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각차단 균형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Balance Training with Visual Cue Deprivation on Gait Function in Patients with Stroke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7 no.4, 2012년, pp.411 - 421  

문성준 (전북대병원 재활의학과) ,  김용욱 (전주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김태호 (대구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alance rehabilitation training with the visual cue deprivation on gait function in stroke patients in comparison with balance training without the visual cue deprivation. METHODS: Twenty two stroke patients participated in this st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과도한 시각 의존은 고유수용성 체성감각과 전정감각, 시각자극의 통합을 교란하여 보행기능을 저하 시킬 수 있기 때문에 시각을 차단한 상태에서의 균형훈련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고유수용성 체성감각과 전정감각 사용을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시각 차단 균형훈련이 보행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 Yelink 등(2008)은 시각 차단 균형훈련과 시각 허용 균형 훈련이 균형과 보행능력의 양적인 변수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본 결과 삶의 질, Functional Independent Measure(FIM), 양하지 지지기 백분율, Berg balance scale(BBS), 계단 오르기, 일상생활에서의 보행 변수들에서 두 집단 모두 증진 되었지만, 삶의 질과 FIM에서만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여 향후 시각 차단 균형훈련이 보행속도의 변화와 같은 동적 측정 변수들과 질적인 보행기능 변수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6개월 이상의 만성 뇌졸중 환자들을 대상으로 시각 차단과 시각 허용 균형 훈련을 실시하여 FGA, CGS, MGS의 일반적 보행 변수들과 GAS의 시 공간적 보행 변수들을 통해 보행기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 FGA, CGS, GAS의 보행속도, 및 마비측 보장 시간, 비마비측 보장, 비마비측 활보장, FAP에서 두 집단 간 유의하게 시각 차단 훈련 군이 긍정적인 보행의 질적 향상을 보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 이후 편마비 환자의 보행 장애를 회복시키는 훈련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최근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보행 장애를 회복시키는 훈련에는 신경발달 접근, 트레드밀과 움직임 판(moving plate)을 이용한 체중지지, 특정 과제, 시각적 되먹임, 시각적 정보 차단 등이 알려져 있다(Barclay-Goddard 등, 2004; Duncan 등, 2011; Smania 등, 2008; Srivastava 등, 2009; Van Peppen 등, 2006). 그 중에 가장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신경 촉진 기술(neurofascilitation techniques)과 보바스 개념(bobath concept)의 접근 방법은 신경생리학적 성숙에 기초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서있을 때 균형의 회복을 목표로 하기 보다는 정상 근 긴장도의 회복을 통한 반사억제 기술로 병적 움직임 패턴을 수정하는 치료로 알려져 있다(Bonan 등, 2004b).
편마비 환자들의 낙상 위험을 높이는 요소들은 무엇인가? 편마비 환자들은 균형 장애로 인해 낙상의 위험도가 높으며, 재활기간이 길고, 일상으로의 복귀도 늦어진다(Perennou 등, 2005; Teasell 등, 2002; Tutuarima 등, 1997). 편마비 환자들의 낙상 위험을 높이는 요소들은 정신장애(mental disorders), 요실금(urinary incontinence), 운동손상(motor impairment), 시 공간 무시(visuospatial neglect), 자세불안정(postural instability) 등 이다(Nyberg와 Gustafson, 1997; Tutuarima 등, 1997). 낙상은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는데 가장 주요한 합병증은 낙상에 대한 두려움으로 인한 정신장애와 활동의 제한이다.
낙상이 초래할 수 있는 심각한 합병증은 무엇인가? 편마비 환자들의 낙상 위험을 높이는 요소들은 정신장애(mental disorders), 요실금(urinary incontinence), 운동손상(motor impairment), 시 공간 무시(visuospatial neglect), 자세불안정(postural instability) 등 이다(Nyberg와 Gustafson, 1997; Tutuarima 등, 1997). 낙상은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는데 가장 주요한 합병증은 낙상에 대한 두려움으로 인한 정신장애와 활동의 제한이다. 이로 인해 스스로 할 수 있는 일이 제한되고, 보호자의 도움에 의존하여 삶의 질이 저하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Barclay-Goddard R, Stevenson T, Poluha W et al. Force platform feedback for standing balance training after stroke.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04;18(4):CD004129. 

  2. Bilney B, Morris M & Webster K. Concurrent related validity of the GAITRite walkway system for quantification of the spatial and temporal parameters of gait. Gait Posture. 2003;17(1):68-74. 

  3. Bonan IV, Colle FM, Guichard JP et al. Reliance on visual information after stroke part I: Balance on dynamic posturography. Arch Phys Med Rehabil. 2004a;85(2):268-73. 

  4. Bonan IV, Yelnik AP, Colle FM et al. Reliance on visual information after stroke part II: Effectiveness of a balance rehabilitation program with visual cue deprivation after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2004b;85(2):274-8. 

  5. Cho MS & Lee DY. The effect of standing balance and ambula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using bio-feedback training with weight bearing in the less than 3 months and more than 6 months groups hemiparesis patient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tation Science. 2007;46(3):123-42. 

  6. Dean CM, Richards CL & Maloun F. Task-related circuit training improves performance of locomotor tasks in chronic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2000;81(4):409-17. 

  7. Duncan PW, Sullivan KJ, Behrman AL et al. Bodyweight-supported treadmill rehabilitation after stroke. N Engl J Med. 2011;364(21):2026-36. 

  8. Hallemans A, Beccu S, Van Loock K et al. Visual deprivation leads to gait adaptation that are age-and contextspecific: I. Step-time parameters. Gait Posture. 2009;30(1):55-9. 

  9. Heller F, Beuret-Blanquart F & Weber J. Postural biofeedback and locomotion reeducation in stroke patients. Ann Readapt Med Phys. 2005;48(4):187-95. 

