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동작관찰이 뇌졸중 환자의 환측 상지 기민성에 미치는 영향 : 단일사례연구
The Effect of Action Observation Training on Affected Side Upper Limb Dexterity in Stroke Patient : Single-subject research design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7 no.1, 2012년, pp.111 - 118  

양용필 (씨티재활병원 재활센터) ,  김지현 (씨티재활병원 재활센터) ,  한미란 (씨티재활병원 재활센터) ,  김은비 (씨티재활병원 재활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to determine effects of action observation training on upper limb function after stroke. Training was progressed to imitation and intensive training after observation to required action in ADL. Methods : Among the single case study was used to ABA design.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일상생활에서 물체를 조작하는데 필요한 동작들을 수행하는 영상을 관찰하고 이를 모방하여 집중적으로 훈련하는 동작관찰 훈련을 진행하여 동작 관찰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민성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단일사례연구 중 ABA설계를 사용하여 동작관찰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환측 상지 기민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초기 기초선 기간인 기초선 A에서는 10초 검사, 상자와 나무토막 검사, 뇌졸중 상지기능평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중재기 B에서는 수도꼭지 돌리기, 수건 접기, 지갑 속 카드 빼고 넣기, 지갑 속 동전 빼고 넣기, 도형 오리기를 수행하는 영상을 관찰한 후에 동일한 신체 훈련을 하는 동작관찰 훈련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 사용한 뇌졸중 상지기능평가는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동작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검사도구로 상지 기능의 회복과정과 일상생활동작에 있어서의 실용수준을 반영하고 객관적으로 실시하기 쉽게 고안되었다. 동작관찰훈련을 수행하는 중재 기에서의 평균점수는 훈련을 하지 않았던 초기 기초선에 비해 10.
  •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의 환측 상지 기민성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초선, 중재기와 회귀기초선에 따라 시각적 그래프와 기술 통계량을 통하여 비교하였다.
  • 따라서 상지기능의 잠재 적인 회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지속적인 평가와 치료접근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뇌졸중으로 인해 상지의 기능이 저하되어 일상생활동작들에 제한을 가지고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환자 자신에게 의미 있고 목적 있는 동작들을 관찰하고 모방 하여 훈련하는 동작관찰훈련을 통하여 상지 기민성의 변화를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10초 검사, 뇌졸중 상지기능평가 점수에서 초기 기초선에 비해 동작관찰훈련을 하는 중재기에 증가를 보여 상지 기민성에 동작관찰이 의미 있는 영향을 미쳤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민성이란 무엇인가요? 특히, 이러한 문제들을 일으 키는 상지 기능들 중에 기민성(Dexterity)의 장애가 많이 발생한다. 기민성이란, 자신의 손을 사용하여 물체들을 조작하는 능력 혹은 어떤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작은 물체를 조작하는 세밀하고 자발적인 움직임을 말하며(Backman 등, 1993), 대부분의 일상 생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Lundgren-Nilsson 등, 2005). 최근 이러한 기민성을 포함한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 개선을 위한 재활프로그램으로써 동작관 찰(action observation) 훈련이 제안되었다(Garrison 등, 2010).
발병초기의 뇌졸중 환자가 가지는 운동 조절의 문제로는 무엇이 있나요? 발병초기의 뇌졸중 환자들은 근 약화, 비정상적인 근 긴장, 비정상적인 움직임 패턴, 비정상적인 신체의 균형, 체중을 이동하는 능력의 결함과 섬세한 기능을 수행하는 특수한 운동의 요소의 상실 등으로 인해 운동 조절의 문제를 가지게 된다(Dijkerman 등, 2004). 또한, 상당수는 상지 기능의 감소가 발생 하고 이로 인해 사회적 활동수준의 감소, 일상생활 능력의 제한을 받는다.
연구 대상자인 두개강내 출혈을 보여 뇌졸중 진단을 받은 환자의 도수근력검사와 관절가동범위는 어땠나요? 도수근력검사(Manual Muscle Test; MMT)로 근력을 측정한 결과 어깨 관절 (Shoulder joint)과 팔꿉관절(Elbow Joint)의 움직임 모두 Fair+였고, 손바닥 쥐기와 펴기 모두 Fair 등급을 보였다. 관절가동범위는 어깨관절 굴곡에서 160도로 제한을 보였고, 나머지 관절에서는 제한을 보이지 않았다. 근긴장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Modified Ashworth Scale(MAS)로 평가한 결과 Grade 1+를 나타내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김미영. 뇌졸중 상지 기능 평가에 대한 고찰.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994;2(1):19-26. 

