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입원한 조현병 환자의 신체이미지 왜곡
Body Image Distortion among Inpatients with Schizophrenia 원문보기

생물정신의학 = Korean journal of biological psychiatry, v.19 no.4, 2012년, pp.211 - 218  

김성진 (계요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문석우 (건국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충주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김대호 (한양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구리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Body image distortion is found in eating disorder and obesity and there are some evidence that schizophrenia is associated with body image distortion. This study sought to find whether schizophrenic patients report more body image distortion than healthy individuals and whether it is rel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현병 환자의 신체이미지를 신체외형도로 측정하고 이를 정상 대조군과 비교하여 조현병 환자와 신체 이미지의 왜곡 여부를 조사하고, 특히 과체중인 조현병 환자가 자신의 체형을 인식하지 못하고 왜곡할 경우 임상적 문제가 발생하므로 이에 초점을 맞추어 신체이미지 왜곡과 정신 증상 및 심리적 요인사이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조현병 환자에서 신체 이미지 왜곡이 유발하는 정신병리와의 관련성을 조사하여 신체이미지 왜곡의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향후 조현병 환자의 체중관리 및 건강 행동을 위한 기초 자료로 삼고자 하였다.
  • 이 연구는 조현병 환자에서 신체이미지 왜곡이 있는지를 조사하고, 신체이미지 왜곡의 정도가 증상 및 심리 요인들과 연관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그 결과 환자군이 일반인 보다 유의하게 과소왜곡 즉 체중을 적게 평가한다는 점과 환자에서 우울증상이 적고, 일반정신병리 증상이 높을수록 신체 이미지를 과소왜곡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현병 환자의 신체이미지를 신체외형도로 측정하고 이를 정상 대조군과 비교하여 조현병 환자와 신체 이미지의 왜곡 여부를 조사하고, 특히 과체중인 조현병 환자가 자신의 체형을 인식하지 못하고 왜곡할 경우 임상적 문제가 발생하므로 이에 초점을 맞추어 신체이미지 왜곡과 정신 증상 및 심리적 요인사이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조현병 환자에서 신체 이미지 왜곡이 유발하는 정신병리와의 관련성을 조사하여 신체이미지 왜곡의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향후 조현병 환자의 체중관리 및 건강 행동을 위한 기초 자료로 삼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그러나 Priebe와 RÖhricht11)는 급성 조현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환자는 자신의 하체에 대해 실제보다 작게 느끼지만 급성기가 지난 이후에는 그렇지 않았다고 하면서, 신체이미지 왜곡이 조현병의 증상과 관련 있을 것이라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체이미지 왜곡의 문제는 어떤 질환을 가지고 있는 환자에게 주로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가? 신체이미지 왜곡의 문제는 과거 신경성 식욕부진증이나 폭식증과 같은 섭식장애를 가지고 있는 환자와 비만한 사람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5)6) 섭식장애 외의 정신질환과 신체이미지 왜곡의 연구는 드물었지만, 섭식장애가 없고 정상체중을 가지고 있는 사람에서도 왜곡이 나타나는 것이 밝혀졌다.7)
신체이미지란 무엇인가? 신체이미지란 한 개인이 자신의 체형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생각으로 개인의 체중 조절의 동기에 영향을 미친다.1)2) 자신의 체형에 대해 올바르게 인식하지 못하는 신체이미지 왜곡(body image distortion)이나 정서적으로 자신의 신체에 대해 만족하지 못하는 반응을 보이는 체형 불만족(body dissatisfaction)은 운동이나 식이습관조절과 같은 체중 조절 행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건강에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조현병 환자가 복용하는 대부분의 비전형 항정신병 약물은 체중 증가, 지질 이상, 당뇨 등과 연관된 이유는 무엇인가? 15)하지만 조현병 환자가 복용하는 대부분의 비전형 항정신병 약물은 체중 증가, 지질 이상, 당뇨 등과 연관된 것으로 알려져 문제가 되고 있다.16)이는 환경적 요소, 인슐린 과민성(insulin hyper-sensitivity), 생식샘 스테로이드(gonadal steroid), 콜린성(cholinergic) 및 히스타민성(histaminersic)효과 등의 복합적인 기전에 따른 것으로 생각된다.17) 최근 Mathews 등18)은 건강한 성인에게 1주일간 olanzapine을 복용하게 하자 체중, 음식 섭취가 증가하였고 기능성 자기공명영상검사(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상 섭식행동을 억제하는 외측안와전두(lateral orbital frontal)의 반응이 감소한다고 보고한 바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Bresolin L. Body image and health counseling for women. Arch Fam Med 1993;2:1084-1087. 

