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디지털 테크놀로지발전에 따른 디즈니 장편 드로잉 애니메이션 연구
A Study on Disney Feature-length Drawn Animation Since Using Digital Technology 원문보기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no.26, 2012년, pp.57 - 78  

박재윤 (상명대학교 대학원 게임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확산은 디즈니의 드로잉 애니메이션 제작방식을 아날로그방식에서 디지털방식으로 근본적으로 변화시켰다. 이러한 변화로 인하여 복제나 변형, 혼합이 용이한 디지털 매체의 특성이 디즈니 드로잉 애니메이션에 이식되었고, 결과적으로 드로잉 애니메이션의 표현영역을 확장시키며 디즈니 애니메이션의 전체적인 질을 향상 시키는데 기여하였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전반적인 장편 애니메이션 시장이 3D 컴퓨터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재편되면서 디즈니 장편 드로잉 애니메이션 제작을 크게 위축시키는 결과를 가져오기도 했다. 현재 디즈니 드로잉 애니메이션은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과도기적인 수용단계를 지나 드로잉 애니메이션 특유의 따뜻한 감성과 풍부한 표현력을 컴퓨터 그래픽 기술을 이용하여 표현하고, 확장시키며 새로운 가능성을 실험해보고 있는 단계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디지털 테크놀로지를 사용하되, 테크놀로지 종속적인 관계에서 벗어나 드로잉 애니메이션 특유의 미학적 가치를 발전시키고 강화하는 것이 오늘날 디즈니 드로잉 애니메이션이 추구하고자 하는 방향일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article deals with the change of disney feature-length drawn animation since using digital technology. The spread of digital technology in the territory of traditional animation brought a massive transformation. Analogue production system for disney drawn animation was gradually replaced by di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Ⅳ장에서는 디즈니와 픽사(Pixar)의 합병 이후 재등장한 디즈니 장편 드로잉 애니메이션 (Princess and the Frog, 2009)를 중심으로 전통으로의 회귀를 선언한 디즈니 드로잉 애니메이션이 추구하는 미학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우선 디즈니 드로잉 애니메이션이 현재 처해있는 상황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볼 것이다. 다음으로는 처음 CG가 도입된 초기실험 단계부터 드로잉 애니메이션 제작이 잠정 중단된 시점까지 디즈니 드로잉 애니메이션에 디지털 테크놀로지가 적용되면서 어떤 변화를 겪게 되었는지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Ⅳ장에서는 디즈니와 픽사(Pixar)의 합병 이후 재등장한 디즈니 장편 드로잉 애니메이션 <공주와 개구리>(Princess and the Frog, 2009)를 중심으로 전통으로의 회귀를 선언한 디즈니 드로잉 애니메이션이 추구하는 미학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인 디즈니의 장편 애니메이션 작품들을 중심으로 전통적인 드로잉 애니메이션이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도입에 따라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20세기 후반부터 지금까지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컴퓨터 그래픽 기술은 디즈니의 드로잉 애니메이션 제작방식을 아날로그방식에서 디지털방식으로 근본적으로 변화시켰다.
  • 본 논문에서는 우선 디즈니 드로잉 애니메이션이 현재 처해있는 상황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볼 것이다. 다음으로는 처음 CG가 도입된 초기실험 단계부터 드로잉 애니메이션 제작이 잠정 중단된 시점까지 디즈니 드로잉 애니메이션에 디지털 테크놀로지가 적용되면서 어떤 변화를 겪게 되었는지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 이와 같은 배경 하에 본 연구에서는 디즈니 장편 드로잉 애니메이션이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발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고, 그 미학적 스타일을 변화시켜왔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디즈니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이며 셀을 이용한 드로잉 애니메이션 형식을 정착, 발달시킨 주체라고 할 수 있다.

