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PCR-DGGE를 이용한 막걸리발효에서 미생물 다양성 분석
Analysis of Microbial Diversity in Makgeolli Fermentation Using PCR-DGGE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2 no.2 = no.142, 2012년, pp.232 - 238  

권승직 (국립보건연구원 질병관리본부) ,  안태영 (단국대학교 미생물학과) ,  손재학 (신라대학교 의생명과학대 바이오식품소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금정산성 막걸리$^{(R)}$는 전통적인 수제누룩과 쌀로부터 발효된 한국의 전통적인 술이다. 본 연구에서는 막걸리 발효기간 동안 세균과 진균의 다양성을 특성화하기 위해 16S와 28S rRNA 유전자를 목적으로 하는 PCR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PCR-DGGE) 분석을 수행하였다. 막걸리 발효기간 동안 PCR-DGGE profile에서 검출된 세균은 16S rRNA 유전자 서열에 기초한 동정결과 Lactobacillus spp. (L. curvatus, L. kisonensis, L. plantarum, L. sakei 및 L. gasseri), Pediococcus spp. (P. acidilactici, P. parvulus, P. agglomerans및 P. pentosaceus), Pantoea spp. (P. agglomerans 및 P. ananatis) 그리고 Citrobacter freundii로 총 12종이었으며, 배양2일 이후 L. curvatus가 주된 우점 종을 형성하였다. 반면 PCR-DGGE profile에서 검출된 진균은 28S rRNA 유전자 서열에 기초한 동정결과 Pichia kudriavzevii, Saccharomyces cerevisiae, Asidia idahoensis, Kluyveromyces marxianus, Saccharomycopsis fibuligera 및 Torulaspora delbrueckii로 6종이었으며 주된 우점 진균은 배양0일에서 2일에 P. kudriavzevii에서 배양 3일에서 6일에 S. cerevisiae로 전환되었다. 결과적으로 PCR-DGGE분석은 막걸리발효기간 동안 미생물의 구조와 다양성을 이해하는 데 유용한 도구임을 보여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Kumjungsansung-Makgeolli$^{(R)}$ is a traditional Korean rice wine that is fermented from traditional nuruk and rice. In this study, we performed the PCR-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DGGE) analysis targeting the 16S and 28S rRNA genes to characterize bacterial and fungal diver...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전통방식에 의해 생산되는 금정산성 막걸리의 발효과정에 따른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특히, 16S와 28S rRNA 유전자를 이용한 PCR-DGGE분석을 이용하여 전통 막걸리의 발효과정 동안 미생물군집(세균과 진균) 구조와 다양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막걸리란 무엇인가? 막걸리는 한국의 민속주의 하나로 발효제와 전분질의 곡물을 이용하여 빚은 발효주로 알코올 함량이 6~8도인 저 도수의 알코올음료이다. 전통적으로 사용해온 발효제인 누룩은 대량생산이 어렵고 다양한 microflora에 의해 막걸리의 품질안정성을 확보하는 데 어려움을 가지고 있어 1940년대 이후 발효제의 생산기간이 짧고 위생 및 당화력 등 품질 안정성이 높은 입국, 분국 및 효소제 등으로 발전해오고 있다[14].
막걸리에 포함된 영양성분은 무엇인가? 막걸리는 전분질의 곡물을 이용하여 발효되기 때문에 곡물의 종류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풍부한 탄수화물과 단백질을 포함하고 있으며 특히, 발효미생물인 유산균과 효모의 발효과정에서 생산된 유기산, 아미노산, 비타민, aromatic flavors 등으로 인하여 영양학적인 가치뿐만 아니라 독특한 맛과 향에 대한 특성이 보고되고 있다[19]. 또한 막걸리는 미생물의 발효과정 동안 생산된 산물로부터 항산화, 다양한 생리활성이 밝혀지고 있어 건강식품으로 그 가치가 재평가되고 있다[4,15, 21,29,30].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분석은 어떤 연구에 활용되었는가? 미생물생태학의 연구는 군집구조 연구를 위한 molecular fingerprinting기술을 제공하는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DGGE)와 temperature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TGGE)의 도입으로 크나 큰 발전을 가져왔다[8]. DGGE분석에서 16S 또는 28S rRNA gene의 크기는 동일하나 서열이 다른 PCR산물을 분리할 수 있었으며 이 기술은 토양[28], 해양[2], 곤충[27], sludge [35] 등 다양한 환경에서 미생물의 dynamics 연구를 위해 광범위하게 적용되어 왔다. 또한 이러한 방법은 누룩[17], 김치[3], 와인[5,22], sausage[26], sourdough [24], coffee [23], 치즈[6]와 같은 식품의 발효 과정에서 미생물의 다양성 연구를 위해 광범위하게 이용되어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Baek, S. Y., Y. G. Nam, J. I. Ju, and J. S. Lee. 2011. Changes of quality characteristics during storage of Gugija-Liriope tube Makgeolli made by Saccharomyces cerevisiae C-2. Korean J. Mycol. 39, 122-125. 

