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문헌정보학전공 졸업자의 취업실태 분석 연구 - K대학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Employment Analysis of Graduates Majoring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e case of K University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23 no.4, 2012년, pp.125 - 139  

이종문 (경성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본 연구는 K대학을 중심으로 문헌정보학 전공 졸업자의 취업실태를 분석,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제언하는데 있다. 2006년 8월부터 2011년 2월까지 5년간 취업가능 졸업자 178명을 분석한 결과, 취업실태는 취업 65%, 미취업 32%, 진학 3%로 나타났다. 이 중 취업자 116명을 분석한 결과, 고용형태는 정규직 40%, 비정규직 60%로, 직장 유형은 일반회사 29%, 공공도서관 16%, 학교도서관과 대학도서관 각각 10%, 대학/학교행정 9%, 공공기관과 출판/서점 각각 6%, 전문도서관 5%로 나타났다. 또 담당직무는 사서업무 38%, 사무업무 30%, 영업/관리 7%, 텔러/판매 7%, 조교업무 5%, 웹/전산 3%, 학원 강사와 상품기획/디자인 각각 2%, 사서교사, 보육교사, 비서, 사보기자, 군인, 자영업 각각 1%로 나타나 40%대의 전공일치도를 보였다. 미취업자(56명)의 희망 진로는 취업준비 57%, 공무원 준비 21%, 교사임용 준비와 미확인 각각 11%로 나타났다. 분석결과 문제점은 미취업률이 32%에 달할 정도로 높은 점, 정규직보다 비정규직 취업률이 높은 점, 전공일치도 평균 40%대에 불과한 점 등이었다. 이를 토대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도서관적 일자리를 적극 창출할 것, 전공학생이 정보 분야 일자리를 이해하고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할 것, 학문분야 차원에서 전공분야에 대한 일자리를 개발하고 지도할 것 등을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employment of graduates majoring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LIS) in K University, to identify problems in the employment of those graduates, and to propose approaches to improve employment. Among 178 graduates getting a job for five years from August 2006 to F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 전공 졸업자의 취업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조사내용은 졸업자 중 취업가능자 현황과 취업실태, 취업자의 고용형태, 연봉수준, 건강보험 가입 실태, 직장 유형, 담당직무, 근무지역 실태와 미취업자의 취업준비실태 등이다.
  • 본 연구에서는 문헌정보학 전공 졸업자를 대상으로 취업실태를 조사 분석하였다. 조사내용은 졸업자 중 취업가능자 현황, 취업가능자의 취업실태, 취업자의 고용형태, 취업자의 연봉수준, 취업자의 건강보험 가입 실태, 취업자의 직장 유형, 취업자의 담당직무, 취업자의 근무지역 실태, 미취업자의 취업준비실태 등이다.
  • 본 연구에서는 분석에 앞서 K대학이 속해있는 B지역 문헌정보학과 등과의 비교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취업통계시스템을 통해 문헌정보학이 속해 있는 인문학계열과 전체 문헌정보학과의 취업실태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문헌정보학과가 속해 있는 인문계열의 2007년부터 2011년까지(2010년부터는 건강보험가입자만 조사) 5년간 평균 취업률은 57.
  • 사정이 이러함에도 문헌정보학 전공자에 대한 그간의 취업과 관련한 연구는 미흡하기만 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헌정보학이 속해있는 인문학분야와 문헌정보학 졸업자에 대한 취업실태를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K대학교 졸업자를 대상으로 취업실태를 조사 분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K 대학교의 2006년 8월 졸업자부터 2011년 2월 졸업자까지 5년간의 졸업자를 대상으로 취업현황, 취업실태, 고용형태, 연봉수준, 건강보험 가입 실태, 직장유형, 담당직무, 근무지역 실태 및 미취업자의 취업진로 등을 조사하여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문제점을 발견하여 개선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취업자 116명을 대상으로 직장 유형을 분석한 결과는? 취업자 116명을 대상으로 직장 유형을 분석한 결과, 일반회사 29%(34명), 공공도서관 16%(19명), 학교도서관과 대학도서관 각각 10%(11명), 대학/학교행정 9%(10명), 공공기관과 출판/서점 각각 6%(8명), 전문도서관 5%(6명), 음식/제과 3%(3명), 학원/교육 2%(2명), 은행/금융, 유아시설, 육해공군, 자영업 각각 1%(1명) 순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남자의 경우 전체 취업자 16명 중 일반회사 37%(6명), 대학도서관 19%(3명), 전문도서관과 대학/학교행정 각각 13%(2명), 공공도서관, 공공기관, 자영업 각각 6%(1명) 순으로 나타났다.
취업자 116명을 대상으로 담당직무를 분석한 결과는? 취업자 116명을 대상으로 담당직무를 분석한 결과, 사서업무 38%(45명), 사무업무 30%(35명), 영업/관리, 텔러/판매 각각 7%(8명), 조교업무 5%(6명), 웹/전산 3%(4명), 학원강사와 상품기획/디자인 각각 2%(2명), 사서교사, 보육교사, 비서, 사보기자, 군인, 자영업 각각 1%(1명) 순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남자의 경우 사서업무 50%(8명), 사무업무와 영업/관리 각각 19%(3명), 조교업무와 자영업 각각 6%(1명) 순으로 나타났다.
1개월 미만의 기간 동안 취업하는 자와 대통령령으로 사회보험 가입을 제한하는 사업장이 거의 없음에도 건강보험 미가입자가 5%(6명)에 달하는 것은 문제가 아닐 수 없다고 한 이유는? 성별로는 남자의 경우 가입 88%(14명), 미가입 12%(2명)로, 여자의 경우 가입 96%(96명), 미가입 4%(4명)로 나타나 남자보다 여자의 가입률이 높게 나타났다. 참고로, 우리나라는 1개월 미만의 기간 동안 고용되는 근로자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업에 근무하는 근로자를 제외한 모든 근로자에 대하여 국민건강보험법제6조에 의거 건강보험을, 여타의 관련법에 의해 산업재해보험, 연금보험, 실업보험(고용보험) 을 의무화하고 있다. 따라서 1개월 미만의 기간 동안 취업하는 자와 대통령령으로 사회보험 가입을 제한하는 사업장이 거의 없음에도 건강보험 미가입자가 5%(6명)에 달하는 것은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김지홍. 2006. 국내사서직 취업 현황 분석과 전망: 2003-2005년 통계를 중심으로. 사대도협회지, 7: 111-127. 

