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언어 네트워크 분석법을 통한 중학교 과학영재들의 사실, 가설, 이론, 법칙과 과학적인 것의 의미에 대한 인식 조사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Science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Fact, Hypothesis, Theory, Law, and Scientificnes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2 no.5, 2012년, pp.823 - 840  

이준기 (전북대학교) ,  하민수 (오하이오주립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과학교육과정에서 과학의 본성은 교육의 중심에 있었으며, 특히 과학영재교육에서의 중요성은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과학영재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개념구조가 어떻게 형성되어있는지의 연구는 많지 않다. 이 연구에서는 언어 네트워크 분석법을 통해 중학교 과학영재의 사실, 가설, 이론, 법칙 그리고 과학적인 것의 의미에 대한 이들의 인식을 탐색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개방형 검사지에서 얻은 응답들을 언어 네트워크 분석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총 110명의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소속 중학교 과학영재들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이들의 응답에 의해 5가지의 언어 네트워크를 얻었다. 네트워크 분석결과 이들이 인식하고 있는 사실은 증명여부와 실제성 문제, 가설은 잠정성과 불확실성, 이론은 실험에 의해 증명된 가설이라는 통념, 법칙은 절대성과 권위를 상징하는 언어들, 과학적인 것은 사실근거, 증명 가능여부, 정확하고 논리적인 이론체계 동반을 가장 중요한 인식의 핵으로 하고 있었다. 통합네트워크 분석결과, 연구에 참여한 중학교 과학영재들은 절대주의적이고 논리-실증주의적인 과학관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에 활용된 언어 네트워크 분석법은 학습자의 보이지 않는 특정 내용을 어떤 방식으로 인식하여 개념구조를 형성하고 있는지 시각화하고, 학습자 개개인 및 지식별 통합적 정신모형을 구축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mportance of teaching the nature of science (NOS) has been emphasized in the science curriculum, especially in the science curriculum for science-gifted students. Nevertheless, few studies concerning the structure and formation of students' mental model on NOS have been carried out. This stud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언어 네트워크 분석법의 활용범위는 교과서 내의 과학용어 연계성 맥락(박별나 등, 2010), 특정 학문 분야의 공저자 연계성(임병학, 2011), 일정 시기 동안의 연구 동향 구조 변화 파악(최영출, 박수정, 2011), 설득에 따른 갈등 프레임의 변화관찰(심준섭, 2011) 등과 같이 다양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중학교 과학영재들이 인식하고 있는 과학의 본성적 측면 중 사실, 가설, 이론, 법칙 그리고 과학적인 것의 의미에 대하여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언어 네트워크 분석법을 통해 이들의 개념구조에 관한 정신모형을 구축하고 그 특성을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 이 연구는 중학교 과학영재들의 사실, 가설, 이론, 법칙 및 과학적인 것에 대한 의미를 어떻게 생각하고 있으며 이들 간의 의미연결 관계는 어떠한지 알아보기 위해 언어 네트워크 분석법을 활용하였다. 이를 위해 수집된 데이터는 정성적 조사 및 정량적 조사를 활용하여 분석되었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과학영재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개념구조가 어떻게 형성되어 있는지의 연구는 많지 않다. 이 연구에서는 언어 네트워크 분석법을 통해 중학교 과학영재의 사실, 가설, 이론, 법칙 그리고 과학적인 것의 의미에 대한 이들의 인식을 탐색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개방형 검사지에서 얻은 응답들을 언어 네트워크 분석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최근 복잡계 양상을 띠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집단 사회학, 사회 물리학 등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 사회 네트워크 분석법을 학생의 언어에 적용하여 언어 네트워크를 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영재학생들의 과학지식 및 과학적인 것을 어떤 의미로 생각하는지 그들의 과학관을 점검해 보았다.
  • 이 연구에서는 최근 복잡계 양상을 띠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집단 사회학, 사회 물리학 등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 사회 네트워크 분석법을 학생의 언어에 적용하여 언어 네트워크를 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영재학생들의 과학지식 및 과학적인 것을 어떤 의미로 생각하는지 그들의 과학관을 점검해 보았다. 그 결과 연구에 참여한 110명의 중학교 과학영재들은 절대주의적이고 논리-실증주의적인 과학관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학생들이 어떤 형태로 과학 개념을 이해하고 있는지에 관한 인지심리학자들의 다양한 견해가 있지만, 이 연구에서는 ‘조각난 지식(fragmented knowledge)’의 관점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성주의적 교수법에서 강조하는 것은? 구성주의적 교수법에서는 수업을 계획하기 이전에 학생들의 사전 지식이나 사전 개념 구조를 확인하는 것을 중요한 단계로 강조한다(Hammer, 1996). 과학의 본성에 관한 수업을 계획하는데 있어서도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관한 지식이나 선개념을 확인해야될 것이다.
과학의 본성에 대한 학생들의 개념을 조사하는 연구는 언제 누구에 의해 시작되었는가? 과학의 본성에 대한 학생들의 개념을 조사하는 연구는 1945년 Wilson에 의해 시작된 바 있으며 (Lederman, 2007), 이후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다양한 도구와 방법으로 학생과 교사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개념구조를 알아내려는 연구가 줄을 이었으며, 이제는 하나의 분명한 연구 분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소원주, 1998; 나지연, 송진웅, 2010). 과학의 본성에 대한 바른 인식을 함양하고자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이 구상되고 발표되고 있으나(Abd-El-Khalick & Akerson, 2004; 박종원, 김두현, 2008; 박은이, 홍훈기, 2010; 장명덕 등, 2002) 수업전략의 개발보 다도 더욱 중요한 것은 학생이나 교사 스스로 어떤 과학 철학적 관점을 견지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명확한 개념 생태적 구조의 진단일 것이다.
Atkinson 과 Shiffrin(1968)의 연결 네트워크 모형에서 보는 인간의 기억구조는 어떻게 저장되며, 이와 관련해 무엇이 중요하다고 여겨지는가? 이러한 이론에 바탕을 둔 Atkinson 과 Shiffrin(1968)의 연결 네트워크 모형은 인간의 기억구조가 어떻게 구성되어있고 이것이 어떤 과정을 거쳐서 저장되고 인출되는가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는 대표적 이론 중 하나이다. 그들의 모형에 따르면 인간의 기억구조는 관련 개념끼리 일종의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상태로 저장되어 있으며, 따라서 이러한 기억정 보들의 인출시에는 네트워크 적인 연쇄 활성이 중요하 다고 역설하였다. 이는 과학교육에서도 학습자의 개념 형성에 대한 오랜 연구를 통해 강조되어 왔으며 (diSessa, 2008; Hammer, 1996), 현대 인지신경 과학 (cognitive neuroscience)에서도 점화 이론(priming theory) 등을 통해 실험적으로 여러 차례 확인된 바 있다(Dehae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1)

