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김치섭취 수준에 따른 식습관, 식품섭취실태 및 혈중지질 농도에 관한 연구
Comparative Study on Dietary habits, Food Intakes, and Serum Lipid Levels according to Kimchi Consumption in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1 no.3, 2012년, pp.351 - 361  

이세영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및 김치연구소) ,  송영옥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및 김치연구소) ,  한응수 (세계김치연구소) ,  한지숙 (세계김치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남자대학생 30명, 여자대학생 70명으로 총 100명을 대상으로 하여 김치섭취량에 따른 신체계측 식습관 식품섭취실태 및 혈중지질 농도와의 관련성에 대해 비교 분석하였다. 김치섭취빈도조사지를 이용하여 조사대상자를 김치섭취량이 50 g 미만인 군과 50 g 이상인 군으로 나누었다. 조사대상자들의 신체계측 및 생화학적 검사에서는 김치섭취량이 50 g 이상인 군이 50 g 미만인 군보다 체지방량, BMI 및 혈압이 낮게 측정되고 HDL-콜레스테롤은 높게 측정되었지만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 남 여학생 모두 김치섭취량이 50 g 이상인 군이 50 g 미만인 군보다 소변으로 배설되는 나트륨량이 유의적으로 많았다. 식습관을 살펴 본 결과 김치섭취량이 50 g 이상인 군의 경우 남학생에 있어 '균형잡힌 식사를 합니까?'(p<0.05), '김치를 제외한 채소류를 매일 먹습니까?'(p<0.05)의 항목에 대한 점수가 50 g 미만인 군보다 높았다. 반면에 '우유를 매일 먹습니까?'에 대한 항목에 대해서는 남 여학생 모두 50 g 미만인 군보다 점수가 낮았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식품섭취빈도에서는 김치섭취량이 많을수록 남학생은 쌀(p<0.05)의 섭취가, 여학생은 라면(p<0.01)의 섭취빈도가 높은데 반하여, 우유 및 유제품의 섭취빈도는 남 여학생 모두 낮았다. 조사대상자의 영양소섭취량을 살펴본 결과 성별에 관계없이 김치섭취량이 50g 이상인 군이 50 g 미만인 군보다 일일 에너지섭취량이 높았으며, 탄수화물 및 식이섬유소 섭취량도 높았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김치섭취량과 신체계측, 혈액검사, 식품섭취빈도, 식습관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김치섭취량이 많을수록 HDL-콜레스테롤이 증가하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체지방 및 BMI, 혈당은 감소하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혈중지질농도와 관련된 총 콜레스테롤 및 HDL-콜레스테롤은 남 여학생 모두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중성지방은 남학생의 경우 양의 상관관계를, 여학생의 경우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김치섭취량과 쌀 및 채소류의 섭취빈도는 남학생(p<0.05)과 여학생 모두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지만, 우유 및 유제품에서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유의성은 없었다. 본 연구는 건강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단면연구이기에 김치섭취량과 혈중지질농도, 신체계측치와의 관계를 밝히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앞으로 연구대상자의 범위를 성인으로 확대한 종단적 연구를 통하여 김치 섭취량과 건강요인과의 관계를 규명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dietary habits, food consumption patterns, nutrient intakes, and serum lipid levels according to kimchi consumption in college students. The anthropometric and biochemical parameters of blood samples from the subjects were investigated, as we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강한 남․여 대학생을 대상으로 김치섭취실태를 파악하여 이들의 김치섭취수준에 따른 신체계측, 식습관, 식품섭취 실태 및 혈중 지질농도를 조사하고 이들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Seymour M, Hoerr SL, Huang Y. 1997. Inappropriate dieting behaviors and related lifestyle factors in young adults: Are college students different? J Nutr Education 29: 21-26. 

  2. Lee MS, Woo MK. 1999. Changes in food habit, nutrition knowledge and nutrition attitude of university students during nutrition course. Korean J Community Nutr 10: 189-195. 

  3. Cheong SH, Na YJ, Lee EH, Chang KJ. 2007. Anthropometric measurement, dietary behaviors, health-related behaviors and nutrient intake according to lifestyles of college stud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560-1570. 

  4. Lee KJ, Byun SY. 1992. A study on the status of using university cafeteria and preference of food in Incheon. J East of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2: 57-68. 

  5. Lee YN, Lee JS, Ko YM, Woo JS, Kim BH, Choi HM. 1996. Study on the food habits of college students by residences. Korean J Community Nutr 1: 189-200. 

  6. Mongen KJ, Zabik ME, Leveille GA. 1981. The role of breakfast on nutrient intake of 5 to 12 years old children. AM J Clin Nutr 34: 1418-1427. 

  7. Hwang SH, Kim JI, Sung CJ. 1996. Assessment of dietary fiber intake in Korean college students. J Korean Soc Food Nutr 25: 205-213. 

  8. Jo JS. 1997. Dietary life and nutrition problems of Korean. J Study of Woman and Family Life 2: 103-146. 

  9. Hwang HS. 1991. An survey of dietary life and nutrition status in Mokpo National University. J Korean Soc Food Nutr 20: 65-71. 

