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근대 한국 사회에서의 모던 신체미의 형성과 특성
The Formation and the Features of Modern Body Aesthetics in Modern Korea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62 no.2, 2012년, pp.122 - 135  

박혜원 (오산대학교 패션디자인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what the beauty of the modern body means and symbolizes from the aesthetic, sociocultural, and psychological perspectives and to investigate how it was formed in the modern Korean society. The data were obtained from the magazines and newspapers published f...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성서인이 언급한 세계에 공통되는 미인의 표준이란 무엇인가? 성서인은 세계에 공통되는 미인의 표준을 제시하였다. 그는 인체미의 근본이 되는 전형은 쉽게 변하지 않는다고 하며, 전 인류 간에는 공통되는 표준이 있다고 하였다. 그것은 사람의 머리, 얼굴, 어깨, 팔, 가슴, 허리, 다리 각 부분의 균형이 잘 잡혀야 한다는 점이었다. 키는 머리 길이의 8배, 얼굴 길이의 10배이며, 얼굴은 머리부터 눈썹, 눈썹부터 코밑, 코밑에서 아래턱까지 같은 길이어야하며, 안면은 손바닥과 길이가 같고, 두 팔을 벌린 길이는 키와 같다고 하였다. 이때 남성과 여성의 미가 달라, 남성의 키는 머리의 8배가 되야 하지만 여성의 경우에는 7.5배가 되야 하며, 여자가 키가 작으면 앙증스러워 보여도 미인은 못된다고 하였다.22)
신체는 복식에서 뿐만 아니라 어떤 역할을 하는가? 신체는 복식의 미를 표현할 뿐 아니라, 사회문화적 관계를 형성하는 데에 있어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취업과 사회생활, 이성교제, 나아가 결혼에 있어서까지 신체미는 그 기회와 선택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신체미의 중요성의 정도가 더해지면서 심각성을 보여주는 신조어는 무엇이 있는가? 1) 또한 모든 것이 동일한 조건이라면 외모가 뛰어난 사람은 그렇지 못한 사람보다 더 높은 연봉을 받는다.2) 이와 같이 신체미는 인간의 사회적 성취와 상호 관계성에 있어 날로 그 역할과 중요성이 커져 왔고, 그 중요성은 심각한 지경에 이르러 지금 현대 사회에서는 “루키즘”이라는 신조어가 대두될 정도이다. “루키즘”이란 21세기에 등장한 또 하나의 차별이라 불리우는 “외모지상주의”를 의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4)

  1. Synnott, A. (1990), Truth and goodness, mirrors and mask, British Journal of Sociology, 41, pp. 55-76. 

  2. Hamermesh, D. S. (2011), Beauty pays: Why attractive people are more successful, New Jersey: Princeton University Press, pp. 25-57. 

  3. 김민주 (2008), 2008 트렌드 키워드, 서울: 미래의 창, p. 237. 

  4. 강혜원 (1984), 의상사회심리학, 서울: 교문사, p. 251. 

  5. Bourdieu, P. (1984), Distinction: A social critique of the judgement of taste, Richard Nice(Trans.),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pp. 201-205. 

  6. Baudrillard, J. (1970), La societe de consummation, 이상률 역 (1992), 소비의 사회, 서울: 문예출판사, p. 208. 

  7. 임경복 (2009), 사회적 자아와 신체이미지가 외모관리 행동에 미치는 영향: 남녀 대학생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7(6), pp. 67-77. 

  8. 이미숙 (2008),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가치관의 내 면화가 청소년들의 신체이미지와 의복행동에 미치는 영향, 복식, 58(6), pp. 96-109. 

  9. 김은주 (2001), 여대생의 외모관리행동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3. 

  10. Lennon, S. J. et al. (1999), Attitudes toward gender roles, self-esteem, and body image: Application of a model,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7(4), pp. 192-193. 

  11. 이성희 (2009), 패션과 신체 담론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4. 

  12. 김은희 (2001), 20세기에 나타난 여성의 이상적 신체미와 패션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5(2), pp. 494-504. 

  13. 김소영, 양숙희 (2002), 패션 커뮤니케이션 매체와 이상적 신체미 (제 2보), 복식, 52(8), pp. 41-54. 

  14. 김소영, 이병화 (2004), 현대 패션에 나타난 신체의 미의식에 관한 연구, 복식, 54(3), pp. 129-143. 

  15. 김미선 (2005), 1930년대 신식 화장담론이 구성한 소비 주체로서 신여성, 여성학 논집, 22(2), pp. 145-182. 

