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항염증 및 항당뇨 활성에 미치는 현미 추출물의 영향
Anti-Inflammatory and Antidiabetic Effects of Brown Rice (Oryza sativa L.) Extract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2 no.1 = no.141, 2012년, pp.126 - 131  

조은경 (신라대학교 의생명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정경임 (신라대학교 의생명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최영주 (신라대학교 의생명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미의 기능성을 증명하기 위하여 열수, 에탄올 추출하여 여러 가지 생리활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우선, 아 질산염 소거능 분석에서는 현미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 1 mg/ml 농도, pH 1.2에서 75.4와 94.9%을 나타내었고, xanthine oxidase 저해능은 현미 에탄올 추출물 10 mg/ml에서 72.9%로 같은 농도의 열수 추출물보다 높게 측정되었다. 현미의 소화율($44.46{\pm}6.09$%)은 백미의 소화율($62.71{\pm}4.18$%)보다 낮으며 ${\alpha}$-glucosidase 저해능은 현미 에탄올 추출물 10 mg/ml에서 93.1%로 같은 농도의 열수 추출물보다 높게 측정되었다. 현미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의 SOD 유사활성은 10 mg/ml에서 56.4와 44.9%로 유의적인 큰 차이는 없었다. 현미의 숙취해소 효능은 ADH와 ALDH 활성증진에 현미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써 증명하고자 하였는데 그 결과, 현미 에탄올 추출물에서 알콜 분해능 증가율이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hysiological activities of hot water (BRW) and 80% ethanol (BRE) extracts from brown rice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e highest activity (94.9%) of nitrite reductase was observed for BRE at 1 mg/ml at pH 1.2, while the activity for BRW was about 75.4% under the same conditions. The inhibit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현미추출물의 항염증, 항당뇨, xanthine oxidase 및 alcohol metabolizing activity 및 현미의 소화율 등 현미추출물의 기능성을 연구함으로써 현미를 이용한 식생활 개선 및 건강증진을 위한 건강식품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하지만 SOD는 분자량이 비교적 큰 단백질로서 열이나 알칼리에 약하므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저분자물질로 체내에서 역할이 유사한 SOD 유사활성 물질을 찾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SOD 유사활성을 가진 새로운 항산화 소재를 찾고자 현미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에 대해 분석하여 Table 3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모든 용매 추출물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증가하였는데, 10 mg/ml 농도의 현미 열수 추출물은 56.
  • 이에, 현미로부터 당 분해를 억제할 수 있는 기능성을 더 증명하고자 본 연구에서 현미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의 α-glucosidase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셀리악병은 무엇 때문에 생기는 증상입니까? 2000년 이후에 밀 알레르기로 알려진 셀리악병(celiac disease, 과민성 장 질환)은 글루텐의 섭취가 반복되면서 소장 융털돌기가 면역적 장해로 인해 소화흡수장애를 일으켜 설사, 복통, 알레르기 등의 증상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8,18]. 그런데 쌀의 전분입자는 크기가 작아 조리 시 부드럽고 순한 텍스쳐를 형성하여 글루텐에 의한 알레르기가 잘 유발되지 않는 우수한 기능성식품 중의 하나이다[1].
Xanthine oxidase는 무엇입니까? Xanthine oxidase는 생체 내 purine 대사에 관여하는 효소로써 xanthine 또는 hypoxanthine으로부터 산소를 제거하여 과산화수소(H2O2)를 생성하게 하며, 나머지 골격이 uric acid 를 형성하여 혈장 내에 과량 존재하게 되면 골관절에 축적되어 심한 통증과 염증을 유발하는 통풍과 신장에 침착되어 염증질환을 일으키는 효소로 알려져 있다. 반면 catechin은 폴리페놀계 항산화물질로써 식물성 대사산물로 알려져 있으며 항산화효과가 비타민 E의 50배, 비타민 C의 100배에 달하기 때문에 체내의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다[22].
인체 내에 들어간 현미는 α-glucosidase를 이용해 어떻게 혈당 농도를 제한합니까? 이에, 현미로부터 당 분해를 억제할 수 있는 기능성을 더 증명하고자 본 연구에서 현미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의 α-glucosidase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소장융막부분의 α-glucosidase는 αamylase에 의해 분해된 당질을 최종적으로 단당류로 전환시키므로 본 효소의 활성 저해는 당질 가수분해와 흡수과정을 지연시킴으로 식후 혈당 농도를 제한 할 수 있다[11]. 따라서, α-glucosidase 저해제는 제2형 당뇨와 같은 당질 관련 질병을 위한 치료제 개발에 유용하다고 보고되어 있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Choi, C. R. 2002. The properties of rice flours and garedduk with resistant starches. PhD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 Choi, J. T., H. K. Joo, and S. K. Lee. 1995. The effect of Schizandrae fructus extract on alcohol fermentation and enzyme activities of Saccharomyces cerevisiae. Agric. Chem. Biotechnol. 38, 278-282. 

  3. Gray, J. I. and L. R. Dugan Jr. 1975. Inhibition of N-nitrosamine formation in moder food systems. J. Food Sci. 40, 981-984. 

