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동작관찰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마비측 상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단일사례연구
The Effect of Action Observation on Motor Function of Paretic Upper Extremity in Stroke Patients: Single Subject Study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8 no.2, 2013년, pp.271 - 280  

정우식 (남평노블레스요양병원 물리치료실) ,  윤태원 (씨티재활병원 물리치료실) ,  최연정 (씨티재활병원 물리치료실) ,  이홍균 (동신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chronic hemiplegic patient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training of the ipsilateral arm that is identical to the model performing movements and the training of the contralateral arm on the function of the arm. METHODS: The subjects were participated total 2 pa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동작관찰훈련이 두 명의 만성 뇌졸중 환자의 손 기민성, 상지기능, 일상생활동작 운동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전체 연구기간은 총 4주였으며, 초기 1주일 동안 기초선 측정을 한 후 2주 동안 주 5일, 1일 30분씩 모두 10회 동안 동작관찰훈련을 시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우측 편마비 환자가 우측 상지로 수행하는 동작을 관찰하는 조건과 좌측 편마비 환자가 우측 상지로 수행하는 동작을 관찰하는 조건에 따라 상지 기능의 변화 추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 하지만 아직까지 동작관찰훈련을 통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운동기술을 향상시키고자한 연구에서 마비측을 고려한 연구는 미비하여 본 연구에서는 만성 편마비 환자를 대상으로 마비측 상지와 동일한 방향의 상지로 수행하는 동작을 관찰하는 조건과 마비측 상지와 반대쪽 상지로 수행하는 동작을 관찰하는 조건에서 상지기능 변화 추이를 확인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본 연구 설계는 기초선 회귀과정단계에서 목표행동의 변화가 역전되어야 한다는 것을 가정하는 설계이다. 때로는 목표행동이 영구적인 변화를 보일 경우에는 기초선 회귀과정까지 유지될 수도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동작관찰훈련이 시도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동작관찰훈련은 현재 재활분야에서 기능향상을 위한 방법으로 새로이 시도되고 있다(Garrison 등, 2010). 동작관찰은 다른 사람이 수행하는 활동 또는 영상 속에 등장하는 모델의 활동을 관찰하는 것으로써 관찰된 동작의 실제 수행에 관여하는 신경회로와 동일한 신경회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Rizzolatti 등, 2001).
동작관찰의 기전은 무엇에 이론적 기초를 두고있는가? 동작관찰은 다른 사람이 수행하는 활동 또는 영상 속에 등장하는 모델의 활동을 관찰하는 것으로써 관찰된 동작의 실제 수행에 관여하는 신경회로와 동일한 신경회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Rizzolatti 등, 2001). 이러한 동작관찰의 기전은 동작의 이해와 모방에 관여하는 거울신경세포 시스템(mirror neuron system; MNS)에 이론적 기초를 두고 있다(Small 등, 2010).
동작관찰훈련을 통해 향상되는 것은 무엇인가? 동작관찰훈련은 현재 재활분야에서 기능향상을 위한 방법으로 새로이 시도되고 있다(Garrison 등, 2010). 동작관찰은 다른 사람이 수행하는 활동 또는 영상 속에 등장하는 모델의 활동을 관찰하는 것으로써 관찰된 동작의 실제 수행에 관여하는 신경회로와 동일한 신경회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Rizzolatti 등, 2001). 이러한 동작관찰의 기전은 동작의 이해와 모방에 관여하는 거울신경세포 시스템(mirror neuron system; MNS)에 이론적 기초를 두고 있다(Small 등,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laerts K, Heremans E, Swinnen SP et al. How are observed actions mapped to the observer's motor system? Influence of posture and perspective. Neuropsychologia. 2009;47(2):415-22. 

  2. Bellelli G, Buccino G, Bernardini B et al. Action observation treatment improves recovery of postsurgical orthopedic patients: evidence for a top-down effect? Arch Phys Med Rehabil. 2010;91(10):1489-94. 

  3. Bobath B. Adult hemiplegia: evaluation and treatment. Butterworth-Heinemann Oxford. 1990. 

  4. Buccino G, Binkofski F, Fink GR et al. Action observation activates premotor and parietal areas in a somatotopic manner: an fMRI study. Eur J Neurosci. 2001;13(2):400-4. 