  16. 맹문재 (2003), 일제 강점기의 여성지에 나타난 여성미용 고찰 -1930년대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19(3), pp. 5-30. 

  17. 이영아 (2008), 1900-1920년대의 여성의 '몸가꾸기' 담론의 변천과정 연구, 한국문화, 44, pp. 127-151. 

  18. Lennon, S. J. et al. (1999), Attitudes toward gender roles, self-esteem, and body image: Application of a model,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7(4), p. 191. 

  19. 임인생 (1930. 1. 1), "모던이씀", 별건곤, 25, pp. 136- 137. 

  20. 오석천 (1931. 6. 1), "모더니즘 회론", 신민, 67, p. 29. 

  21. 박혜원 (2011), 한국 근대문화 소비주체로서 모던 신세대의 가치관, 소비문화, 의복태도 특성: 1920년-1930년대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9(9), pp. 99-109. 

  22. 박혜원 (2011), 한국 근대문화 소비주체로서 모던 신세대의 가치관, 소비문화, 의복태도 특성: 1920년-1930년대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9(9), p. 103. 

  23. 임경복 (2009), 사회적 자아와 신체이미지가 외모관리 행동에 미치는 영향: 남녀 대학생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7(6), p. 76. 

  24. 박혜원 (2011), 한국 근대문화 소비주체로서 모던 신세대의 가치관, 소비문화, 의복태도 특성: 1920년- 1930년대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9(9),p. 102. 

  25. 이영아 (2008), 1900-1920년대의 여성의 '몸가꾸기' 담론의 변천과정 연구, 한국문화, 44, pp. 139-140. 

  26. 한긔자 (1922. 12. 10), "현대 문명이 요구하는 미인", 부인, 6, p. 27. 

  27. 홍선표 (2003), 한국 미인화의 신체 이미지, 한국문화연구원 겨울 학술 대회 발표 자료집, p. 20. 

  28. 정인익 (1929. 2. 1), "낙화와 미인", 별건곤, 19, pp. 124-125. 

  29. 성서인 (1928. 8. 1), "미인제조비법공개", 별건곤, 15, pp. 150-152. 

  30. "현대인으로 반듯이 알아야 할 미용체조법" (1935. 10. 1), 삼천리, 7(9), pp. 210-211. 

  31. "얼굴의 미보다 체격의 미를 발휘하라" (1926. 8. 29), 조선일보, p. 3. 

  32. 현진건 (1929. 2. 1), "미인 내가 조케 생각하는 여자", 별건곤, 19, p. 122. 

  33. 김동인 (1929. 2. 1), "미인 내가 조케 생각하는 여자", 별건곤, 19, p. 122. 

  34. 김동진 (1932. 5. 15), "예술가의 미인관", 삼천리, 4(5), p. 27. 

  35. 석영 (1932. 5. 1), "근대 여학생은 체격이 조와, 여학생이여 단발하라", 삼천리, 4(5), p. 17. 

  36. 배성용 (1925. 2. 11), "젊은 여성의 육체미.실질미", 신여성, 3(2), pp. 21-25. 

  37. 안석주 (1924. 11. 1), "미관상으로 보아서", 신여성, 2(11), pp. 6-9. 

  38. 김기림 (1933. 2. 22), "봄의 전주곡, 봄의 전령-북행 열차를 타고", 조선일보, p. 4. 

  39. 이동원 (1932. 7. 1), "여름의 환락경, 해수욕장의 에로그로", 별건곤, 53, p. 12. 

  40. 안석영 (1929. 7. 27), "몽파리나녀, 여름 풍경 (2)", 조선일보, p. 3. 

  41. 안석영 (1930. 1. 12), "여성선전시대가 오면 (2)", 조선일보, p. 5. 

  42. "미쓰 1936년이 되시랴는분은?" (1935. 4. 19), 조선중앙일보, p. 4. 

  43. "포탄과 현대의 애인" (1935. 2. 2), 유선형시대 (1), 조선일보, p. 4. 

  44. "금하 유행의 의상" (1935. 7. 1), 삼천리, 7(6), p. 207. 

  45. "미인제조실 참관, 오엽주씨의 미장실" (1934. 8. 1), 삼천리, 6(8), pp. 137-139. 

  46. 안석영 (1935. 2. 5), "표준달러진 미남미녀씨, 유선형시대 (3)", 조선일보, p. 4. 

  47. 안석영 (1935. 2. 6), "유선형도시 바비론 성인 유선형시대 (4)", 조선일보, p. 4. 

  48. "유선형", Doopedia 두산백과, 자료검색일 2011. 9. 11, http://100.naver.com/100.nhn?docid122370. 

