee-Wook(2010) A study on the legal system of small garden from the viewpoint of urban regeneration.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22(4): 169-184. 

  5. Im, Mee-Jung and Eun-Heui Lee(2011) Users' perception analysis of urban allotments for vitalizing local community.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Plants, People and Environment 14(4): 237-243. 

  6. Kim, Ok-Jin(2009)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Application of the Urban Farmland. A Master's Thesis, Sunchon National University. Korea. 

  7. Lee, Byung-Joon(2012) The study of securing urban farmland for vitalizing urban agriculture. Journal of the Korean Urban Management Association 25(4): 89-122. 

  8. Lee, Chang-Woo(2013) Urban Farming in Seoul. A Presentation Material of Symposium at the 2nd Seoul Urban Farming Fair. 

  9.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2013) The 1st Fiveyear- plan for Growth of Urban Farming. A Report of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10. O, Choong-Hyeon, Mi-Sook Lee, Ho-Young Lee, Bo-Kwang Jung, OJeong Kwon, Young Kim, Jin Jang, Soo-Hong Ban, Kyo-Young Lee, Ji-Won Son, Hong-Cheol Pak, Eun-Ha Park, Hyeon-Joon Min, Hye-Sook Baek and Jeong-Nam Huh(2012) Study on participation situation and activation strategies of urban agriculture as a Hobby, A research report to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1. Park, Jin-Wook and Gye-Bog Ahn(2013) The current status of the Korean urban farming researched from an institutional perspective and tasks for the futur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9(3): 61-73. 

  12. Park, Won-Zei, Bon-Hak Koo, Mi-Ok Park and Hyo-Jin Kwon(2012) A comparative study on the recognition of urban agriculture between urban farmers and public official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0(4): 90-103. 

  13. Rhim, Joo-Ho, In-Sook Yoon, Eun-Joo Yoon, Ki-Nam Kang and Tae- Hwan Ahn(2011) Planning strategies for urban farming in the development project areas. Land & Housing Institute, Korea Land & Housing Corporation(LH). 

  14. Rho, Kyoung-Ah and Yoo-Ill Kim(1995) A study on the user's motivation and satisfaction for civic garde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2(4): 133-148. 

  15. Society of Korean Literature(2001) Korea Unabridged Dictionary. Seoul: Minjung Publishing Company. p. 2563. 

  16. The Vegetable Garden Distributing Agency, National Headquarter of Turning-to-Farming(2011) Urban Farming(Ahn, Chul-Hwan, "Making Urban Farm and Operation"). Paju: Deulnuyl. pp. 60-78.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