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환자 통증사정을 위한 한국어판 Critical care Pain Observation Tool (CPOT)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Validation of a Korean translated version of the Critical Care Pain Observation Tool (CPOT) for ICU patient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2 no.1, 2012년, pp.76 - 84  

곽은미 (을지대학병원) ,  오희영 (을지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methodological study was to examin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translated Korean version of the Critical Care Pain Observation Tool (CPOT) developed for assessment of pain in critically ill nonverbal patients. Methods: A cross-sectional study design was used. Dat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언어적 의사소통이 불가능한 중환자의 통증사정을 위하여 한국어로 번역된 Criticalcare Pain Observation Tool (CPOT)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평가하였다. CPOT 통증점수와 CNPI 통증점수의 상관관계로 분석한 동시타당도도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동시타당도가 수립되었다.
  • 통증은 실제적 또는 잠재적인 조직손상에 동반된 불쾌한 경험으로 통증 자체의 문제뿐만 아니라 호흡곤란, 수면장애, 식욕저하, 무력감, 우울, 불안, 자아존중감 저하와 삶의 질의 저하를 초래할 수 있는 심각한 건강문제이다. 본 연구는 언어적 의사소통이 불가능한 중환자의 통증을 사정에 활용될 수 있는 국외에서 개발된 CPOT의 한국어 번역본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여기에서는 한국어 번역본 CPOT가 중환자 통증사정을 하는데 있어서 신뢰할 수 있고 타당한 도구인지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중환자 통증사정 도구인 CPOT (Gélinaset al., 2006)의 한국어 번역본 CPOT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수립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 CPOT 및 CNPI를 이용한 통증사정을 위하여 외과계 중환자실에 근무하는 근무경력 2년 이상의 간호사 1인을 선정하여 2차에 걸쳐 교육과 훈련을 실시하였다. 교육은 유인물을 이용하여 연구자가 시행하였으며 교육내용은 연구목적, 내용, 대상자 선정 조건, 절차, CPOT, CNPI의 사용법과 의식사정방법이 포함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Gélinas 등(2006)이 개발한 중환자의 통증사정 도구인 CPOT의 한국어 번역본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으로서 세부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언어적 의사소통이 불가능한 중환자의 통증을 사정에 활용될 수 있는 국외에서 개발된 CPOT의 한국어 번역본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여기에서는 한국어 번역본 CPOT가 중환자 통증사정을 하는데 있어서 신뢰할 수 있고 타당한 도구인지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 도구를 언어적 의사소통이 불가능한 한국 중환자의 통증사정에 사용하기에 적절한 도구인지를 평가하기 위하여 CPOT를 한국어로 번역하고 번역본 CPOT의 신뢰도, 타당도를 수립하고 국내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가설 설정

  • 즉, 관찰척도인 CPOT가 통증이 있는환자는 통증이 있다고(민감도), 통증이 없는 환자는 통증이 없다고(특이도) 판별할 수 있는가를 검증하였다. 변별타당도는 원도구의 개발자가 개발당시 타당도를 수립하는데 사용한 방법을 참고하여, 통증 유발 행위라고 볼 수 있는 흡인 중 통증점수는 휴식상태인 흡인 전, 흡인 20분 후 통증점수와의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부정확한 통증사정과 부적절한 통증 조절은 어떠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는가? 중환자를 위한 최적의 통증 관리는 정확한 통증사정을 바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부정확한 통증사정과 부적절한 통증 조절은 심각한 신체적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중환자실에서 인공호흡기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의 경우 치료과정에서 신체적인 고통을 크게 호소하는데(Kim et al.
중환자가 경험하는 통증의 치료를 어렵게 하는 주된 원인은 무엇인가? (Wang&Tsai, 2010).중환자의통증 치료를 어렵게 하는 주된 원인은 의사소통장애이다. 중환자들은 의식장애, 기관내 삽관, 안정제의 사용 등의 많은 요인들에 의해 언어적으로 통증을 표현하는 것이 어렵다(Shannon & Bucknall, 2003).
중환자에게 통증을 유발하는 행위는 무엇인가? 중환자실 환자들은 기존 기저질환 뿐만 아니라 집중적이며 침습적인 다양한 처치들로 인하여 심한 통증과 불편을 경험한다(Li, Puntillo, & Miaskowski, 2008). 중환자에게 통증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행위로 흡인과 체위변경을 들 수 있고(Stanik-Hutt, Soeken, Belcher, Fontaine,&Gift, 2001) 이 외에도 기도삽관, 중심정맥관의 삽입 및 제거, 말초정맥관의 삽입, 상처 부위 소독, 조기 이상 등이 중환자에게 통증을 유발하는 행위로 꼽힌다(Puntilo et al., 2004; Siffleet, Young, Nikoen&Shaw,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erne, R. M., & Levy, M. N. (1986). Cardiovascular physiology (5th ed.). St Louis, MO: CV Mosby Co. 