가설 설정

  • 이후 딥 캔버스 프로그램은 <보물섬>(Treasure Planet, 2002)과 <브라더 베어>(Brother Bear, 2003)같은 작품에서도 꾸준히 사용되었다.19) CG 배경은 위에 언급된 장면 이외에도 많은 장면에서 참조되고 사용되며 디즈니 애니메이션을 더욱 심도 있고, 입체적으로 생동감 넘치게 만드는데 기여하게 된다.
  • 디즈니도 3D 컴퓨터 애니메이션 도입에 더욱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며 <아틀란티스> 나 <보물섬> 같은 작품에서 드로잉 애니메이션과 3D 컴퓨터 애니메이션의 통합을 시도한다.25) 이러한 시도가 이전의 작품들과 차별화되는 점은 이전의 디즈니 드로잉 애니메이션에 사용된 3D 컴퓨터 애니메이션이 최대한 가시적으로 드러나지 않게 사용되어 왔다면, 이들 작품에서는 오히려 3D CG의 시각적 특징을 드러내면서 드로잉 이미지와 3D CG 이미지가 혼합되어 공존하는 하이브리드(hybrid) 애니메이션임을 전면에 내세운다는 점일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하이브리드 애니메이션들은 관객들의 흥미를 끄는 데 실패하게 되고, 미학적인 완성도 면에서도 부정적인 평가를 받으면서 이후 디즈니 장편 드로잉 애니메이션 제작부서 폐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디즈니 최초의 3D CG 캐릭터는 무엇인가? 디즈니 최초의 3D CG 캐릭터는 <알라딘>에 등장하는 마법의 양탄자라고 할 수 있다. 이 마법의 양탄자는 드로잉 애니메이션을 그린 후, 이것을 밑그림 삼아 3D CG 양탄자 모델을 똑같이 움직이게 애니메이션 하는 특별한 방법으로 제작 되었다.
80년대 초부터 디즈니사에서 CG 테크놀로지를 작품에 도입하고자 한 결과로 어떠한 작품을 발표하였는가? 컴퓨터 그래픽 기술이 영화에 도입되기 시작한 80년대 초부터 디즈니사는 CG 테크놀로지를 작품에 도입하려고 시도해 왔다. 그 결과 1982년 컴퓨터 그래픽과 애니메이션 역사의 중요한 이정표가 되는 작품인 <트론>(Tron)을 발표하게 된다. <트론>은 주인공인 게임디자이너가 자신의 게임 속으로 빨려 들어가 게임플레이를 하게 된다는 내용을 바탕으로, 실사영상에 3D 컴퓨터 애니메이션을 합성한 장면이 20여분 가량 삽입된 장편영화다.
CAPS이란? 디지털 테크놀로지에 의해 디즈니 장편 애니메이션이 변화되는 결정적인 계기를 제공한 것은 CAPS(Computer Animation Production System) 의 도입이었다. 디즈니와 픽사에 의해 공동 개발된 CAPS는 기존의 전통적인 아날로그 셀 애니메이션 제작방식을 디지털로 대체하여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컴퓨터 애니메이션 제작 시스템으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카메라 시스템, 컴퓨터, 스캐너, 서버, 네트워크 등으로 이루어진 총체적인 애니메이션 제작 시스템을 일컫는다.13) CAPS에서는 연필로 그린 이미지들이 셀 위로 옮겨지는 대신에 컴퓨터로 입력되며, 디지털화된 이미지는 컴퓨터상에서 복사, 채색, 편집, 합성, 수정 되고 카메라의 움직임 또한 컴퓨터 안에서 생성되고 제어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김준양, 애니메이션, 이미지의 연금술, 한나래, 2001. 

  2. 넬슨 신, 한창완, 애니메이션 용어사전, 한울, 2002. 

  3. 데이비드 A. 프라이스, 이경식 역, 픽사 이야기, 흐름출판, 2010. 

  4. 리처드 월리엄스, 한창완, 조영은, 이영일 역, 애니메이터 서바이벌킷, 한울, 2003. 

  5. 제레미 번, 오영관 역, 디지털 라이팅 & 렌더링, 성안당, 2008. 

  6. 영화관 입장권 통합 전산망. http://www.kobis.or.kr/kobis/business/main/main.do 

  7. Correa, Wagner Toledo, et al., "Texture mapping for cel animation", In Proceedings of the 25th annual conference on computer graphics and interactive techniques (SIGGRAPH '98), ACM, New York, NY, USA, 1998. http://doi.acm.org/10.1145/280814.280949 

  8. Jones, Angie & Jamie Oliff, Thinking animation: Bridging the gap between 2D and CG, Course Technology PTR, 2006. 

  9. Kerlow, Isaac V., The art of 3D computer animation and effects, 4th ed, John Wiley & Sons, Inc, 2009. 

  10. Kurtti, Jeff, The art of Princess and the Frog, Chronicle Books, 2009. 

  11. O'Hailey, Tina, Hybrid animation integrating 2D and 3D assets, Focal Press, 2010. 

  12. Wells, Paul, Animation: Genre and authorship, Wallflower Press, 2002. 

  13. Wells, Paul, Johnny Hardstaff & Darryl Clifton, Re-imagining animation: The changing face of the moving image, Ava Publishing, 2008. 

  14. Robertson, Barbara , "The tradition lives on", CGW, Vol.33, Issue 1(Jan. 2010), http://www.cgw.com/Publications/CGW/2010/Volume-33-Issue-1-Jan-2010-/The-Tradition-Lives-On.aspx 

  15. Corliss, Richard, "The top 10 everything of 2009: Top 10 movies-1. The Princess and the Frog", Time, Dec. 08, 2009. http://www.time.com/time/specials/packages/article/0,28804,1945379_1943915_1943917,00.html 

  16. Desowitz, Bill, "How to hook up your animated short at Disney", AWN News, Nov. 16, 2007. http://www.awn.com/articles/production/how-hook-your-anim ated -short-disney/page/1%2C1 

  17. Desowitz, Bill, "Lasseter talks princess and the frog and 2D", AWN News, Nov. 25, 2009. http://www.awn.com/news/films/lassetertalks-princess-and-frog-and-2d 

  18. Noyer, Jeremie, "The Princess and the Frog's directors John Musker and Ron Clements take us to 'the other side' of animation!", Animated Views, June 1, 2010. http://animatedviews.com/2010/the-princess-and-the-frog-directors-john-musker-and-ron-clements-take-us-to-the-other-side-of-animation/ 

  19. : Summary, Box office Mojo. http://boxoffice mojo.com/movies/?idprincessandthefrog.htm 

  20. Reynolds, Craig, "Stylized depiction in computer graphics: Non-photorealistic, painterly and toon rendering". http://www.red3d.com/cwr/npr/#books 

  21. The Princess and the Frog: Return to hand drawn animation, AWNtv, 2009, http://www.awntv.com/videos/the-princess-and-the-frog-featurette , 2004. 

  22. , 200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