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고 및 영재고 Research and Education (R&E) 수행과정 및 운영환경 분석: 지도자와 학생의 인식 차이를 중심으로
Study on Research and Education (R&E) Programs in Science High schools and Science Academies: Focusing on the Differences of Perceptions Between Students and Mentor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2 no.7, 2012년, pp.1139 - 1156  

정현철 (KAIST) ,  채유정 (KAIST) ,  류춘렬 (KAIST)

초록

본 연구는 과학고 및 영재고 학생 및 지도자들의 Research and Education (R&E)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총 1,466명의 학생과 310명의 지도자가 설문에 참여하였다. 설문지는 크게 R&E 수행과정에 대한 학생과 지도자의 인식(주제선정 단계, 주제 관련 사전지식 학습 단계, 연구 설계와 문제해결 및 수행 단계, 평가 및 발표 단계)과 R&E 수행환경에 대한 인식(충분한 연구기간 및 시간 확보, 지도자와 학생의 자유롭고 충분한 만남, 연구기반 시설과 설비를 충분히 갖춘 학습 환경)에 관한 질문들로 구성되었다. 분석결과, R&E 연구수행의 전 단계 중 초반부에 해당하는 주제선정 단계와 주제관련 지식학습 단계에서 지도자와 학생의 인식차가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그 외의 수행과정 및 환경 요인에서도 인식의 차이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 및 논의에서 R&E 프로그램 개선을 위한 제안이 이루어졌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udents' and mentors' perceptions of Research and Education (R&E) programs in science high schools and science academies. The sample included 1,466 science high school/science academy students and 310 mentors. They filled out the survey, which consisted ...

주제어

참고문헌 (32)

  1. 김경대, 심재영(2008). R&E 프로그램을 체험한 과학영재들의 사사교육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인식: KAIST 신입생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4), 282-290. 

  2. 박종원 (2009). 과학영재를 위한 사사교육 준비와 유형에 대한 논의. 과학영재교육, 1(3), 1-19. 

  3. 심규철, 박경애, 길지현 (2009). 과학적 연구 기반 과학영재 사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국제과학영재학회지, 3(1), 9-19. 

  4. 이광형, 편은진, 김영주, 한상준 (2007). 과학영재 를 위한 e-mentoring 활성화방안. KAIST과학영재 교육연구원 연구보고서 2007-19. 

  5. 이선길 (2006). 고등학교 과학영재를 위한 사사 연구(R&E) 프로젝트 학습 모형의 개발과 적용.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6. 정영란 (2003). 웹기반 프로젝트 중심 학습이 학습자의 태도, 학습 결과 및 성찰적 실천 과정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7. 정현철, 류춘렬, 채유정 (2012). 과학고 및 영재고 Research and Education (R&E) 운영실태 분석 및 활성화방안 제안: R&E 운영담당자 면담사례를 중심 으로. 영재교육연구, 22(2), 243-264. 

  8. 최호성, 강호감, 서혜애, 박일영, 이혁우, 이진희, 박경희, 박지현 (2003). 연구와 교육(R&E) 프로그램 을 통한 과학영재의 창의성 신장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재단 정책연구보고서 2002-5092 

  9. 편은진, 이선길, 오혜미, 이범진 (2008). 일반 과학고와 영재고등학교 R&E 실태 비교를 통한 지원 방 안 특성화 연구. KAIST과학영재교육연구원 연구보고서 2008-40. 

  10. Akpinar, E., Yildiz, E., Tatar, N., & Ergin, O. (2009). Students'attitudes toward science and technology: An investigation of gender, grade level, and academic achievement.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1(1), 2804-2808. 

  11. Ambrose, D., Allen, J., & Huntley, S. (1994). Mentorship of the highly creative. Roeper Review, 17(2), 131-134. 

  12. Bell, R., & Lederman, N. G. (2003). Understandings of the nature of science and decision making on science and technology based issues. Science Education, 87(3), 352- 377. 

  13. Dunbar, K. (1997). How scientists think: On-line creativity and conceptual change in science. In T. B. Ward, S. M. Smith and J. Vaid (Eds.). Creative Thought: An Investigation of Conceptual Structures and Processes (pp. 461- 494). Washington, D. 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4. Ellingson, M. K., Haeger, W. W., & Feldhusen, J. F. (1986). The Purdue mentor program: A university-based mentorship experience for GICIT children. Gifted Child Today, 9(2), 2-5. 

  15. Gray, W. A. (1982). Mentor-assisted enrichment projects for the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al Leadership, 40(2), 16-21. 

  16. Grossman, J. B., & Rhodes, J. E. (2002). The test of time: Predictors and effects of duration in youth mentoring relationships.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30(2), 271-289. 

  17. Haeger, W. W., & Feldhusen, J. F. (1989). Developing a mentor program. East Aurora, NY: D.O.K. Publishers. 

  18. Harris, R. (1985). The in/out approach to locating mentors for gifted programs. Gifted Child Today, 37(2), 10-11. 

  19. Kram, K. E. (1985). Mentoring at work: Developmental relationships in organizational life. Glenview, IL: Scott Foresman. 

  20. MacDonald, L., & Sherman, A. (2007). Student perspectives on mentoring in a science outreach project. Canadian Journal of Science, Mathematics and Technology Education, 7(2/3), 133-147. 

  21. Noller, R. B. (1982). Mentoring: A voiced scarf. Buffalo, NY: Bearly Limited. 

  22. O'Neill, D. K., & Polman, J. L. (2004). Why educate "little scientists?"examining the potential of practice-based scientific literac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1(3), 234-266. 

  23. Pleiss, M. K., & Feldhusen, J. F. (1995). Mentors role models, and heroes in lives of gifted children. Educational Psychologist, 30(3), 159-169. 

  24. Purdy, P. (1981). The great mentor hunt: Suggestions for the search. Gifted Child Today, 16(1), 18-20. 

  25. Rennie, L. J., & Punch, K. F. (1991). The relationship between affect and achievement in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8(2), 193-209. 

  26. Ritchie, S. M., & Rigano, D. L. (1996). Laboratory Apprenticeship through a Student Research Projec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3(7), 799-815. 

  27. Scandura, T. A., & Williams, E. A. (2001). An investigation of the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mentorship initiation and protege perception of mentoring function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59(3), 342-363. 

  28. Schatz, E. (2000). Mentors: Matchmaking for young people. Journal of Secondary Gifted Education, 11(2), 67-87. 

  29. Shim, K. C., & Kim, Y. S. (2005). Science gifted learning program: Research & education model.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5(6), 635-641. 

  30. VanTassel-Baska, J. (1989). Counseling the gifted. In J. F. Feldhusen, J. VanTassel-Baska, & K. Seeley (Eds.), Excellence in educating the gifted (pp. 299-314). Denver, CO: Love Publishing. 

  31. Walding, R., Foglianl, C., Over, R., & Bain, J. (1994). Gender differences in response to the australian national chemistry quiz.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8), 833-846. 

  32. Weinburgh, M. (1995). Gender differences in student attitudes toward science: A metaanalysis of the literature from 1970 to 1991.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2(4), 387-39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