  2. Bieri, D., Reeve, R, A., Champion, G. D., Addicoat, L., & Ziegler, J. B. (1990). The faces pain scale for the self-assessment of the severity of pain experienced by children: Development, initial validation, and preliminary investigation for ratio scale properties. Pain, 41, 139-150. http://dx.doi.org/10.1016/0304-3959(90)90018-9 

  3. Cade, C. (2008). Clinical tools for the assessment of pain in sedated critically ill adults. Nursing in Critical Care, 13, 288-297. 

  4. Carrasco, G. (2000). Instruments for monitoring intensive care unit sedation. Critical Care, 4, 217-225. http://dx.doi.org/10.1186/cc697 

  5. Chapman, D. W., & Carter, J. (1979). Translation procedures for the cross cultural use of measurement instruments. Educational Evaluation and Policy Analysis, 1(3), 71-76. http://dx.doi.org/10.3102/01623737001003071 

  6. Feldt, K. S. (2000). The checklist of nonverbal pain indicators. Pain Management Nursing, 1(1), 13-21. http://dx.doi.org/10.1053/jpmn.2000.5831 

  7. Fraser, G. L., & Riker, R. R. (2001). Monitoring sedation, agitation, analgesia, and delirium in critically ill adult patients. Critical Care Clinics, 17, 967-988. http://dx.doi.org/10.1016/S0749-0704(05)70189-5 

  8. Gelinas, C., Fillion, L., Puntillo, K. A., Viens, C., & Fortier, M. (2006). Validation of the critical-care pain observation tool in adult patients.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15, 420-427. 

  9. Gelinas, C., Fillion, L., & Puntillo, K. A. (2008). Item selection and content validity of the critical-care pain observation tool for non-verbal adult.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5, 203-216.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08.04847.x 

  10. Gelinas, C., Harel, F., Fillion, L., Puntillo, K. A., & Johnston, C. (2009).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the critical-care pain observation tool for the detection of pain in intubated adults after cardiac surgery. Journal of Pain and Symptom Management, 37(1), 58-67. 

  11. Gelinas, C., & Johnston, C. (2007). Pain assessment in the critically ill ventilated adult: Validation of the critical-care pain observation tool and physiologic indicators. The Clinical Journal of Pain, 23, 497-505. http://dx.doi.org/10.1097/AJP.0b013e31806a23fb 

  12. Greiner, M., Pfeiffer, D., & Smith, R. D. (2000). Principles and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receiver-operating characteristic analysis for diagnostic tests. Preventive Veterinary Medicine, 45, 23-41. http://dx.doi.org/10.1016/S0167-5877(00)00115-X 

  13. Hamill, R. J., & Marohn, M. L. (1999). Evaluation of pain in the critically ill patient. Critical Care Clinics, 15, 35-54. http://dx.doi.org/10.1016/S0749-0704(05)70038-5 

  14. Hwang, Y. H., & Choe, M. A. (2008). Study on the changes in limb circumferences and muscle areas of critically ill patients using ventilato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 874-880. http://dx.doi.org/10.4040/jkan.2008.38.6.874 

  15. Kim, Y. H., Koo, M. J., Kim, S. H., Kim, Y. M., Lee, N. Y., & Chang, K. O. (2007). The experiences of patients in intensive care uni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 924-931. 