  5. Carr JH, Shepherd RB. Stroke rehabilitation. Elsevier Health Sciences. 2003. 

  6. Celnik P, Webster B, Glasser DM et al. Effects of action observation on physical training after stroke. Stroke. 2008;39(6):1814-20. 

  7. Dobkin BH. Training and exercise to drive poststroke recovery. Nat Clin Pract Neurol. 2008;4(2):76-85. 

  8. Ertelt D, Small S, Solodkin A et al. Action observation has a positive impact on rehabilitation of motor deficits after stroke. Neuroimage. 2007;36(2):164-73. 

  9. Fadiga L, Fogassi L, Pavesi G et al. Motor facilitation during action observation: a magnetic stimulation study. J Neurophysiol. 1995;73(6):2608-11. 

  10. Fogassi L, Ferrari PF, Gesierich B et al. Parietal lobe: from action organization to intention understanding. Science. 2005;308(5722):662-7. 

  11. Gallese V, Fadiga L, Fogassi L et al. Action recognition in the premotor cortex. Brain. 1996;119(2):593-609. 

  12. Garrison KA, Winstein CJ, Aziz-Zadeh L. The mirror neuron system: a neural substrate for methods in stroke rehabilitation. Neurorehabil Neural Repair. 2010;24(5):404-12. 

  13. Kilner JM, Marchant JL, Frith CD. Relationship between activity in human primary motor cortex during action observation and the mirror neuron system. PLoS One. 2009;4(3):e4925. 

  14. Kim JM, Yang BI, Lee MK. The effect of action observational physical training on manual dexterity in stroke patients. Physical therapy korea. 2010;17(2):17-24. 

  15. Kim TH, Park SB. Differences in operating mechanism of action obsevation as task difficulty.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2007;46(3):127-34. 

  16. Lee MK, Kim JM. The effect of action observational training on arm function in people with stroke. Physical therapy korea. 2011;18(2):27-34. 

  17. Miyamoto S, Kondo T, Suzukamo Y et al.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anual function test in patients with stroke. Am J Phys Med Rehabil. 2009;88(3):247-55. 

  18. Muthukumaraswamy SD, Johnson BW, McNair NA. Mu rhythm modulation during observation of an object-directed grasp. Brain Res Cogn Brain Res. 2004;19(2):195-201. 

  19. Nishitani N, Hari R. Temporal dynamics of cortical representation for action. Proc Natl Acad Sci U S A. 2000;97(2):913-8. 

  20. Pellegrino di G, Fadiga L, Fogassi L et al. Understanding motor events: a neurophysiological study. Exp Brain Res. 1992;91(1):176-80. 

  21. Pelosin E, Avanzino L, Bove M et al. Action observation improves freezing of gait in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Neurorehabil Neural Repair. 2010;24(8):746-52. 

  22. Platz T, Pinkowski C, Van Wijck F et al.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rm function assessment with standardized guidelines for the Fugl-Meyer Test, Action Research Arm Test and Box and Block Test: a multicentre study. Clin Rehabil. 2005;19(4):404-11. 

  23. Rizzolatti G, Camarda R, Fogassi L et al. Functional organization of inferior area 6 in the macaque monkey. Exp Brain Res. 1988;71(3):491-507. 

  24. Rizzolatti G, Craighero L. The mirror-neuron system. Annu Rev Neurosci. 2004;27:169-92. 

  25. Rizzolatti G, Fadiga L, Gallese V et al. Premotor cortex and the recognition of motor actions. Brain Res Cogn Brain Res. 1996;3(2):131-41. 

  26. Rizzolatti G, Fogassi L, Gallese V. Neurophysiological mechanisms underlying the understanding and imitation of action. Nature Reviews Neuroscience. 2001;2(9):661-70. 

  27. Small SL, Buccino G, Solodkin A. The mirror neuron system and treatment of stroke. Dev Psychobiolo. 2010;54(3):293-310. 

  28. Uswatte G, Taub E, Morris D et al.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upper-extremity Motor Activity Log-14 for measuring real-world arm use. Stroke. 2005;36(11):2493-6. 

  29. Yang YP, Kim JH, Han MR et al. The effect of action observation training on affected side upper limb dexterity in stroke patient: single-subject research desig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2012;7(1):111-8. 

  30. Yun TW. The effect on mirror neuron system during action observation in chronic stroke patients through applying tDCS. Dong-Shin University. 2011. 

  31. Yun TW, Lee MK. The change of mu rhythm during action observation in people with strok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2011;6(3):36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