  2. 교육과학기술부, 한국교육개발원. 2008. 2008취업통계분석자료집, 서울: 동단체. 

  3. 이성숙. 2002. 문헌정보학 전공자의 사회진출 동향에 관한 연구: 1996년∼2001년 서울?경기지역 4년제 대학 졸업생을 중심으로. 도서관, 57(2): 39-62. 

  4. 이종문. 2009. 문헌정보학 전공자의 선호 직업 및 준비성 실태 분석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2): 473-490. 

  5. 정우영, 한승희. 2008. 구인광고 분석을 통한 국내 정보전문직의 취업동향 분석. 제15회 한국정보관리학회 학술대회, 2008년 8월 21일. 서울: 한국정보관리학회. 

  6. 한국교육개발원. 2010-2011. 교육통계분석자료집. 서울: 동개발원. 

  7. 대학알리미. [cited 2012.1.17]. . 

  8. 한국교육개발원 취업통계시스템. [cited 2012. 10.17]. . 

  9. 교수신문. 2011. 취업률, 대학?학과 선택에 영향 78%: 大入수험생에 미치는 취업률? 언론사 대학평가 현장조사. 12월 12일. 

  10. 원광대신문. 2005. 자신의 전공과 적성이 맞다고 생각합니까?: 56%, 전공과 적성 일치하지 않는다고 생각. 6월 7일. 

  11. Andersen, Mark E. 2008. "Taking Business (Librarianship) Public." Journal of Business & Finance Librarianship, 13(3): 311-319. 

  12. Combes, B., Hanisch, J., Carroll, M., and Hughes, H. 2011. "Student voices: Re-conceptualising and re-positioning Australi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education for the twenty-first century." The International Information & Library Review, 43(3): 137-143. 

  13. Cullen, John. 2004. "LIS labour market research: implications for management development." Library Management, 25(3): 138-145. 

  14. Dalton, P., Mynott, G., and Shoolbred, M. 2000. "Barriers to career development within the LIS profession." Library Review, 49(6): 271-277. 

  15. Maatta, Stephanie L. 2011. "tight-competition." [cited 2012.2.17]. . 

  16. Matarazzo, James M. and Clarke, Joshua. 2008. "The Influence of Private and Public Companies on the Special Library Job Market." Information Outlook, 12(4): 10-16. 

  17. Pors, Niels Ole. 1994. "The Changing Labour Market of the Information Professional: Challenges for Library School Education." Librarian Career Development, 2(3): 14-21. 

  18. Simon, Anoush and Taylor, Marianne. 2011. "Career history and motivations for choosing LIS: a case study at Aberystwyth University." Library Review, 60(9): 803-815. 

  19. Warraich, Nosheen Fatima and Ameen, Kanwal. 2010-2011. "Employment and Learning Outcomes of LIS Graduates: A Case of Pakistan." Education for Information, 28(2-4): 315-32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