  16. Li, D., Puntillo, K., & Miaskowski, C. (2008). A review of objective pain measures for use with critical care adult patients unable to self-report. The Journal of Pain, 9(1), 2-10. http://dx.doi.org/10.1016/j.jpain.2007.08.009 

  17. Nunnally, J. C., & Bernstein, I. H. (1994). Psychometric theory (3rd ed.). New York, NY: McGraw-Hill. 

  18. Nygaard, H. A., & Jarland, M. (2006). The checklist of nonverbal pain indictors(CNPI): Testing of reliability and validity in Norwegian nursing homes. Age and Ageing, 35(1), 79-81. http://dx.doi.org/10.1093/ageing/afj008 

  19. Odhner, M., Wegman, D., Freeland, N., Steinmetz, A., & Ingersoll, G. (2003). Assessing pain control in nonverval critically ill adults. Dimensions of Critical Care Nursing, 22, 260-267. 

  20. Payen, J. F., Bru, O., Bosson, J. L., Lagrasta, A., Novel, E., Deschaux, I., et al. (2001). Assessing pain in critically ill sedated patients by using a behavioral pain scale. Critical Care Medicine, 29, 2258-2263. 

  21. Payen, J. F., Chanques, G., Mantz, J., Hercule, C., Auriant I, Leguillou, J. L., et al. (2007). Current practices in sedation and analgesia for mechanically ventilated critically ill patients: A prospective multicenter patientbased study. Anesthesiology, 106, 687-95. http://dx.doi.org/10.1097/01.anes.0000264747.09017.da 

  22. Puntillo, K. A., Morris, A. B., Thomson, C. L., Stanik-Hutt, J., White, C. A., & Wild, L. R. (2004). Pain behaviors observed during six common procedure: Result from thunder project II. Critical Care Medicine, 32, 421-427. http://dx.doi.org/10.1097/01.CCM.0000108875.35298.D2 

  23. Puntillo, K. A., Stannard, D., Miakowski, C., Kehrle, K., & Gleeson, S. (2002). Use of pain assessment and intervention notation(P.A.I.N) tool in critical care nursing practice: Nurses' evaluation. Heart & Lung, 31, 303-314. http://dx.doi.org/10.1067/mhl.2002.125652 

  24. Sessler, C. N., & Varney, K. (2008). Patient-focused sedation and analgesia in the ICU. Chest, 133, 552-565. http://dx.doi.org/10.1378/chest. 07- 2026 

  25. Shannon, K., & Bucknall, T. (2003). Pain assessment in critical care: What have we learnt from research.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19, 154-162. 

  26. Siffleet, J., Young, J., Nikoletti, S., & Shaw, T. (2007). Patients' self-report of procedural pain in the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6, 2142-2148.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06.01840.x 

  27. Stanik-Hutt, J. A., Soeken, K. L., Belcher, A. E., Fontaine, D. K., & Gift, A. G. (2001). Pain experience of traumatically injured patients in a critical care setting.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10, 252-259. 

  28. Swets, J. A. (1988). Measuring the accuracy of diagnostic systems. Science, 240, 1285-1293. http://dx.doi.org/10.1126/science.3287615 

  29. Teasdale, G., & Jennett, B. (1974). Assessment of coma and impaired consciousness. A practical scale. Lancet, 2, 81-84. 

  30. Wang, H., & Tsai, Y. (2010). Nurse's knowledge and barriers regarding pain management in intensive care unit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9, 3188-3196.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10.03226.x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