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2 no.4, 2012년, pp.510 - 51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interactions and affective factors are influencing on-line English Grammar courses of higher education. This study addressed the following questions: (1) How are the interactions going in on-line English Grammar courses? (2) Are affective factors influ...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이러닝은 어떠한 이유 때문에 비판을 받아왔는가? | 또한 다양한 학습자에게 학습자의 편에서 참여의 가능성을 넓혀 주었으며, 구성주의 교육의 발달과 함께 교육의 효율성을 높이는데 큰 역할을 해오고 있다. 그러나 이러닝은 이러한 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학습자들에게 사회성을 제공하지 않으며 교실수업의 장점을 갖고 있지 못하다는 이유 때문에 비판을 받아왔다[2]. 면대면 수업이 아닌 온라인 수업에서는 학습자의 역할과 경험, 정의적 요인이 반영되지 못한다는 사실이 가장 큰 이유로 보인다. | |
이러닝의 구성요소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 이러닝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콘텐츠 개발 및 운영, 학습자 관리와 지원 서비스, 행정, 인적자원, 연구의 다섯 가지를 들 수 있다. 외형적인 구성체제와 내적인 구성을 구별해보면, 외적으로 콘텐츠, 교육시설 및 인프라, 지원체제, 관리 및 운영, 그리고 인적자원으로 나눌 수 있다. | |
이러닝의 교육적 효과로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 이러닝은 기존의 교실수업에서 교사와 학생이 얼굴을 마주하고 하는 면대면 수업방식과는 달리 학습자와 교수자에게 댜양한 편의성과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온라인 강의의 교육적 효과를 보면[1], 첫째, 언제 어디서나 학습이 가능하므로 공간과 시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다. 둘째, 다양한 멀티미디어를 통합하여 흥미 있는 학습을 가능하게 한다. 셋째,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학습을 할 수 있다. 넷째, 다양한 의사소통 채널을 통한 상호작용이 가능하며, 이메일, 게시판, 실시간 채팅, 등 다양한 방식의 교수-학습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섯째, 협력학습을 통하여 학습자들의 사회적, 협력적 능력을 키울 수 있다. 여섯째, 수업내용과 과제물, 토론 내용 등이 저장되고 수업 자료들이 기록으로 남아서 다음 학기에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장점들이 있다. |
이경순, 한승연, 김재은, "대학에서의 이러닝: 배려하는 교수, 생각하는 학생을 위한 수업 아이디어",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보고 RR 2008-5, pp.1-115, 2008.
J. Bersin and Associates, Blended Learning: What Works? Oakland, CA: Bersin & Association, 2003.
C. D. Dziuban, J. L. Hartman, and P. D. Moskal, "Blended Learning," Educause Center for Applied Research. Vol.7, pp.1-12, 2004.
U.S. Departmet of Education, Office of Planning, Evaluation, and Policy Development, "Evalua tion of Evidence-Based Practices in Online Learning: A Meta-Analysis and Review of Online Learning Studies," pp.1-94, 2010.
박성익, 교수학습방법의 이론과 실제 (II), 서울: 교육교학사, 1997.
이인숙, e 러닝: 사이버 공간의 새로운 패러다임, 서울: 문음사, 2002.
김덕중, "e-Learning Contents의 기술적 이해", E-Learning +, No.9, pp.64-71, 2002.
임낙권, 이혜영, "3차원 다중 사용자 온라인 게임 기반 강의 시스템",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 Vol.16, No.1, pp.21-27, 2010.
임병노, 임정훈, 정인성, "전국 일반대학의 사이버교육 운영실태와 질관리 현황분석", 교육학연구, Vol.41, No.3, pp.541-569, 2003.
임병노, 이준, 임정훈, "고등교육 e-러닝 현황조사 분석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보고 KR2006-2, pp.1-177, 2006.
양영선, 최정임, "대학에서의 가상교육 운영을 위한 요구분석: Keogkr의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정보방송학회, Vol.9, No.4, pp.33-72, 2003.
N. Christou, "A Study of Students' Learning Styles, Discipline Attitudes and Knowledge Acquisition in Technology-Enhanced Probability and Statistics Education," MERLOT Journal of Online Learning and Teaching, Vol.6, No.3, pp.546-572, 2010.
이장익, "대학교육의 정보화: 환상에서 현실로의 연계를 위한 관점들", 정보화정책, Vol.11, No.4, pp.86-95, 2004.
유평준, "원격대학원 온라인 수업의 학습참여도, 학습성취도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학습자 관련 변인", 교육정보방송연구, Vol.9, No.4, pp.229-268, 2003.
김동일, 한안나, "대학에서의 온라인 수업 유형 분석 서울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사대논총, 제66집, pp.1-22, 2003.
신나민, "원격현존감과 인터페이스에 대한 지각이 학습자의 사이버강좌 평가 및 학습활동에 미치는 영향", 교육공학연구, Vol.2, No.3, pp.27-42, 2005.
신종호, 박인우, 김동일, "e-러닝에서의 학업성취도 영향요인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보고 KR 2005-35, pp.1-186, 2005.
D. Siegle, "Encouraging online bulletin board participation," Academic Exchange Quarterly, Vol.6, No.1, pp.120-125, 2002.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