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도화(Prunus persica Flos) 분획물의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
Whitening and Anti-wrinkling Effects of Fractions from Prunus persica Flos 원문보기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v.40 no.4, 2012년, pp.364 - 370  

이진영 (호서대학교 한방화장품과학과) ,  안봉전 (대구한의대학교 화장품약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도화를 70% 아세톤 추출하여 sephadex LH-20으로 분리한 후 8개의 분획물을 얻을 수 있었다. 미백효과 측정으로 tyrosin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분획물 8의 경우 1,000 ppm에서 92.2%를 나타내었으며, 멜라노마 세포에 의한 tyrosinase 저해활성은 100 ppm에서 63.4%, 멜라닌 생합성은 저해능은 100 ppm에서 71.7%의 효과를 나타내어 분획물 8의 효능이 가장 우수하였다. 주름개선 효과 측정으로 elast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분획물 5, 7이 1,000 ppm에서 각각 71.4, 74.5%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collagenase 저해활성과 collagen 생합성량을 측정한 결과 분획물 8이 100 ppm에서 80.0% 이상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도화 분획물의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compounds of Prunus persica Flos were extracted with 70.0% acetone and were purified using a sephadex-LH-20 column chromatography. As a result, eight fractions were isolated. For whitening effects, the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was determined to be 92.2% in Fr.-8 isolated fro...

Keyword

참고문헌 (26)

  1. Akiu, S., Y. Suzuki, T. Asahara, Y. Fujinuma, and M. Fukuda. 1991. Inhibitory effect of arbutin on melanogenesis-biochemical study using cultured B16 melanoma cells. Nippon. Hifuka. Gakkai. Zasshi. 101: 609-613. 

  2. Ando, S., O. Ando, Y. Suemoto, and Y. Mishima. 1993. Tyrosinase gene transcription and its control by melanogenic inhibitors. J. Invest. Dermatol. 100: 150S-155S. 

  3. Bonte, F., M. Dumas, C. Chaudagne, and A. Meybeck. 1994. Influence of asiatic acid, madecassic acid, and asiaticoside on human collagen I synthesis. Planta. Med. 60: 133-135. 

  4. Cannell, R. J. P., S. J. Kellan, A. M. Owsianks, and J. M. Walker. 1988. Results of a large scale screen of microalgae for the production of protease inhibitors. Planta. Med. 54: 10-14. 

  5. Carmichael, J., W. G. DeGraff, A. F. Gazdar, J. D. Minna, and J. B. Mitchell. 1987. Evaluation of a tetrazolium based semiautomated colorimetric assay: assessment of chemosensitivity testing. Cancer Res. 47: 936-942. 

  6. Choi, B. W., B. H. Lee, K. J. Kang, E. S. Lee, and N. H. Lee. 1998. Screening of the tyrosinase inhibitors from marine algae and medicinal plants. Kor. J. Pharmacogn. 29: 237-242. 

  7. Demina, N. S. and S. V. Lysenko. 1996. Collagenolytic enzymes synthesized by microorganisms. Mikrobiologiia 65: 293-304. 

  8. DeWitt, D. L., T. E. Rollins, J. S. Day, J. A. Gauger, and W. L. Smith. 1981. Orientation of the active site, and antigenic determinants of prostaglandin endoperoxide of synthase in the endoplasmic reticulum. J. Biol. Chem. 256: 10375-10382. 

  9. El-Domyati, M., S. Attia, F. Saleh, D. Brown, D. E. Birk, F. Gasparro, H. Ahmad, and J. Uitto. 2002. Intrinsic aging vs. photoaging: a comparative histopathological, immunohistochemical, and ultrastructural study of skin. Exp. Dermatol. 11: 398-405. 

  10. Giacomoni, P. U. and G. Rein. 2001. Factors of skin ageing share common mechanisms. Biogerontology 2: 219-229. 

  11. Grant, N. H. and H. E. Alburn. 1959. Studies on the collagenases of Clostridium histolyticum. Arch. Biochem. Biophys. 82: 245-255. 

  12. Hearing, V. J. and M. Jimenez. 1987. Mammalian tyrosinase the critical regulatory control point in melanocyte pigmentation. Int. J. Biochem. 19: 1141. 

  13. Hosoi, J., E. Abe, T. Suda, and T. Kuroki. 1985. Regulation of melanin synthesis of B16 mouse melanoma cells by 1 alpha, 25-dihydroxyvitamin D3 and retinoic acid. Cancer Res. 45: 1474-1478. 

  14. Imokawa, G., and Y. Mishima. 1982. Loss of melanogenic properties in tyrosinase induced by glucosylation inhibitors within malignant melanoma cells. Cancer Res. 42: 1994- 2002. 

  15. Jeroma, S. P., L. Gabrielle, and F. Raul. 1998. Identification of collagen fibrils in scleroderma skin. J. Invest. Dermatol. 90: 48-54. 

  16. Lee, J. Y. and B. J. An. 2010. Whitening and anti-wrinkle effects of Prunus persica Flos. J. Appl. Biol. Chem. 53: 154-161 

  17. Lin, C. B., L. Babiarz, F. Liebel, E. Roydon Price, M. Kizoulis, G. J. Gendi menico, D. E. Fisher, and M. Seiberg. 2002. Modulation of microphthal mi-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gene expression alters skin pigmentation. J. Invest. Dermatol. 119: 1330-1340. 

  18. Mishima, Y., S. Hatta, Y. Ohyama, and M. Inazu. 1988. Induction of melanogenesis suppression : Cellular pharmacology and mode of differential action. Pigment Cell Res. 1: 367-374. 

  19. Pavel, S. and F. A. Muskiet. 1983. Eumelanin (precursor) metabolites as markers for pigmented malignant melanoma, a preliminary report. Cancer Detect. Prev. 6: 311-316. 

  20. Prota, G. 1980. Recent advances in the chemistry of melanogenesis in mammals. J. Invest. Dermatol. 75: 122-127. 

  21. Roth, G. J., C. J. Siok, and J. Ozols. 1980.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prostaglan din synthetase from sheep vesicular gland. J. Biol. Chem. 255: 1301-1304. 

  22. Tsuji, N., S. Moriwaki, Y. Suzuki, Y. Takema, and G. Imokawa. 2001. The role of elastases secreted by fibroblasts in wrinkle formation: implication through selective inhibition of elastase activity. Photochem. Photobiol. 74: 283-290. 

  23. Wlaschek, M., I. Tantcheva-Poor, L. Naderi, W. Ma, L. A. Schneider, Z. Razi-Wolf, J. Schuller, and K. Scharffetter- Kochanek. 2001. Solar UV irradiation and dermal photoaging. J. Photochem. Photobiol. B. 63: 41-51. 

  24. Wunsch, E., and H. G. Heindrich. 1963. Zur quantitativen bestimmung der collagenase. Hoppe-Seyler's. Physiol. Chem. 333: 149-151. 

  25. Yagi, A., T. Kanbara, and N. Morinobu. 1986. The effect of tyrosinase inhibition for aloe. Planta. Medica. 3981: 517-519 

  26. Yamamura, T., J. Onishi, and T. Nishiyama. 2002. Antimelanogenic activity of hydrocoumarins in cultured normal human melanocytes by stimulating intracellular glutathione synthesis. Arch. Dermatol. Res. 294: 349-354.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