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공도서관 이용자의 소비자건강정보(CHI)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성과측정연구
The Development and Performance Measurements of Consumer Health Information(CHI) Educational Programs to Improve Health Literacy among Public Library Users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23 no.4, 2012년, pp.391 - 414  

노영희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민들의 건강정보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나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건강정보원을 탐색할 수 있는 이용자의 비율은 매우 낮은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일반 이용자들과 최접점에 있는 공공도서관은 그들의 건강정보활용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공공도서관 이용자들이 건강정보탐색능력과 분석능력, 정보원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판단할 수 있는 능력, 올바른 건강관련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공공도서관 이용자에게 적합한 건강정보활용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현장에 적용함으로써 그 효과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공공도서관 이용자의 CHI관련 용어에 대한 친숙도 증가, 건강관련 정보를 인터넷에서 찾을 수 있는 능력 향상, 건강관련 사이트 및 정보원에 대한 지식 향상 등의 측면에서 유의한 수준의 교육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공공도서관에서 다양한 건강정보원에 대한 세미나를 제공해 주기를 요구한다고 응답하였으며, CHI관련 교육을 공공도서관의 정규교육과정으로 포함할 것을 요구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수행된 국내 최초의 CHI관련 교육프로그램으로서 강사진 구성, 주제의 다양성, 방법론 등에서 한계가 있었다. 향후 보다 다양한 CHI관련 이용자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되어 현장에 적용될 수 있기를 바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espite the growth in public concern about health information, the ratio of users who can search for accurate and reliable health information sources has been found to be quite low. Public libraries, as the best contact point to general users, must provide training programs for improving health lit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정보리터러시란? 건강정보리터러시(건강정보활용능력, Health Information Literacy)는 건강정보가 필요한 때를 인식할 수 있는 능력, 적합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해 정보원이 될 만한 것을 식별하고 그것을 활용할 수 있는 능력, 정보의 질을 평가할 수 있는 능력, 특정 상황에 적절한 정보를 적용할 수 있는 능력, 적합한 건강의사결정을 내리는데 정보를 분석하고,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의 집합이다(MLA Net 2003).
Seniors Connect: A Health Infor-mation Project의 목적은? 칼레이다 의학도서관(Kaleida Health Libraries)은 버팔로․에리카운티 공공 도서관(Buffalo & Erie County Public Library)과 협력하여 그레이터버팔로지역사회재단(Community Foundation for Greater Buffalo)과 칼레이더건강재단(Kaleida Health Foundation)의 후원을 받아 ‘Seniors Connect: A Health Infor-mation Project’를 수행했다. 프로젝트의 목적은 고령의 흑인과 히스패닉 시민에게 질 높고, 정확하며, 이해하기 쉬운 CHI를 인터넷상에서 탐색하는 방법을 교육하는 것이다. 피교육자들은 총 14번의 교육과정을 이수함으로써 부정확하고, 그릇된, 그리고 사기적인 자원으로부터 질 높은 CHI를 구분해 내는 방법을 배웠다.
공공도서관의 CHI관련 이용자 교육의 목적은? 공공도서관의 CHI관련 이용자 교육의 목적은 이용자들의 건강정보활용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건강정보활용능력이 우수한 이용자들은 적절한 CHI 정보원을 수집하고, 이해하며, 올바른 건강관련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노영희. 2011. 국내 공공도서관의 소비자건강정보 제공현황 조사분석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5(2): 415-437. 

  2. 노영희. 2012a. 국내 소비자건강정보 제공기관 및 단체 정보원(소비자건강정보 지식정보원 시리즈(1)). 서울: 조은글터. 

  3. 노영희. 2012b. 국내 소비자건강정보원 웹사이트(소비자건강정보 지식정보원 시리즈(2)). 서울: 조은글터. 

  4. 노영희. 2012c. 해외 소비자건강정보 DB 및 웹사이트(소비자건강정보 지식정보원 시리즈(3)). 서울: 조은글터 

  5. 노영희. 2012d. 해외 소비자건강정보 제공기관 및 단체 정보원(소비자건강정보 지식정보원 시리즈(4)). 서울: 조은글터. 

  6. 헬스포털코리아 [online]. [cited 2012.10.1]. . 

  7. ALA. 1989.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Presidential Committee on Information Literacy [online]. [cited 2012.8.16]. . 