  2. Song HJ, Oh MS, Ahn SH, Park MS, Yoo TW, Kang JH, et al. The factors associated with satisfaction about body image and weight control behaviors in adolescents. J Korean Acad Fam Med 1999;20:345-357. 

  3. Lissner L, Odell PM, D'Agostino RB, Stokes J 3rd, Kreger BE, Belanger AJ, et al. Variability of body weight and health outcomes in the Framingham population. N Engl J Med 1991;324:1839-1844. 

  4. Vander Wal JS, Thelen MH. Eating and body image concerns among obese and average-weight children. Addict Behav 2000;25:775-778. 

  5. Horne RL, Van Vactor JC, Emerson S. Disturbed body image in patients with eating disorders. Am J Psychiatry 1991;148:211-215. 

  6. Slade PD, Russell GF. Experimental investigations of bodily perception in anorexia nervosa and obesity. Psychother Psychosom 1973;22:359-363. 

  7. Moore DC. Body image and eating behavior in adolescent boys. Am J Dis Child 1990;144:475-479. 

  8. Chapman LJ, Chapman JP, Raulin ML. Body-image aberration in Schizophrenia. J Abnorm Psychol 1978;87:399-407. 

  9. Koide R. Body image differences between normal and schizophrenic female adults. Applied Psychology 1985;34:335-347. 

  10. Baldwin IT. The head-body ratio in human figure drawings of schizophrenic and normal adults. J Proj Tech Pers Assess 1964;28:393-396. 

  11. Priebe S, Rohricht F. Specific body image pathology in acute schizophrenia. Psychiatry Res 2001;101:289-301. 

  12. Rohricht F, Priebe S. Do cenesthesias and body image aberration characterize a subgroup in schizophrenia? Acta Psychiatr Scand 2002;105:276-282. 

  13. Strassnig M, Brar JS, Ganguli R. Self-reported body weight perception and dieting practices in community-dwelling patients with schizophrenia. Schizophr Res 2005;75:425-432. 

  14. Loh C, Meyer JM, Leckband SG. Accuracy of body image perception and preferred weight loss strategies in schizophrenia: a controlled pilot study. Acta Psychiatr Scand 2008;117:127-132. 

  15. Goa KL, Brogden RN. l-Carnitine. A preliminary review of its pharmacokinetics, and its therapeutic use in ischaemic cardiac disease and primary and secondary carnitine deficiencies in relationship to its role in fatty acid metabolism. Drugs 1987;34:1-24. 

  16. Strassnig M, Miewald J, Keshavan M, Ganguli R. Weight gain in newly diagnosed first-episode psychosis patients and healthy comparisons: one-year analysis. Schizophr Res 2007;93:90-98. 

  17. Marken PA, Pies RW. Emerging treatments for bipolar disorder: safety and adverse effect profiles. Ann Pharmacother 2006;40:276-285. 

  18. Mathews J, Newcomer JW, Mathews JR, Fales CL, Pierce KJ, Akers BK, et al. Neural Correlates of Weight Gain With Olanzapine. Arch Gen Psychiatry 2012:1-11. 

  19. Meyer JM, Davis VG, Goff DC, McEvoy JP, Nasrallah HA, Davis SM, et al. Change in metabolic syndrome parameters with antipsychotic treatment in the CATIE Schizophrenia Trial: prospective data from phase 1. Schizophr Res 2008;101:273-286. 

  20. Meyer JM, Stahl SM. The metabolic syndrome and schizophrenia. Acta Psychiatr Scand 2009;119:4-14. 

  21. Kurzthaler I, Fleischhacker WW. The clinical implications of weight gain in schizophrenia. J Clin Psychiatry 2001;62 Suppl 7:32-37. 

  22. Berken GH, Weinstein DO, Stern WC. Weight gain. A side-effect of tricyclic antidepressants. J Affect Disord 1984;7:133-138. 

  23. Strassnig M, Brar JS, Ganguli R. Body mass index and quality of life in community-dwelling patients with schizophrenia. Schizophr Res 2003;62:73-76. 