  4. Ju, J. E., Y. H. Nam, and K. A. Lee.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s with wheat-rice composite flour. Korean J. Food Cookery Sci. 22, 923-929. 

  5. Kang, B. R, M. J. Park, and H. S. Lee. 2006. Germination dependency of antioxidative activities in brown r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389-394. 

  6. Kim, D. J., S. K. Oh, M. R. Yoon, A. R. Chun, H. C. Hong, J. S. Lee, and Y. K. Kim. 2010. Antioxidant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70% ethanol extracts from brown and milled rice by cultiva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467-473. 

  7. Kim, H. Y., I. G. Hwang, T. M. Kim, D. S. Park, J. H. Kim, D. J. Kim, J. S. Lee, and H. S. Jeong. 2011. Antioxidant and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 inhibitory activity on different parts of germinated rough r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775-780. 

  8. Kim, J. S.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s prepared from rice flours with different amylose contents. PhD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9. Kim, M. H. and M. S. Shin. 2003.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made with brown rice flours of different preparations.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9, 136-143. 

  10. Kim, M. H., Y. T. Chung, J. H. Lee, Y. S. Park, M. K. Shin, H. S. Kim, D. H. Kim, and H. Y. Lee. 2000. Hepatic detoxification activity and reduction of serum alcohol concentration of Hovenia dulcis THUNB from Korea and China. Korean J. Medicinal Crop Sci. 8, 225-233. 

  11. Kim, M. J., J. H. Ahn, K. H. Choi, Y. H. Lee, E. K. Hong, and Y. S. Chung. 2006. Effects of pine needle extract oil on blood glucose and serum insulin levels in db/db m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321-327. 

  12. Kim, S. H., S. Y. Hwang, O. S. Park, M. K. Kim, and Y. J. Chung. 2005. Effect of Pinus densiflora extract on blood glucose level, OGTT and biochemical parameters i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973-979. 

  13. Lee, M. H. 2006. Studies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with brown rice flour. MS Thesis, Catholic University. 

  14. Lee, M. H. and M. S. Oh.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with brown rice flour. 2006. Korean J. Food Culture 21, 685-694. 

  15. Lee, S. H., I. G. Hwang, H. Y. Kim, H. K. Lee, S. H. Lee, S. H. Woo, J. S. Lee, and H. S. Jeong. 2010. Starch properties of Daehak waxy corn with different harvest tim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573-579. 

  16. Lee, Y. R., S. H. Nam, and M. Y. Kang. 2006. Hypoglycemic effect of the giant embryonic rice supplementation o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ra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427-431. 

  17. Marklund, S. and G. Marklund. 1974. Involvement of superoxide anion radical in the aut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 J. Biochem. 47, 469-474. 

  18. Nam, Y. H. 2005. The sponge cake quality prepared with rice flour. MS Thesis, Soonchunhyang University. 

  19. Parejo, I., F. Viladomat, J. Bastida, A. Rosas-Romero, N. Flerlage, J. Burillo, and C. Conida. 2002. Comparision between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ix distilled and nondistilled Mediterranean herbs and aromatic plants. J. Agric. Food Chem. 50, 6882-6890. 

  20. Park, Y. B, T. G. Lee, O. K. Kim, J. R. Do, S. G. Yeo, Y. H. Park, and S. B. Kim. 1995. Characteristics of nitrite scavenger derived from seeds of Cassia Tora L.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124-128. 

  21. Racker, E. 1973. Alcohol dehydrogenase in rat liver. Biochem. J. 135, 577-581. 

  22. Ruidavets, J., P. Teissedre, J. Ferrieres, S. Carando, G. Bougard, and J. Cabanis. 2000. Catechin in the Mediterranean diet: vegetables, fruit or wine. Atherosclerosis 153, 107-117. 

  23. Tibbot, B. K. and R. W. Skadsen. 1996. Molecular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a gibberellin-inducible, putative $\alpha$ -glucosidase gene from barley. Plant Mol. Biol. 30, 229-241. 

  24. Tottmar, S. O., H. Petterson, and K. H. Kiessling. 1973. The subcellular distribution and properties of aldehyde dehydrogenase in rat liver. Biochem. J. 135, 577-581. 

  25. Woo, K. S., A. R. Chum, S. K. Oh, K. J. Kim, D. J. Kim, C. I. Yang, Y. G. Kim, J. H. Kim, and H. S. Jeong. 2010. Antioxidant and antitumor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unhulled and hulled rice Hiami (Oryza sativa L. cv. Hiami).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79-185. 

  26. Woo, S. M., Y. J. Jeong, and K. Whang. 2006. Effect of germinated brown rice extract powder on free amino acid content, antioxidant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the Korean cabbage kimchi. Korean J. Food Preserv. 13, 548-554. 

  27. Xue, Q., R. K. Newman, and C. W. Newman. 1996. Effects of heat treatment of barley starches on in vitro digestibility and glucose responses in rats. Cereal Chem. 73, 588. 

  28. Yeo, S. G., Y. B. Park, I. S. Kim, S. B. Kim, and Y. H. Park. 1995. Inhibition of xanthine oxidase by tea extracts from green tea, oolong tea, and black t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24, 154-15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