  8. Burnham, E, and EB. Peterson. 2005. "Health information literacy: a library case study." Library Trends, 53(3): 422-433. 

  9. Champ-Blackwell, Siobhan and Weldon, Stephanie. 2005. "Free Online Consumer Health Classes." Journal of Consumer Health On the Internet, 9(3): 37-42. 

  10. Chobot, M. 2004. The challenge of providing consumer health information services in public libraries. Washington, DC: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11. Derring, Mary Jo and John Harris. 1996. "Consumer Health Information Demand and Delivery: Implications for Libraries." Bulletin of the Medical Library Association, 84(2): 209-216. 

  12. Eakin, D., S. J. Jackson, and G.G. Hannigan. 1980. "Consumer Health Information: Libraries as Partners." Bulletin o fthe Medical Library Association, 68(2): 220-229. 

  13. Eysenbach, G., and C. Kohler. 2002. "How Do Consumers Search for and Appraise Health Information on the World Wide Web? Qualitative Study Using Focus Groups, Usability Tests, and In-Depth Interviews." BMJ 324(March 9, 2002): 573-576. 

  14. Helfner, C. 2006. "Brigham and Women's Hospital's consumer health database searching seminar series: the first year." Journal of Consumer Health on the Internet, 10(2): 25-35. 

  15. Kaleida Health Libraries [online]. [cited 2012.10.1]. . 

  16. Kloda, Lorie A. 2008. "Health Information Literacy in Canadian Medical Curricula: An Opportunity for Librarians?" Journal of Hospital Librarianship, 8(3): 314-322. 

  17. Kurtz-Rossi, Sabrina and Patricia Duguay. 2010. "Health Information Literacy Outreach: Improving Health Literacy and Access to Reliable Health Information in Rural Oxford County Maine." Journal of Consumer Health On the Internet, 14(4): 325-340. 

  18. LaValley, Susan. 2009. "Delaware Health Source: Consumer Health Libraries and Health Literacy Outreach." Journal of Consumer Health On the Internet, 13(2): 180-186. 

  19. MLA Net, Medical Library Association Task Force on Health Information. 2003. "Health information literacy definitions." Available from [cited 2011.1.24]. . 

  20. Noh, Younghee. 2013. "A Study Comparing the Differing Perceptions of Public Librarians and Users in Assessing Consumer Health Information." Reference & User Services Quarterly, 52(3): accepted. 

  21. Oh, Sanghee and Younghee Noh. 2013. "Online Health Information in South Korean Public Libraries: Developing Evaluation Criteria."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Available online 31 October 2012, . 

  22. Parker, R, GL. Kreps. 2005. "Library outreach: overcoming health literacy challenges." Journal of the Medical Library Association, 93(4):S81-S85. . 

  23. Pew Internet & American Life Project. 2002. "Vital Decisions: How Internet Users Decide What Information to Trust When They or Their Loved Ones Are Sick." May 22, 2002. Available: [cited 2012.5.6]. . 

  24. Richetelle, A. 2003. "Healthy web sites: teaching consumers to search for quality health information on the Internet." Journal of Consumer Health on the Internet, 7(2): 35-52. 

  25. Schott, M. 2003. "Practicing safe web surfing." Journal of Consumer Health on the Internet, 7(3): 35-40. 

  26. Schwartz, Diane G., Elaine Mosher, Suzanne Wilson, Charlene Lipkus, and Ruth Collins. 2002. "Seniors Connect: A Partnership for Training Between Health Care and Public Libriaries." Medical Reference Services Quarterly, 21(3): 1-19. 

  27. Snyder, Mary, Jeffrey T. Huber, and Deborah Wegmann. 2002. "Education for Consumer Health: A Train the Trainer Collaboration." Health Care on the Internet, 6(4): 49-62. 

  28. Tarver, Talicia. 2010. "Genomics: A New Challenge in Consumer Health Information Literacy." Journal of Hospital Librarianship, 10(1): 23-32. 

  29.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00. "Healthy People 2010: Understanding and Improving Health. 2nd ed. Washington, DC: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Available: . 

  30. Wessel, C, J. Wozar, and B. Epstein. 2003. "The role of the academic medical center library in training public librarians." Journal of the Medical Library Association, 91(3): 352-360. 

  31. Wu, L et al. 2006. "Wiring seniors to quality health information." Journal of Consumer Health on the Internet, 10(2): 11-2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