  2. 김연희, 최미숙, 김봉옥. Jebson hand function test에 의한 정상 한국성인의 손기능 평가. 대한재활의학회지. 1984;8(2):109-14. 

  3. 김종만, 양병일, 이문규. 동작관찰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손 조작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10;17(2):17-24. 

  4. 이문규, 김종만. 동작관찰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11;18(2):27-34. 

  5. Ada L, Canning CG, Carr JH, et al. Task-specific training of reaching and manipulation. In: Advances in psychology. North-Holland. 1994:239-265. 

  6. Backman C, Nystrom AB, Jerle P. Arterial spasticity and cold intolerance in relation to time after digital replantation. J Hand Surg Eur Vol. 1993; 18(5):551-55. 

  7. Bobath B. Adult hemiplegia: evaluation and treatment. Butterworth-Heinemann Medical, 1990. 

  8. Buccino G, Binkofski F, Fink GR et al. Action observation activates premotor and parietal areas in a somatotopic manner: an fMRI study. Eur J Neurosci. 2001;13(2):400-04. 

  9. Clark S, Tremblay FS, Te-Marie D. Differential modulation of corticospinal excitability during observation, mental imagery and imitation of hand actions. Neuropsychologia. 2004;42(1):105-12. 

  10. Dijkerman H, Ietswaart M, Johnston M et al. Does motor imagery training improve hand function in chronic stroke patients? A pilot study. Clin Rehabil. 2004;18(5):538-49. 

  11. Dobkin BH. Training and exercise to drive poststroke recovery. Nat Clin Pract Neurol. 2008;4(2):76-85. 

  12. Ertelt D, Small S, Solodkin A et al. Action observation has a positive impact on rehabilitation of motor deficits after stroke. Neuroimage. 2007; 36(T164-T73). 

  13. Ewan LM, Kinmond K, Holmes PS. An observationbased intervention for stroke rehabilitation: experiences of eight individuals affected by stroke. Disabil Rehabil. 2010;32(25):2097-106. 

  14. Garrison KA, Winstein CJ, Aziz-Zadeh L. The mirror neuron system: a neural substrate for methods in stroke rehabilitation. Neurorehabil Neural Repair. 2010;24(5):404-12. 

  15. Haslinger B, Erhard P, Altenmuller E et al. Transmodal sensorimotor networks during action observation in professional pianists. J Cogn Neurosci. 2005;17(2):282-93. 

  16. Hatanaka T, Koyama T, Kanematsu M et al. A new evaluation method for upper extremity dexterity of patients with hemiparesis after stroke: the 10-second tests. Int J Rehabil Res. 2007;30(3): 243. 

  17. Johansson BB. Current trends in stroke rehabilitation. A review with focus on brain plasticity. Acta Neurol Scand. 2011;123(3):147-59. 

  18. Lundgren-Nilsson A, Grimby G, Ring H et al. Cross-cultural validity of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items in stroke: a study using Rasch analysis. J Rehabil Med. 2005;37(1):23-31. 

  19. Mathiowetz V, Volland G, Kashman N et al. Adult norms for the Box and Block Test of manual dexterity. Am J Occup Ther. 1985;39(6):386-91. 

  20. Miyamoto S, Kondo T, Suzukamo Y et al.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anual Function Test in patients with stroke. Am J Phys Med Rehabil. 2009;88(3):247-55. 

  21. Pendleton H, Schultz-Krohn W. Pediatrics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skills for physical dysfunction. London: Mosby, , 2006: Pages. 

  22. Rizzolatti GC, raighero L. The mirror-neuron system. Annu. Rev. Neurosci. 2004;27(169-92). 

  23. Trombly CA, Radomski MV, Trombly et al. Occupational therapy for physical dysfunction.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2. 

  24. Voss DE, Ionta MK, Myers BJ et al.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patterns and techniques. Harper & Row, 198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