  2. Bowman, J. P., S. A. McCammon, J. A. Gibson, L. Robertson, and P. D. Nichols. 2003. Prokaryotic metabolic activity and community structure in Antarctic continental shelf sediments. Appl. Environ. Microbiol. 69, 2448-2462. 

  3. Chang, H. W., K. H. Kim, Y. D. Nam, S. W. Roh, M. S. Kim, C. O. Jeon, H. M. Oh, and J. W. Bae. 2008. Analysis of yeast and archaeal population dynamics in kimchi using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Int. J. Food Microbiol. 126, 159-166. 

  4. Cho, E. K., H. Y. Kim, H. J. Byeon, S. W. Kim, and Y. J. Choi. 2010. Nitrite scavenging and alcohol metabolizing activities of hot water extract from Makgeoly and its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effect. J. Life Sci. 20, 768-774. 

  5. Cocolin, L., L. F. Bisson, and D. A. Mills. 2000. Direct profiling of the yeast dynamics in wine fermentations. FEMS Microbiol. Lett. 189, 81-87. 

  6. El-Baradei, G., A. Delacroix-Buchet, and O. Jean-Claude. 2007. Biodiversity of bacterial ecosystems in traditional Egyptian domiati cheese. Appl. Environ. Microbiol. 73, 1248-1255. 

  7. Galvez, A., H. Abriouel, R. L. Lopez, and N. B. Omar. 2007. Bacteriocin-based strategies for food biopreservation. Int. J. Food Microbiol. 120, 51-70. 

  8. Heuer, H. and K. Smalla. 1997. Application of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DGGE) and temperature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TGGE) for studying soil microbial communities, pp. 353-373. In van Elsas, J. D., E. M. H. Wellington, and J. T. Trevors (eds.), Modern soil microbiology. Marcel Dekker, Inc., New York, N.Y. 

  9. Jeong, J. W., K. J. Park, M. H. Kim, and D. S. Kim.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Takju fermentation by addition of chestnut peel powder. Korean J. Food Preserv. 13, 329-336. 

  10. Jin, J., S. Y. Kim, Q. Jin, H. J. Eom, and N. S. Han. 2008. Diversity analysis of lactic acid bacteria in Takju, Korean rice wine. J. Microbiol. Biotechnol. 18, 1678-1682. 

  11. Jo, K. Y. and D. M. Ha. 1995.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Lactic acid bacteria from Nuruk. Agri. Chem. Biotechnol. 38, 95-99. 

  12. Kang, K. H., B. S. Noh, J. H. Seo, and W. D. Hur. 1998. Food analysis. pp. 109-110, SungKyunkwan University Press. Seoul. Korea. 

  13. Kim, J. H., S. Y. Lee, K. B. W. R. Kim, E. J. Song, A. R. Kim, M. J. Kim, K.W. Ji, I. S. Ahn, and D. H. Ahn. 2007. Effects of Glycyrrhiza uralensis, Menthae herba, Schizandra chinensis and chitosan on the self-life and quality of Takju.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436-1443. 

  14. Kim, J. Y. and J. S. Kho. 2004. Screening of brewing yeasts and saccharifying molds for foxtail millet-wine making.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7, 78-84. 

  15. Kim, S. and W. Cho. 2006. Effects of Takju (Korean turbid rice wine) Lees on the serum glucose level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Korean J. Food Culture 21, 638-643. 

  16. Kim, S. K., E. J. Lee, K. Y. Park, and H. K. Jun. 1998. Bacteriocin produced by Lactobacillus curvatus SE1 isolated from Kimchi. J. Microbiol. Biotechnol. 8, 588-594. 

  17. Kwan, S. J. and J. H. Sohn. 2011. Analysis of microbial diversity in Nuruk using PCR-DGGE. J. Life Sci. 22, 110-116. 

  18. Lane, D. J. 1991. 16S/23S rRNA sequencing, pp. 115-175, In Stackebrandt, E. and M. Goodfellow (eds.), Nucleic acid techniques in bacterial systematic, John Wiley & Sons. New York. 

  19. Lee, J. S., T. S. Lee, S. O. Park, and B. S. Noh. 1996. Flavor component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different raw material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316-323. 

  20. Lee, J. S., T. S. Lee, B. S. Noh, and S. O. Park. 1996.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sh of takju prepared by different raw material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330-336. 