  49. 점혜숙, 부면객 (1937. 1. 1), "장안 신사숙녀 스타일 만평", 삼천리, 9(1), pp. 104-111. 

  50. 망중한인 (1925. 9. 1), "여성미예찬", 신여성, 3(9), pp. 42-43. 

  51. "미인제조교과서" (1931. 1. 1), 신여성, 5(1), pp. 96-103. 

  52. 최독견 (1932. 5. 15), "예술가의 미인관, 춘희의 가튼", 삼천리, 4(5), p. 26. 

  53. 염상섭 (1930. 4. 1), "현대미인관, 문학과 미인", 삼천리, 5, pp. 44-45. 

  54. Hillestad, R. (1980), The underlying structure of appearance, Dress, 5, pp. 117-125. 

  55. 박혜원 (2011), 한국 근대문화 소비주체로서 모던 신세대의 가치관, 소비문화, 의복태도 특성: 1920년-1930년대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9(9), pp. 104-105. 

  56. 허영숙, 김원주, 김영환 (1932. 5. 1), "여학생이여 단발하라", 삼천리, 4(5), pp. 17-18. 

  57. 일기자 (1927. 10. 1), "전조선여자정구대회를 보고", 별건곤, 9, pp. 78-79. 

  58. Entwistle, J. (2000), The fashioned body: Fashion, dress, and modern social theory, Cambridge: Polity Press, pp. 6-28. 

  59. 이성희 (2009), 패션과 신체 담론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32. 

  60. 안종화 (1928. 8. 1), "아모라도 미인으로 보히는 여우화장법의 비밀", 별건곤, 15, pp. 150-158. 

  61. "숙녀비망첩" (1933. 7. 1), 신여성, 7(7), p. 74. 

  62. "볼우물 맨드는 기계" (1937. 7. 29), 동아일보, p. 3. 

  63. 현희운 (1922. 7. 10), "미용문답", 부인, 2, p. 52. 

  64. "미안기" (1939. 11. 1), 여성, 4(11), p. 43. 

  65. "체형? 사형? 그런 것은 아닙니다. 몸이 간얄피게 되는 기계" (1936. 5. 27), 동아일보, p. 3. 

  66. "곡선미를 내는 기계" (1937. 7. 1), 동아일보, p. 3. 

  67. "살 내리는 기계" (1937. 6. 22), 동아일보, p. 3. 

  68. "나진코를 인공으로 놉히는 이야기" (1927. 5. 14), 조선일보, p. 3. 

  69. 로아 (1930. 5. 1), "청화의원 김은선씨와 미용술을 中心으로 - 홀몬설까지, 지상이동좌담회, 해학속에 실정", 별건곤, 28, pp. 87-90. 

  70. "절세미인을 만든다는 미용수술의 공덕" (1936. 8. 6), 조선중앙일보, p. 5. 

  71. "가정, 출세에 관계되는 코 맵시 이야기, 요새 흔히잇는 코수술은 마루매도 천연스럽지 않다" (1937. 7.3), 조선일보, p. 4. 

  72. "첨단을 걷는 젖의 미용술" (1938. 6. 19), 조선일보, p. 2. 

  73. "의사의 '메스', 미인제조. 박색도 걱정없다" (1937. 5. 1), 조선일보, p. 4. 

  74. "부인화장 선택에 대하여" (1931. 3. 15), 신여성, 5(3), p. 27. 

  75. 성학박사 (1925. 11. 1), "양성미의 이해", 신여성, 3(11), pp. 33-34. 

  76. 안석영 (1928. 2. 9), "꼬리피는 공작, 가상소견 (3)", 조선일보, p. 5. 

  77. 안석영 (1933. 10. 25), "호귀의 출몰, 만추풍경 (5)", 조선일보, p. 2. 

  78. "메누마 구리무 광고" (1931. 12. 1), 신여성, 5(11), p. 9. 

  79. 김미선 (2005), 1930년대 신식 화장담론이 구성한 소비 주체로서 신여성, 여성학 논집, 22(2), p. 166. 

  80. "결혼시장을 차저서, 백화점의 미인시장" (1934. 5. 1), 삼천리, 6(5), pp. 156-159. 

  81. 김경일 (2001), 1920-1930년대 신여성의 신체와 근대성, 정신문화연구, 24(3), pp. 185-207. 

  82. "위생문답" (1935. 5. 1), 조선중앙일보, p. 4. 

  83. "새로 유행하는 화장 양식" (1925. 3. 29), 조선일보, p. 3. 

  84. "풍자화" (1925. 6. 1), 신여성, 2(6-7), p. 3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