  1. 권용주, 정진수, 신동훈, 이준기, 이일선, 변정호 (2011). 과학 지식의 생성과 평가. 서울, 학지사. 

  2. 김경대, 강순민, 임재항(2006). 과학영재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6), 743-752. 

  3. 김용학 (2011). 사회 연결망 분석. 서울, 박영사. 

  4. 김정여, 김영수 (2006). 경기도 과학 교사들의 개념 체계도에 대한 인식 및 활용 실태 조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4(4), 497-507. 

  5. 김지나, 김선경, 김동욱, 김현경, 백성혜 (2008). 초등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명시적 교수 효과 분석. 초등과학교육, 27(3), 261-272. 

  6. 나지연, 송진웅 (2010). 과학의 본성에 대한 검사 도구를 활용한 연구의 개관과 분석. 초등과학교육, 29(3), 292-306. 

  7. 노태희, 김영희, 한수진, 강석진 (2002). 과학의 본성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견해.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4), 882-891. 

  8. 박별나, 이윤경, 구자을, 홍영수, 김학용 (2010). 고등학교 과학 및 생물교과서 과학용어 네트워크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0(5), 427-435. 

  9. 박은이, 홍훈기 (2010). 과학 영재를 대상으로 한명시적 과학의 본성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2), 249-260. 

  10. 박종원, 김두현 (2008). 과학의 본성 지도자료 개발과 과학영재를 대상으로 한 시험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2), 169-179. 

  11. 박한우, Leydesdorff, L. (2004). 한국어의 내용 분석을 위한 KrKwic 프로그램의 이해와 적용: Daum.net에서 제공된 지역혁신에 관한 뉴스를 대상으로.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6(5), 1377-1388. 

  12. 백성혜 , 김윤기, 최은희, 김성애 (2005). 고등학생과 과학교사의 과학철학적 관점에 대한 연구. 대한화학회지, 49(5), 503-512. 

  13. 변정호, 이준기, 권용주 (2009). 과학교육에서 제시하는 과학적 관찰의 의미와 과정에 대한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5), 531-540. 

  14. 서재교, 배순한, 백승익 (2010). 온라인 커뮤니티의 중심성 변화에 대한 탐색적 연구: 사회연결망 분석을 이용하여. 지식경영연구, 11(2), 17-34. 

