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서의 가족수발자의 경험
The Experiences of Family Caregivers under the Long-term Care Insurance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3 no.4, 2012년, pp.347 - 357  

김은영 (동아대학교 간호학과) ,  이가언 (동아대학교 간호학과) ,  김삼숙 (동아대학교 간호학과) ,  이춘이 (동아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family caregivers who care for the elderly under Long-term Care Insurance. Methods: Data were collected using focus group interviews and analyzed using a phenomenological approach. The four focus groups consisted of eight caregiver...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발(caregiving)이란 무엇인가? 실제로 노인의 연령이 높을수록 만성질환의 유병률이 높고, 이로 인하여 돌봄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수발(caregiving)이란 일상적인 돌봄의 수준을 넘어서 특별한 돌봄이 지속적으로 요구되는 상황을 일컫는데(Biegel, Sales, & Schulz, 1991), 특히, 치매, 중풍 등 질병의 특성상 장기간 요양을 필요로 하는 노인에게 도움을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가족요양보호사란 무엇인가? 우리나라의 경우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서 제공되는 방문요양서비스의 예외조항으로 가족요양보호사 제도를 두어 가족에 의한 수발서비스를 일부 인정하고 있다. 가족요양보호사란 가족이 요양보호사 자격증을 취득한 후 가족원인 수급 노인에게 방문요양을 실시하고 그에 해당하는 급여를 받는 제도를 말한다(Lee, 2010). 2011년 현재 전체 요양보호사는 13만 명이며, 이중 노인수급자와 가족관계에 있는 요양보호사는 6만 4천여 명으로 전체 요양보호사의 49%에 이르고 있다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NHIC], 2011).
우리나라가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를 도입된 의의는 무엇인가? 이러한 노인수발로 인한 문제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우리나라에서도 2008년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도입되었다. 이는 사회적 연대원리를 적용하여 가족이 가졌던 노인수발의 책임을 사회와 국가가 분담하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보다 앞서 공적 장기요양서비스 제도가 도입된 다른 나라의 경우, 공식적인 서비스가 제공된다 하더라도 노인을 수발하는 주체는 계속 가족이다(Cantor & Brennan, 200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ik, Y. W., & Choi, S. I. (2010). Research about stress of a family caregiver who supports elderly for a long-term care.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49, 215-240. 

  2. Biegel, D., Sales, E., & Schulz, R. (1991). Family caregiving in chronic illness. Newbury Park, London, and New Deli: Sage Publication. 

  3. Burgener, S., & Twigg, P. (2002). Relationships among caregiver factors and quality of life in care recipients with irreversible dementia. Alzheimer Disease Associated Disorders, 16, 88- 102. 

  4. Cantor, M. H., & Brennan, M. (2000). Social care of the elderly: The effects of ethnicity, class, and culture. New York: Springer. 

  5. Chang, W. S. (2009). The study of care-giver's education and management of long-term care insurance.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43, 263-266. 

  6. Colaizzi, P. F. (1978).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omenologist views it, in R. S. Valle, and M. King (Eds), Existentialphenomenological alternatives for psycholog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7. Guba, E. G., & Lincoln, Y. S. (1981). Effective evaluation: Improving the usefulness of evaluation results through responsive and naturalistic approach. San Francisco, CA: Jossey- Bass. 

  8. Jeong, H. J. (2010). Phenomenological study of the spousal caregiving experience for the patients with early dementia:Colaizzi's method of phenomenological interpret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9. Joo, K. B., & Kim, K. B. (2008). A study of care burden, burnout, and quality of life among family caregivers for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Womens Health Nursing, 14, 278-289. 

  10. Jung, H. J. (2010).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xperience of family caregivers of long-term bed ridden elderly pati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Busan. 

  11. Jung, Y. I. (2011, October).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care-helper management system is therefore mandatory. Weekly Kunghyang, 945. 

  12. Kim, C. J., & Hong, S. D. (2007). A study on the reforms of longterm care system in OECD countries-focusing on the institutionalization of rewards and supports for informal care.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35, 231-251. 

  13. Kim, J. E. (2011, June 14). The certified family care-helper salary reduction debate. Hankookilbo, 23. 

  14. Kim, S. J., Oh, S. E., Eun, Y., Son, H. M., & Lee, M. S. (2007). Focus groups as qualitative research. Seoul: Goonja. 

  15. Kim, S. Y., & Lee, S. H. (1998). A study on the lived experiences of the family caregivers in senile dementi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0, 492-505. 

  16. Kong, E. H., Cho, E., & Song, M. (2009). The burden and caregiving satisfaction of primary family caregivers of older adults with dementia: Cultural and non-cultural predictor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9, 701-716. 

  17. Lee, G. E. (2002). A grounded theory approach to the adjustment process of the institutionalized elderly: The control of reluctan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2, 624-632. 

  18. Lee, J. S., Han, E. J., & Kang, I. O. (2011). The characteristics and service utilization of home care beneficiaries under the Korean long term care insuran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2, 33-44. 

  19. Lee, K. S. (1996). A study on the family's caregiving experience in the dementi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5, 50-58. 

  20. Lee, M. J. (2008). The status and problems educating caregiver in Korea.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2, 69-74. 

  21. Lee, Y. J., Kim, J. H., & Kim, K. B. (2010). An ethnography on stigma of families having old people admitted to nursing home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0, 1005-1020. 

  22. Lee, Y. K. (2010). Development of reward system for family carer in elderly long-term care insurance.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165, 96-104. 

  23. Lim, S. O. (2010). A study on the main issues and problems of long-term care insurance in Korea: Focusing on the classification system. Social Welfare Policy, 37, 245-266. 

  24. Morse, J. M., Barrett, M., Mayan, M., Olson, K., & Spiers, J. (2002). Verification strategies for establishing reliability and validity in qualitative research. International Journal of Qualitative Methods, 1 (2), 13-21. 

  25.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1). Guidance on changes to the system of the family care-hepler. Seoul: Author. 

  26. Sandelowski, M. (1986). The problem of rigor in qualitative research. Advances in Nursing Science, 8 (3), 27-37. 

  27. Sanders, C. (2003). Application of Colaizzi's method: Interpretation of an auditable decision trail by a novice researcher. Contemporary Nurse, 14, 292-302. 

  28. Shin, K. L., Jang, Y. J., Kim, Y. K., Lee, G. J., Choi, M. M., Kim, H. Y., et al. (2004). Qualitative research: Focus groups. Seoul: Hyunmoonsa. 

  29. Valimaki, T. H., Vehvilainen-Julkunen, K. M., Pietila, A. M., & Pirttila, T. A. (2009). Caregiver depression is associated with a low sense of coherence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ging and Mental Health, 13, 799-807. 

  30. Yun, T. (2011). A study on development of home-based service under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elderly.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