  21. Lee, H. S., K. H. Hong, K. H. Yoon, J. M. Kim, and S. M. Kim. 2009. Effect of Korean turbid rice wine (takju) less extract on blood glucose level in db/db mouse.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109-113. 

  22. Lopez, I., F. Ruiz-Larrea, L. Cocolin, E. Orr, T. Phister, M. Marshall, J. Vander Gheynst, and D. A. Mills. 2003. Design and evaluation of PCR primers for analysis of bacterial populations in wine by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Appl. Environ. Microbiol. 69, 6801-6807. 

  23. Masoud, W., L. B. Cesar, L. Jespersen, and M. Jakobsen. 2004. Yeast involved in fermentation of Coffea arabica in East Africa determined by genotyping and by direct denaturat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Yeast 21, 549-556. 

  24. Meroth, C. B., W. P. Hammes, and C. Hertel. 2003. Identification and population dynamics of yeasts in sourdough fermentation processes by PCR-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Appl. Environ. Microbiol. 69, 7453-7461. 

  25. Park, S. S., J. J. Kim, J. A. Yoon, J. H. Lee, B. O. Jung, and S. J. Chung. 2011. Prepar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Takju (Rice Wine) with Opuntiaficus-indica var., saboten and Chito-oligosaccharide. J. Chitin Chitosan 16, 164-169. 

  26. Rantsiou, K., R. Urso, L. Iacumin, C. Cantoni, P. Cattaneo, G. Comi, and L. Cocolin. 2005. Culture-dependent and-independent methods to investigate the microbial ecology of Italian fermented sausages. Appl. Environ. Microbiol. 71, 1977-1986. 

  27. Reeson, A. F., T. Jankovic, M. L. Kasper, S. Rogers, and A. D. Austin. 2003. Application of 16S rDNA-DGGE to examine the microbial ecology associated with a socialwasp Vespula germanica. Insect Mol. Biol. 12, 85-91. 

  28. Sharma, S., Z. Szele, R. Schilling, J. C. Munch, and M. Schloter. 2006. Influence of freeze-thaw stress on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microbial communities and denitrifying populations in soil. Appl. Environ. Microbiol. 72, 2148-2154. 

  29. Shin, M. O., M. H. Kim, and S. J. Bae. 2010. The Effect of Makgeolli on blood flow, serum lipid improvement and inhibition of ACE in vitro. J. Life Sci. 20, 710-716. 

  30. Shin, M. O., D. Y. Kang, M. H. Kim, and S. J. Bae. 2008. Effect of growth inhibition and quinine reductase activity stimulation of Makgeoly fractions in various cancer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288-293. 

  31. Seo, M. Y., J. K. Lee, B. H. Ahn, and S. K. Cha. 2005. The changes of microflora during the fermentation of Takju and Yakju.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61-66. 

  32. Thompson, J. D., T. J. Gibson, F. Plewniak, F. Jeanmougin, and D. G. Higgins. 1997. The CLUSTAL_X windows interface: flexible strategies for multiple sequence alignment aided by quality analysis tools. Nucleic Acids Res. 25, 4876-4882. 

  33. Woo, K. S., J. S. Lee, J. Y. Ko, S. B. Song, B. G. Oh, J. R. Kang, M. H. Nam, I. S. Ryu, and M. C. Seo. 2010.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wine fermented from foxtail Millet (Setaria italica Beauvios) and nuruk at different addition rates.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298-303. 

  34. Woo, K. S., S. B. Song, J. S. Lee, J. Y. Ko, J. R. Kang, B. G. Oh, M. H. Nam, I. S. Ryu, and M. C. Seo. 2010.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wine made from proso millet (Panicum miliaceum L.) at different addition rates with two kinds of nuruk. Korean J. Crop Sci. 55, 119-125. 

  35. Xia, S., Y. Shi, Y. Fu, and X. Ma. 2005. DGGE analysis of 16S rDNA of ammonia-oxidizing bacteria in chemical-biological flocculation and chemical coagulation systems. Appl. Environ. Microbiol. 69, 99-105. 

  36. Yeates, C., M. R. Gillings, A. D. Davison, N. Altavilla, and D. A. Veal. 1998. Methods for microbial DNA extraction from soil for PCR amplification. Biol. Proced. Online 1, 40-47. 

  37. Ye, E. J., S. J. Kim, C. H. Park, and M. J. Bae. 2005.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Ginseng treated with traditional rice wine stream process method.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599-604. 

  38. Yu, C. H., S. Y. Hong, and J. S. Koh. 2002. Zymological properties of foztail millet win-making by isolated strain from nuruk.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5, 138-144.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