  24. Rhyu M, Lee SH, Seo HG, Park HS. A survey on perception of obesity in general population. J Korean Acad Fam Med 2003;24:265-270. 

  25. Won CW, Kim SY. Factors affecting body image distortion. Korean J Fam Med 1996;17:408-414. 

  26. Must A, Willett WC, Dietz WH. Remote recall of childhood height, weight, and body build by elderly subjects. Am J Epidemiol 1993;138:56-64. 

  27. Bae JM, Won CW. Quick measurement of an obesity level with somatotype drawings in outpatient clinic setting in Korea. Korean J Fam Med 1996;17:332-338. 

  28. Beck AT, Ward CH, Mandelson M, Mock J, Erbaugh J. An inventory for measuring depression. Arch Gen Psychiatry 1961;4:561-571. 

  29. Lee YH, Song JY. A study of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the BDI, SDS, and MMPI-D scales. Korean J Clin Psychol 1991;10:98-113. 

  30. Colis MJ, Steer RA, Beck AT. Cognitive insight in inpatients with psychotic, bipolar, and major depressive disorders. J Psychopathol Behav Assess 2006;28:243-250. 

  31. Kim YL, Youn T, Kim MS. Cognitive insight in schizophrenic patients. Korean J Clin psychol 2005;25:1011-1127. 

  32. Rosenberg M.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1965. p.158-170. 

  33. Lee YH. The relations between attributional style, life events, event attribution, hopelessness and depression [dissertation].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1993. 

  34. Kay SR, Fiszbein A, Opler LA. The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PANSS) for schizophrenia. Schizophr Bull 1987;13:261-276. 

  35. Yi JS, Ahn YM, Shin HK, An SK, Joo YH, Kim SH, et al.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1;40:1090-1105. 

  36. Morosini PL, Magliano L, Brambilla L, Ugolini S, Pioli R. Development, reliability and acceptability of a new version of the DSM-IV Social and Occupational Functioning Assessment Scale (SOFAS) to assess routine social functioning. Acta Psychiatr Scand 2000;101:323-329. 

  37. Rhee CG, Kim YH. The newer assessment tools for functionings and the Personal and Social Performance Scale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Korean J Psychopharmacol 2006;17:128-142. 

  38. Yancey AK, Simon PA, McCarthy WJ, Lightstone AS, Fielding JE. Ethnic and sex variations in overweight self-perception: relationship to sedentariness. Obesity (Silver Spring) 2006;14:980-988. 

  39. Gray SH. Social aspects of body image: perception of normalcy of weight and affect of college undergraduates. Percept Mot Skills 1977; 45(3 Pt 2):1035-1040. 

  40. Jakatdar TA, Cash TF, Engle EK. Body-image thought processes: The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of the Assessment of Body-Image Cognitive Distortions. Body Image 2006;3:325-333. 

  41. Sundquist J, Johansson SE. The influence of socioeconomic status, ethnicity and lifestyle on body mass index in a longitudinal study. Int J Epidemiol 1998;27:57-63. 

  42. Hwang JK, Kim HK, Kong HS, Yoon HJ, Hwang YH, Lee KY, et al. The self-assessment of obesity in Korean adults. Korean J Obesity 2002;11:349-355. 

  43. Taylor MJ, Cooper PJ. An experimental study of the effect of mood on body size perception. Behav Res Ther 1992;30:53-58. 

  44. Grubb HJ, Sellers MI, Waligroski K. Factors related to depression and eating disorders: self-esteem, body image, and attractiveness. Psychol Rep 1993;72(3 Pt 1):1003-1010. 

  45. Anderson LA, Eyler AA, Galuska DA, Brown DR, Brownson RC. Relationship of satisfaction with body size and trying to lose weight in a national survey of overweight and obese women aged 40 and older, United States. Prev Med 2002;35:390-396. 

  46. Shin HB, Park JH, Cha BS, Kim BS, Lee SK, Kim HL, et al. The development of behavioral modification program on weight reduction in overweight patients taking atypical antipsychotics: preliminary study. J Korean Soc Biol Psychiatry 2003;10:186-193. 

  47. Ohtahara H, Ohzeki T, Hanaki K, Motozumi H, Shiraki K. Abnormal perception of body weight is not solely observed in pubertal girls: incorrect body image in children and its relationship to body weight. Acta Psychiatr Scand 1993;87:218-2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