  15. 소원주 (1998). 과학교사의 과학 철학적 관점과 과학 서술방식이 중학생들의 과학관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손동원(2008). 사회 네트워크 분석. 서울, 경문사. 송진웅, 권성기 (1992). 과학철학을 수강하는 대학원생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의 변화.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2(1), 1-9. 

  17. 송하영, 김영신 (2010). 지식상태분석법을 이용한 고등학생의 유전관련 개념의 위계 분석. 과학교육연구지, 34(2), 237-245. 

  18. 심준섭 (2011). 언어네트워크분석 기법을 활용한 갈등 프레임의 분석. 한국행정연구, 20(2), 183-212. 

  19. 양일호, 한기갑, 최현동, 오창호, 조현준 (2005). 초등 신규교사의 과학 본성에 대한 신념. 초등과학교육, 24(4), 360-379. 

  20. 옥경영, 한상만 (2009). 온라인 커뮤니티 사이트에서 하위 네트워크의 특성이 정보의 초기 확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소비자학연구, 20(1), 37-64. 

  21. 이강춘 (2007). 우수연구센터의 네트워크 구조와 성과에 관한 연구. 한국공공관리학보, 21(4), 201-224. 

  22. 이원준 (2010). 소비자의 루머 인식과 브랜드 태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0(11), 363-370. 

  23. 이은아, 박병건 (2008). 과학 이론과 과학 법칙의 차이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인식 연구. 한국지구과학학회지, 29(1), 91-97. 

  24. 이혜준, 이동일, 이주현 (2010). 의미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프랜차이즈 교육 프로그램 개발. 경영교육연구, 14(2), 105-128. 

  25. 임병학 (2011). 사회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물류 공저자들의 협력 네트워크 구조 분석. 물류학회지, 21(2), 205-229. 

  26. 장명덕, 홍상욱, 정진우 (2002). 중학교 2학년 과학영재들의 과학지식에 대한 과학철학적 관점과 이에 대한 토론 및 읽기 활동의 효과. 한국지구과학학회지, 23(5), 397-405. 

  27. 장병기 (2004). 과학의 본성에 대한 학생의 생각을 조사히기. 초등과학교육, 23(2), 159-171. 

  28. 정충덕, 강경희 (2008). 과학 영재들의 STS에 대한 관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2), 150-158. 

  29. 최영출, 박수정 (2011). 한국행정학의 연구경향 분석: 네트워크 분석방법의 적용. 한국행정학보, 45(1), 123-139. 

  30. 한관종 (2003). 사회과학 방법론으로서의 연결망 분석기법 적용의 의의와 연구과제. 사회과학연구, 10(2), 219-235. 

  31. Abd-El-Khalick, F., & Akerson, V. L. (2004). Learning as conceptual change: Factors mediating the development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views of nature of science. Science Education, 88(5), 785-810. 

  32. Anderson, J. R. (1983). A spreading activation theory of memory. Journal of Verbal Learning and Verbal Behavior, 22, 261-295. 

  33. Atkinson, R. C., & Shiffrin, R. M. (1968). Human Memory: A Proposed System and Its Control Process, The Psychology of Learning and Motivation, Vol 2. ed, K. Spence, New York: Academic Press. 

  34. Baker, R. R. (1987). Knowledge Graphs: Representation and Structuring of Scientific Knowledg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Twente, Enshede. 

  35. Barnett, G. A., & Woelfel, J. (1988). Readings in Galileo system: Theory, methods and applications. Dobuque, IA: Kendall/ Hunt. 

  36. Bybee, R. W. (1997). Achieving scientific literacy: From purposes to practices. Portsmouth, NH: Heineman. 

  37. Campbell, N. R. (1953). What is Science? New York: Dover Publications. 

  38. Carley, K. M. (1988). Formalizing the Social Expert's Knowledge. Sociological Methods and Research, 17(2), 165-232. 

  39. Collins, A. M., & Loftus, E. F. (1975). A spreading activation theory of semantic processing. Psychological Review, 82(6), 407-428. 

  40. Collins, A. M., & Quillian, M. R. (1972). Experiments on semantic memory and language comprehension. In Gregg, L. W. (Ed.), Cognition in learning and memory (pp. 117-138). New York: Wiley. 

  41. Corman, S. R., Kuhn, T., McPhee, R. D., & Dooley, K. J. (2002). Studying complex discursive systems: Centering resonance analysis of communication.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28, 157-206. 

  42. Danowski, J. A. (1993). Network analysis of message contents. In G. Barnett & W. Richards (Eds.), Progress in communication sciences (pp. 197-222), Norwood, NJ: Albex. 

