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온라인 대학영문법 강의에서 상호작용과 정의적 요인이 교육효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teractions and Affective Factors in On-line English Grammar Courses of High Educatio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2 no.4, 2012년, pp.510 - 519  

박덕재 (광운대학교 인문대학 영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온라인 대학영문법 강의에서 의사소통을 통한 상호작용과 정의적 요소가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다음 두 가지 연구 질문을 갖는데 첫째, 온라인 영문법 강의에서는 상호작용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가? 둘째, 정의적 요소가 온라인 영문법 강의의 교육효과에 영향을 주고 있는가? 이다. 이 문제를 알아보기 위해서 K 대학교 영문법 온라인 강의 수강생 170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300명 수강생의 강의에 대한 평가 답변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부분을 발견할 수 있었다. 부정적인 답변이 17%이고 반면에 긍정적인 견해는 49.3%, 중간입장은 33.3% 였다. 면대면 수업이 아니기 때문에 발생하는 온라인 강의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즉각적인 피드백과 Q&A 게시판을 통하여 상호작용을 활성화시킬 수 있고 정의적 거리감도 해결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알 수 있었다. 온라인 강의로 인한 부정적인 문제는 단지 혼합교육(blended learning)이라는 새로운 방법으로 대치하기보다는 이론적인 기반과 잘 계획된 프로그램의 온라인 강의가 최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예상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interactions and affective factors are influencing on-line English Grammar courses of higher education. This study addressed the following questions: (1) How are the interactions going in on-line English Grammar courses? (2) Are affective factors influ...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대학에서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이러닝 수업 현장을 통하여 학습자와 교수자간의 의사소통과 학습자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정의적 요소의 역할을 연구하고자 한다. 현재 대학교육에서 교양영어나 영어청취, 독해, 영작문 등의 과목들이 온라인 수업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고 동기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7].
  • 별도의 수업운영전략을 활용하여야 할 것 이라는 제언[16]처럼 교수자의 역할이 단순한 지식 전달의 역할이 아니라 학습자들의 입장에서 동기를 유발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에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면 대 면이 아닌 환경에서 게시판 토론을 유도하고, 이메일로 수업참여를 독려하고, 조교를 활용하여 지속적인 수업참여를 체크하는 것이 한계가 있다는 것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게 되었다. 교육환경은 교수자-학습자가 면대면 수업을 할 수 있는 교육공간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강의의 문제점을 보안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인 블렌디드 러닝의 활용이 문제 해결을 위한 최선의 방안이 아님을 사례를 통하여 밝혔으며, 그 대신에 온라인 강의의 교육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특히 온라인 학습자의 입장에서 정의적인 요소와 학습전략에 관한 부분을 어느 정도 인식하고 수업에 참여하는지를 살펴보았으며, 의사소통을 통한 상호작용이 원활하게 진행되기 위한 방법으로 교수자의 역할과 제도적인 장치가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강의의 문제점을 보안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인 블렌디드 러닝의 활용이 문제 해결을 위한 최선의 방안이 아님을 사례를 통하여 밝혔으며, 그 대신에 온라인 강의의 교육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특히 온라인 학습자의 입장에서 정의적인 요소와 학습전략에 관한 부분을 어느 정도 인식하고 수업에 참여하는지를 살펴보았으며, 의사소통을 통한 상호작용이 원활하게 진행되기 위한 방법으로 교수자의 역할과 제도적인 장치가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특히 언어교육에서는 즉각적인 피드백이 매우 중요하므로 학습자의 학습동기를 유발시킬 수 있는 상호작용이 강조되어야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강의이므로 학습자들과의 직접 인터뷰가 어려운 상황이므로 강의 게시판과, 강의 평가 그리고 설문 조사를 통하여 학습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앞서 K대학에서 실시한 블렌디드 러닝 강의 결과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단순히 온라인 강의의 문제점이 블렌디드 러닝으로 해소될 수 있으리라는 대체안은 적절한 해답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가설 설정