  10. Horak FB. Clinical assessment of balance disorders. Gait Posture. 1997;6(1):76-84. 

  11. Hsu AL, Tang PF & Jan MH. Analysis of impairments influencing gait velocity and asymmetry of hemiplegic patients after mild to moderate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2003;84(8):1185-93. 

  12. Hunt SM, Mckenna SP & Williams J. Reliability of a population survey tool for measuring perceived health problems: a study of patients with osteoarthrosis. J Epidemiol Community Health. 1981;35(4):297-300. 

  13. Kook JS. The Effect of balance with visual cue deprivation and visual feedback training in stroke patients. Daegu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Rehabilitation Sciences. Master's thesis. 2010. 

  14. Kwakkel G, Wagenaar RC, Kollen BJ et al. Predicting disability in stroke: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Age Ageing. 1996;25(6):479-89. 

  15. Liepert J, Bauder H, Wolfgang HR et al. Treatment-induced cortical reoranization after stroke in humans. Stroke. 2000;31(6):1210-6. 

  16. Menz HB, Latt MD, Tiedmann A et al. Reliability of the GAITRite walkway system for the quantification of temporo-spatial parameters of gait in young and older people. Gait Posture. 2004;20(1):20-5. 

  17. Merfeld DM, Zupan L & Peterka RJ. Humans use internal models to estimate gravity and linear acceleration. Nature. 1999;398(6728):615-8. 

  18. Miyai I, Mauricio RL & Reding MJ. Parietal-insular strokes are associated with impaired standing balance as assessed by computerized dynamic posturography. J Neurol Rehabil. 1997;11(1):35-40. 

  19. Nadeau S, Arsenault AB & Gravel D et al. Analysis of the clinical factors determining natural and maximal gait speeds in adults with a stroke. Am J Phys Med Rehabil. 1999;78(2):123-30. 

  20. Nudo RJ, Wise BM, Sifuentes F et al. Neural substrate for the effects of rehabilitative training on motor recovery after ischemic infarct. Science. 1996;272(5269):1791-4. 

  21. Nyberg L & Gustafson Y. Fall prediction index for patients in stroke rehabilitation. Stroke. 1997;28(4):716-21. 

  22. Olney SJ, Griffin MP, Monga TN et al. Work and power in gait of stroke patients. Arch Phys Med Rehabil. 1991;72(5):309-14. 

  23. Park JH & Kwon YC. Standardization of korean version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 for use in the elderly. part II. diagnostic validity.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89;28(3):508-13. 

  24. Perennou D, El Fatimi A, Masmoudi M et al. Incidence, circumstances and consequences of falls in patients undergoing rehabilitation after a first stroke. Ann Readapt Med Phys. 2005;48(3):138-45. 

  25. Rode G, Tilikete C, Charlopain P et al. Postural asymmetry reduction by vestibular caloric stimulation in left hemiparetic patients. Scand J Rehabil Med. 1998;30(1):9-14. 

  26. Sackley CM & Lincoln NB. Single bli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visual feedback after stroke: effects on stance symmetry and function. Disabil Rehabil. 1997;19(12):536-46. 

  27. Shumway-Cook A & Woollacott MH. Motor control: translating research into clinical practice. 3rd 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7. 

  28. Smania N, Picelli A, Gandolfi M et al. Rehabilitation of sensorimotor integration deficits in balance impairment of patients with stroke hemiparesis. Neurol Sci. 2008;29(5):313-9. 

  29. Srivastava A, Taly AB, Gupta A et al. Post-stroke balance training: role of force platform with visual feedback technique. J Neurol Sci. 2009;287(1-2):89-93. 

  30. Steffen TM, Hacker TA, Mollinger L. Age and gender-related test performance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people: Six-minute walk test, berg balance scale, timed up & go test, and gait speeds. Phys Ther. 2002;82(2):128-37. 

  31. Teasell R, MacRae M, Foley N et al. The incidence and consequences of falls in stroke patients during inpatient rehabilitation: factors associated with high risk. Arch Phys Med Rehabil. 2002;83(3):329-33. 

  32. Tutuarima JA, van der Meulen JH, de Hann RJ et al. Risk factors for falls of hospitalized stroke patients. Stroke. 1997;28(2):297-301. 

  33. Tyson SF, Hanley M, Chillala J et al. Balance disability after stroke. Phys Ther. 2006;86(1):30-8. 

  34. Tyson SF, Hanley M, Chillala J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balance, disability, and recovery after stroke: predictive validity of the Brunel Balance Assessment. Neurorehabil Neural Repair. 2007;21(4):341-6. 

  35. Van Peppen RP, Kortsmit M, Lindeman E et al. Effects of visual feedback therapy on postural control in bilateral standing after stroke. J Rehabil Med. 2006;38(1):3-9. 

  36. Walker ML, Austin AG, Banke GM et al. Reference group data for thse functional gait assessment. Phys Ther. 2007;87(11):1468-77. 

  37. Webster KE, Wittwer JE, Feller JA. Validity of the GAITRite walkway system for the measurement of averaged and individual step parameters of gait. Gait Posture. 2005;22(4):317-21. 

  38. Won JI, Kim KS. Concurrent validity of the functional gait assessment, berg balance scale, and timed up and go test in patients with strok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University Trained Physical Therapists. 2011;18(2):43-51. 

  39. Wrisley DM, Marchetti GF, Kuharsky DK et al. Reliabiity, internal consistency, and validity of data obtained with the functional gait assessment. Phys Ther. 2004;84(10):906-18. 

  40. Yelnik AP, Le Breton F, Colle FM et al. Rehabilitation of balance after stroke with multisensorial training. Neurorehabil Neural Repair. 2008;22(5):468-7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