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온라인수업에서 학습도구와 학습성취, 학습만족간의 관계연구
Relationship among the Learning Instrument, Learning Achieve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Online Clas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2 no.3, 2012년, pp.487 - 497  

심선경 (서울사이버대학교 복지시설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수업의 학습도구 개발을 통해 학습성취와 학습만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사이버대학의 온라인 학습자가 사용하는 강의, 과제, 온라인 상호작용 도구 그리고 오프라인의 상호 작용등의 학습도구와 학습성취, 학습만족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사이버대학교에서 인간복지학부 수강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수집된 자료(226명)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과제와 오프라인의 상호작용 도구가 학습성취와 학습만족에 긍정적 영향을 보였고, 강의는 학습 만족에만 유의미한 영향을 보였으며, 온라인 상호작용 도구는 학습성취와 만족 모두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리고 과제와 오프라인 상호작용도구가 학습성취를 매개로 학습만족에 영향을 보였으며, 학습성취는 학습만족에 직접적 영향을 나타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crease the level of learning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by developing of on-line learning instruments.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learning instrumments(lecture, homeworks, on-line interaction and off-line interaction), learning achievem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래서 본 연구는 온라인 수업에서 사용되고 있는 교안을 포함한 동영상강와 시험, 레포트 등 과제의 구조화된 학습도구, 그리고 게시판 등의 온라인 상호작용을 목적으로 하는 학습도구, 멘토모임와 스터디 모임 등의 오프라인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학습도구 등의 4가지 학습도구가 학업성취와 학습만족에 효과적인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해 보고자 한다.
  • 또한 선행연구들에서 학업성과는 학습성취와 성적, 그리고 학습만족 등으로 측정되었는데, 각각을 종속변수로 하여 분석하거나[1][2], 협동학습, 학습도구의 효과를 빈도분석이나 t-test 등 기술분석[3][13]등을 통해 살펴보았다. 그러나 학습만족은 학습성취 결과에 따른 인지적 평가로[15] 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사이버대학에서 주로 사용되는 학습도구가 학습성취를 매개로 학습만족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해 보고자한다.
  • 본 연구는 온라인 수업에 학습성취와 만족을 높이는 학습도구를 검증하고 이를 기반으로 효과적인 학습도구의 개발과 학습환경 조성을 위한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 대학의 온라인 수업에서 활용되고 있는 다양한 학습도구가 학업성취와 학습만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수업에서의 학습성취와 만족을 높이기 위한 학습도구 개발을 통한 효과적인 학습환경을 조성하는데 시사점을 주기 위한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효과적인 학습을 위한 교수개발 관련 연구들에서는 어떤 전략이 제시되고 있는가? 효과적인 학습을 위한 교수개발 관련 연구들[3][13][14]에서는 수업내용과 참여방식 등에 대해 교수자가 계획하고 구조화하는 전략, 교수자와 학생간, 학생들간 자유로운 의사소통을 통한 상호작용을 높히는 전략 그리고 온라인 학습이 가지는 단절로 인한 학습동기 저하를 막기 위한 오프라인의 상호작용을 높히는 전략등이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전략들은 수업목적에 따라 통합적으로 활용될 수 있고, 이것은 학습도구를 통해 구현된다.
온라인 수업에 학습성취와 만족을 높이는 학습도구를 활용정도가 높은 순으로 나열하면? 분석결과 학습자들은 학습도구 중에서 강의와 과제, 온라인 상호작용, 오프라인 상호작용 순으로 활용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이버대학의 온라인수업에서 활용되고 있는 구조화된 학습도구는 어떤 것이 있는가? 사이버대학의 온라인수업에서 활용되고 있는 구조화된 학습도구는 동영상강의, 시험, 과제 등이며, 상호작용을 높이기 위한 학습도구는 토론, 게시판 등이다. 그리고 최근에는 학생들의 학습동기와 학습성취를 높이기 위해 특강이나 멘토, 스터디 모임등 오프라인에서의 상호작용을 촉진하기 위해 학교 차원에서 지원[12]하고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강민석, 김진일, 박인우, "사이버대학 e-러닝환경에서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참여 변인규명", 한국인터넷 정보학회, 제10권, 제5호, pp.135-143, 2009. 

  2. 권금주, "자기조절학습 전략이 학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e-learning 사회복지교과목을 중심으로", Journal of the Korean Date Analysis Society, 제12권, 제3호, pp.1717-1728, 2010. 

  3. 권호천, "온라인학습자 상호작용과 학업성취도의 관계: 사이버대학 수업 질문답변 게시판을 중심 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제26권, 제2호, pp.5-37, 2009. 

  4. 김경숙, 인터넷 학습자료의 제시 유형과 자기규제 학습수준이 프로그래밍 언어학습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8. 

  5. 김병철, 류근호, "e-learning의 학습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인에 관한 연구",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5권, 제2호, pp.53-60, 2005. 

  6. 김원경, 황성현, 곽승우, "사이버대학에서 교수자 -학습자, 학습자-학습자간 상호작용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12권, 제1호, pp.23-46, 2006. 

  7. 김주환, 김민규, 홍세희,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논문쓰기, 커뮤니케이션북스, 2009. 

  8. 박광순, "이러닝 이용동기와 이용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제19권, pp.5-40, 2006. 

  9. 송주영, "학습자의 학습양식이 웹기반 혼합교육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 학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호, pp.469-478, 2010. 

  10. 안성훈, 정영식, "유러닝 효과성의 일반화 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7호, pp.379-389, 2009. 

  11. 윤현상, 김삼곤, "협동학습이 학습자의 자기조절 학습능력, 학업성취도, 자아존중감 및 협동심에 미치는 영향", 수산해양교육연구, 제 13권, 제2호, pp.194-211, 2001. 

  12. 이진희, "e-learning에서의 커뮤니티 활성화와 학습참여도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춘계종합학습대회 논문집, 제4권, 제1호, pp.39-42, 2006. 

  13. 이혜정, "온라인 원격학습환경에서 수업설계와 운영방식이 성적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농업교육학회지", 제36권, 제1호, pp.169-180, 2004. 

  14. 이혜정, 김태현, "e-learning 콘텐츠 제시 유형이 학습결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추계종합학술대회, pp.727-732, 2007. 

  15. 임연옥, 노인복지관의 고객충성도에 관한 연구: 고객만족, 서비스품질, 관계헤택의 관계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박사학위논문, 2008. 

  16. 차대운, 문용은, 윤중현, 김유리, "브랜디드러닝의 학습참여도와 성취도에 관한 실험현구", 경영교육논총, 제38권, pp.3-18, 2005. 

  17. 최성희, 정인성, "온라인 열린 원격교육의 효과 요인분석", 교육학연구, 제37권, 제1호, pp.369-38, 1999. 

  18. 황성현, "사이버대학에서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요인분석", 한국행정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p.116-140, 2003. 

  19. 허균, "브랜디드 러닝 환경에서 수업만족 영향요인의 구조적 모델연구", 한국인터넷정보학회, 제 10권, 제1호, pp.135-143, 2008. 

  20. 홍세희, 구조방정식모형의 이론과 응용, 2007 고급연구방법론 워크샵 시리즈 1,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 2007. 

  21. M. G. Moore, Transactional distance theory. In D.Keegan(ed.), Theoretical principles of distance education, New York: Routledge, 2007. 

  22. R. E. Slavin, "Research on cooperative learning & achievement: What we know, whatwe need to know,"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Vol.21, pp.43-69, 1996. 

  23. B. J. Zimmerman and M. Martinez- Pons, "Development of a structured interview for assessing student use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Vol.23, No.4, pp.614-628, 198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