  43. Dehaene, S., Naccache, L. Cohen, L. Le Bihan, D. Mangin, J., Poline, J., & Riviere, D. (2001). Cerebral mechanisms of word masking and unconscious repetition priming. Nature Neuroscience, 4(7), 752-758. 

  44. diSessa, A. A. (2008). A bird's-eye view of the 'pieces'vs. 'coherence'controversy. In S. Vosniadou (Ed.), International handbook of research on conceptual change (pp. 35-60). New York: Routledge. 

  45. Doerfel, M. L. (1998). What constitutes semantic network analysis? A comparison of research and methodologies. Connections, 21(2): 16-26. 

  46. Doerfel, M. L., & Barnet, G. A. (1999). A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the interactional communication association.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25(4), 589-603. 

  47. Doignon, J., & Falmagne, J. (1999). Knowledge Spaces. Berlin, Germany: Springer-Verlag. 

  48. Driver, R. Leach, J., Miller, R., & Scott, P. (1996). Young peoples images of science. Bristol, PA, Open University Press. 

  49. Flew, A. (1985). A dictionary of philosophy. London, The Macmillan Press, Ltd. 

  50. Hammer, D. (1996). Misconceptions or pprims: How may alternative perspectives of cognitive structure influence instructional perceptions and intentions. The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5(2), 97-127. 

  51. Hempel, C. G. (1966). Philosophy on natural science.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52. Horner, J. K. & Rubba, P. A. (1979). The laws are mature theories fable. The Science Teacher, 46(2), 31. 

  53. Jeong, J. S., & Kwon, Y. J. (2006). Definition of scientific hypothesis: A generalization or a causal explanation?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5), 637-645. 

  54. Kamada, T., & Kawai, S. (1989). An algorithm for drawing general undirected graph. Information Letters, 131(1), 7-15. 

  55. Koponen, I. T., & Pehkonen, M. (2010). Coherent knowledge structures of physics represented as concept networks in teacher education. Science & Education, 19, 259-282. 

  56. Kugler, C. (2002). Darwin's Theory, Mendel's Law: Label & The Teaching of Science. The American Biology Teacher, 64(5), 341-351. 

  57. Lederman, N. G. (2007). Nature of Science: Past, present, and future. In Abell, S. & Lederman, N. (Eds.) Handbook of research on science education.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58. Liu, S., & Lederman, N. G. (2002). Taiwanese Gifted Students'View of Nature of Science.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02(3), 114-123. 

  59. Meichtry, Y. J. (1993). Influencing student understanding of nature of science: Data from a case curriculum developm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9, 389-407. 

  60. Meyling, H. (1997). How to change students' conceptions of the epistemology of science. Science & Education, 6, 397-416. 

  61. Nakamura, K., Dehaene, S., Jobert, A., Bihan, D. L., & Kouider, S. (2007). Taskspecific change of unconscious neural priming in the cerebral language network.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USA, 104(49), 19643-19648. 

  62. Parker, S. P. (1989). McGraw-Hill dictionary of scienctific and technical terms. New York, NY: McGraw-Hill Book Company. 

  63. Popping, R. (2000). Computer-assisted text analysis. London, Thousand Oaks: Sage Publications. 

  64. Reese, W. L. (1980). Dictionary of philosophy and religion: Eastern and western thought. Highlands, NJ: Humanities Press Inc. 

  65. Rhodes, G., & Schaible, R. (1989). Fact, law, and theory: Ways of thinking in science and literature. Journal of College Science Teaching, 18(4), 228-232. 

  66. Ryan, A. G., & Aikenhead, G. S. (1992). Students'perceptions about the epistemology of science. Science Education, 76, 559-580. 

  67. Sabella, M. S. (1999). Using the Context of Physics Problem Solving to Evaluate the Coherence of Student Knowledg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aryland. Available online at http://www.physics.umd.edu/perg/dissertations/Sabella/(accessed 2012). 

  68. Schwartz, R. S., Lederman, N. G., & Crawford, B. A. (2004). Developing view of nature of science in an authentic context: An explicit approach to bridging the gap between nature of science and science and scientific inquiry. Science Education, 88(4), 610-645. 

  69. Tuberty, B., Dass, P., & Windelspecht, M. (2011). Student understanding of scientific hypotheses, theories & Law: Exploring the influence of a non-majors college introductory biology course. International Journal of Biology Education, 1(1), 23-44. 

  70. Walker, P. M. B. (1988). Chambers science and technology dictionary. New York, NY: W & R Chambers Ltd 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71. Wassetman, S., & Faust, K. (1994).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s and applications. The Press Syndicate of the University of Cambridg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