  • 첫째, 언어교육인 온라인 영문법 강의가 의사소통을 통한 상호작용이 교육효과에 영향을 주고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러닝은 어떠한 이유 때문에 비판을 받아왔는가? 또한 다양한 학습자에게 학습자의 편에서 참여의 가능성을 넓혀 주었으며, 구성주의 교육의 발달과 함께 교육의 효율성을 높이는데 큰 역할을 해오고 있다. 그러나 이러닝은 이러한 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학습자들에게 사회성을 제공하지 않으며 교실수업의 장점을 갖고 있지 못하다는 이유 때문에 비판을 받아왔다[2]. 면대면 수업이 아닌 온라인 수업에서는 학습자의 역할과 경험, 정의적 요인이 반영되지 못한다는 사실이 가장 큰 이유로 보인다.
이러닝의 구성요소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이러닝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콘텐츠 개발 및 운영, 학습자 관리와 지원 서비스, 행정, 인적자원, 연구의 다섯 가지를 들 수 있다. 외형적인 구성체제와 내적인 구성을 구별해보면, 외적으로 콘텐츠, 교육시설 및 인프라, 지원체제, 관리 및 운영, 그리고 인적자원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닝의 교육적 효과로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이러닝은 기존의 교실수업에서 교사와 학생이 얼굴을 마주하고 하는 면대면 수업방식과는 달리 학습자와 교수자에게 댜양한 편의성과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온라인 강의의 교육적 효과를 보면[1], 첫째, 언제 어디서나 학습이 가능하므로 공간과 시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다. 둘째, 다양한 멀티미디어를 통합하여 흥미 있는 학습을 가능하게 한다. 셋째,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학습을 할 수 있다. 넷째, 다양한 의사소통 채널을 통한 상호작용이 가능하며, 이메일, 게시판, 실시간 채팅, 등 다양한 방식의 교수-학습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섯째, 협력학습을 통하여 학습자들의 사회적, 협력적 능력을 키울 수 있다. 여섯째, 수업내용과 과제물, 토론 내용 등이 저장되고 수업 자료들이 기록으로 남아서 다음 학기에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장점들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이경순, 한승연, 김재은, "대학에서의 이러닝: 배려하는 교수, 생각하는 학생을 위한 수업 아이디어",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보고 RR 2008-5, pp.1-115, 2008. 

  2. J. Bersin and Associates, Blended Learning: What Works? Oakland, CA: Bersin & Association, 2003. 

  3. C. D. Dziuban, J. L. Hartman, and P. D. Moskal, "Blended Learning," Educause Center for Applied Research. Vol.7, pp.1-12, 2004. 

  4. U.S. Departmet of Education, Office of Planning, Evaluation, and Policy Development, "Evalua tion of Evidence-Based Practices in Online Learning: A Meta-Analysis and Review of Online Learning Studies," pp.1-94, 2010. 

  5. 박성익, 교수학습방법의 이론과 실제 (II), 서울: 교육교학사, 1997. 

  6. 이인숙, e 러닝: 사이버 공간의 새로운 패러다임, 서울: 문음사, 2002. 

  7. 조수근, 김주혜, 이정화, "온라인 영작문 강의에서 상호작용을 활성화시키는 방안에 대한 연구", Linguistic Research, Vol.27, No.1, pp.19-39, 2010. 

  8. 김덕중, "e-Learning Contents의 기술적 이해", E-Learning +, No.9, pp.64-71, 2002. 

  9. 임낙권, 이혜영, "3차원 다중 사용자 온라인 게임 기반 강의 시스템",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 Vol.16, No.1, pp.21-27, 2010. 

  10. 임병노, 임정훈, 정인성, "전국 일반대학의 사이버교육 운영실태와 질관리 현황분석", 교육학연구, Vol.41, No.3, pp.541-569, 2003. 

  11. 임병노, 이준, 임정훈, "고등교육 e-러닝 현황조사 분석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보고 KR2006-2, pp.1-177, 2006. 

  12. 양영선, 최정임, "대학에서의 가상교육 운영을 위한 요구분석: Keogkr의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정보방송학회, Vol.9, No.4, pp.33-72, 2003. 

  13. N. Christou, "A Study of Students' Learning Styles, Discipline Attitudes and Knowledge Acquisition in Technology-Enhanced Probability and Statistics Education," MERLOT Journal of Online Learning and Teaching, Vol.6, No.3, pp.546-572, 2010. 

  14. 이장익, "대학교육의 정보화: 환상에서 현실로의 연계를 위한 관점들", 정보화정책, Vol.11, No.4, pp.86-95, 2004. 

  15. 유평준, "원격대학원 온라인 수업의 학습참여도, 학습성취도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학습자 관련 변인", 교육정보방송연구, Vol.9, No.4, pp.229-268, 2003. 

  16. 김동일, 한안나, "대학에서의 온라인 수업 유형 분석 서울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사대논총, 제66집, pp.1-22, 2003. 

  17. 신나민, "원격현존감과 인터페이스에 대한 지각이 학습자의 사이버강좌 평가 및 학습활동에 미치는 영향", 교육공학연구, Vol.2, No.3, pp.27-42, 2005. 

  18. 신종호, 박인우, 김동일, "e-러닝에서의 학업성취도 영향요인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보고 KR 2005-35, pp.1-186, 2005. 

  19. D. Siegle, "Encouraging online bulletin board participation," Academic Exchange Quarterly, Vol.6, No.1, pp.120-125,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