  10. Shin MK, Seo ES. 1995. A study on the food habit and food preference of college students in Ik-San area. J Kor Home Econ 33: 89-105. 

  11. Kim YJ. 1976. The food choices and dietary preferences of college women. Kor J Nutr 9: 35-45. 

  12. Park KY, Cho EJ, Lee SH. 1998. Increased antimutagenic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Chinese cabbage kimchi by changing kinds and levels of sub-ingredient.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625-632. 

  13. Lee CH, Ahn BS. 1995. Literature review on kimchi, Korean fermented vegetable foods: 1. History of kimchi making. Korean J Dietary Culture 10: 311-319. 

  14. No HK, Lee SH, Kim SD. 1995. Effects of ingredients on fermentation of chinese cabbage kimchi. J Korean Soc Food Nutr 24: 642-650. 

  15. Han JS, Rhee SH, Lee KI, Park KY. 1995. Standardizations of traditional special kimchi in Kyungsang province. J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5: 27-38. 

  16. Ji HJ, Park SI. 2009. A survey on preference and intake of kimchi for elementary school meal service. Korean J Culinary Research 15: 56-72. 

  17. Noh JM. 2004. A survey on the dietary life for kimchi of housewives in Wonju area.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4: 319-337. 

  18. Park ES, Lee KH. 2000. The intake, preference, and utilization of kimchi in female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 Commu Nutr 5: 598-607. 

  19. Koo NS, Kim JH. 1998. Kimchi preference and intake pattern of college students in Taejon. J 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7: 139-148. 

  20. Kim EH, Kim SR. 1998. A survey on the notion and intake of kimchi among college women. Korean J Food & Nutr 11: 513-520. 

  21. National Rural Living Science Institute. 1995. Report on research and survey of rural living. 

  22. Yao T, Sato M, Kobaashi Y, Wasa T. 1985. Amperometic assays of total and free cholesterol in serum by the combined use of immobilized cholesterol esterases and cholesterol oxidant reactors and peroxidase electrode in a flow injection system. Anal Biochem 149: 387-399. 

  23. Friedwald WT, Levy RI, Fredricson DS. 1972. Estimation of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plasma, without use of the preparative ultracentrifuge. Clin Chem 18: 499-502. 

  2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9. Report on 2008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dietary intake survey). 

  25. The Expert Panel. 1988. Report of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cholesterol in adults. Arch Intern Med 148: 36-47. 

  26. Song YO, Kwon MJ, Song YS. 1997. Effects of kimchi on tissue and fecal lipid composition and apolipoprotein and thyroxine levels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rt 26: 507-513. 

  27. Min HG, Kim YJ, Yang AJ, Kim YJ, Choi SH, Lee SY. 2004. The effects of dietary kimchi intake on plasma lipid concentration in healthy adult. Korean J Health Promot Dis Prev 4: 249-255. 

  28. Seo JS. 2005. The status of nutrient intake and factors related to dislike of vegetable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J Commu Nutr 10: 151-162. 

  29. Ko MS. 2007. The comparison in daily intake of nutrients and dietary habits of college students in Busan. Korean J Commu Nutr 12: 259-271. 

  30. Bang HO, Derberg J, Sinclair HM. 1980. The composition of the Eskimo food in North western Greenland. Am J Clin Nutr 33: 2657-2661. 

  31. Singh G, Chandra RK. 1988. Biochemical and cellular effects of fish and fish oils. Prog Food Nutr Sci 24: 371-419. 

  32. Chung EJ, Shim EG. 2006. Salt-related dietary behaviors and sodium intakes of university students in Gyeonggi-do.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578-588. 

  33. Chung EJ, Shim EG. 2006. Salt-related dietary behaviors and sodium intakes of university students in Gyeonggi-do.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578-588. 

  34. Heaney RP, Recker RR, Saville PD. 1977. Calcium balance and calcium requirements in middle-aged women. Am J Clin Nutr 30: 1603-1611. 

  35. Park KY. 1995. The nutritional evaluation, and antimutagenic and anticancer effects of kimchi. J Korean Soc Food Nutr 24: 169-182. 

  36. Son SM, Huh GY. 2002. Salt intake and nutritional problem in Korean. Kor J Comm Nutr 7: 381-390. 

  37. Lee JS, Kim JS, Hong KH, Jand YA, Park SH, Sohn YA, Chung HR. 2009. A comparison of food and nutrient intakes between instant noodle consumers and non-consumers among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Korean J Nutr 42: 723-731. 

  38. Anderson JW, Carrity TF, Wood CL, Whitis SE, Smith BM, Oeltgen PR. 1992. Prospective, randomized, controlled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low-fat and low-fat plus high-fiber diets on serum lipid concentrations. Am J Clin Nutr 56: 887-894. 

  39. Hunninghake DB, Miller VT, Larosa JC, Kinosian B, Brown V, Howard WJ, Diserio FJ, O'Connor RR. 1994. Hypocholesterolemic effects of a dietary fiber supplement. Am J Clin Nutr 59: 1050-105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