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i 및 Mg 이온이 교환된 biphasic calcium phosphate 분말의 생체활성 거동
Bioactivity behavior of Si and Mg ion-substituted biphasic calcium phosphate powders 원문보기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crystal growth and crystal technology, v.22 no.2, 2012년, pp.92 - 98  

김태완 (부산대학교 재료공학부) ,  김동현 (부산대학교 재료공학부) ,  진형호 (부산대학교 재료공학부) ,  이헌수 (대구공업대학교 전기전자계열) ,  박홍채 (부산대학교 재료공학부) ,  윤석영 (부산대학교 재료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온이 첨가된 BCP(biphasic calcium phosphate) 분말을 제조하기 위하여 $Ca(NO_3)_2{\cdot}4H_2O$, $(NH_4)_2HPO_4$를 출발 물질로 공침법(co-precipitation process)을 이용하여 합성하였다. Si-BCP 합성을 위하여 TEOS를 Mg-BCP 합성을 위해서는 $Mg(NO_3)_2{\cdot}6H_2O$를 사용하였다. 합성된 분말의 열처리 후 결정상을 분석한 결과 HAp와 ${\beta}$-TCP가 혼재된 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분광학적 분석에서도 인산칼슘의 $PO^{3-}_4$$OH^-$ 그룹에 해당하는 밴드도 관찰되었다. 이온이 첨가된 BCP 분말의 생체활성 거동을 평가하기 위하여 Hanks' Balanced Salt Solution(HBSS)에 침적시켜 시간에 따라 형상의 변화 및 결정상을 분석한 결과, 두 샘플 모두에서 빠른 표면 활성을 나타내었다. 세포 성장률 평가에서도 대조군에 비하여 세포성장률이 우수함을 관찰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o-precipitation technique has been applied to synthesize biphasic calcium phosphate (BCP). $Ca(NO_3)_2{\cdot}4H_2O$, $(NH_4)_2HPO_4$, TEOS and $Mg(NO_3)_2{\cdot}6H_2O$ as the starting materials was used. After the heat treatment of powder crystalline phases HAp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8은 합성된 이온 첨가 BCP분말의 MTT assay 결과이다. DMEM 배지에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은 샘플을 대조군으로 설정하여 Si-BCP, Mg-BCP 분말을 첨가한 샘플과의 MG-63 세포의 성장률을 비교하여 ELISA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reader(Wallac 1420, USA)를 통해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1주 후 대조군에 비하여 이온이 첨가된 BCP 분말의 세포의 성장률이 높으며, 또한 Mg-BCP의 경우 Si-BCP의 세포 성장률이 1주, 2주까지 높은 것으로 나타나 Mg 이온이 생체 조직에서 활성을 증가시키는 물질임을 판단할 수 있었다.
  • 5℃의 인큐베이터에서 침적 테스트하였으며, 일정한 이온 농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HBSS를 2일마다 교환해주었다. HBSS 침적 후의 시간에 따른 표면 형상의 변화 및 표면의 결정성 변화를 XRD 및 SEM을 통하여 관찰하였다.
  • MTT assay는 cell을 penicillin (100 units/ml), streptomycin(100 µg/ml) solution과 10%우태아 혈청(fetal bovine serum; FBS, Gibco, USA)이 포함된 Dulbeco’s Modified Eagle’s Medium(DMEM, Gibco, USA) 배지를 사용하여 5% CO2, 37℃ 배양기에서 배양시켜 사용하였다.
  • Si-BCP 분말을 제조하기 위하여 Ca/(P + Si)의 몰 비율을 1.602로 고정하여 TEOS를 2.6 mM 첨가하여 가수분해 시키고, 가수분해 된 수용액에 Ca(NO3)2 · 4H2O와 (NH4)2HPO4을 각각 첨가하였다.
  • 또한 Mg-BCP 분말을 제조하기 위하여 (Ca + Mg)/P를 1.602로 고정하여 Mg(NO3)2 · 6H2O를 1.8 mM 첨가하여 수용액을 제조한후 제조된 용액에 Ca(NO3)2 · 4H2O와 (NH4)2HPO4을 각각 첨가하였다.
  • 또한 생체활성 거동을 평가하기 위하여 Hanks’ Balanced Salt Solution(HBSS)에 침적시켜 시간에 따른 BCP분말의 표면 활성 및 결정상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 제조된 수용액을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시효 처리(Aging)하였다. 반응생성물의 여과 및 미 반응물을 제거하기 위해 증류수로 수회 반복적으로 수세하고, 여분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80℃로 고정된 건조기에서 24시간 건조하였다. 건조된 분말을 분쇄하여, 1000℃에서 2시간 동안 열처리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BCP 조직 내에 생체 활성을 향상 시키는 Si 이온과, Mg 이온을 각각 첨가하여 Si-BCP, Mg-BCP 분말을 공침법을 이용하여 합성하였다. 합성된 분말의 결정학적 특성 및 화학적 결합 거동을 측정하기 위하여 XRD 및 FT-IR을 통하여 X-선 회절 분석 및 적외선 분광분석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Si, Mg 이온이 각각 첨가된 BCP 분말을 공침법을 이용하여 합성하였다. 합성된 분말의 열처리 전 후의 X-선 회절 패턴과 FT-IR의 분광학적 특성을 관찰한 결과 Si-BCP 분말의 경우 Si 이온 첨가의 영향으로 낮은 HAp의 결정성을 나타내었으며, Mg-BCP 분말의 경우 Si-BCP 분말에 비하여 높은 결정성의 HAp 피크를 관찰할 수 있었다.
  • 분말의 생체활성 거동을 비교 평가하기 위해 제조한 분말을 Hanks’ Balanced Salt Solution(HBSS; SigmaAldrich, Japan)에서 1주, 2주, 3주간 36.5℃의 인큐베이터에서 침적 테스트하였으며, 일정한 이온 농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HBSS를 2일마다 교환해주었다.
  • 열처리에 따른 탈수 축합 거동을 분석하기 위하여 주파수 400~4000 cm−1 범위에서 FT-IR(Nicolet Magna IR 560, USA)측정하였다. 분말의 형상을 관찰하기 위하여 Osmium 코팅 후 SEM(HITACHI S-4800, Japan)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이온 첨가 유무를 확인하기 EDS-mapping하여 관찰하였다.
  • 열처리에 따른 탈수 축합 거동을 분석하기 위하여 주파수 400~4000 cm−1 범위에서 FT-IR(Nicolet Magna IR 560, USA)측정하였다.
  • 우선 24 well에 MG-63 1 × 104개를 분주하고, 24시간 뒤에 새 배지로 교체 후 시료를 1 mg/ml로 처리하였다.
  • 제조된 Si와 Mg가 첨가된 BCP분말의 열처리 전 후의 결정상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X-선 회절분석장치(XRD, D/max-IIA, Rigaku, Japan)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측정조건은 CuKα, 30 kV, 25 mA, scanning speed 1o/min, 0.
  • 각각의 제조된 수용액에 NH3(Junsei chemical, Japan)를 적가하여 pH를 11로 조절하였다. 제조된 수용액을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시효 처리(Aging)하였다. 반응생성물의 여과 및 미 반응물을 제거하기 위해 증류수로 수회 반복적으로 수세하고, 여분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80℃로 고정된 건조기에서 24시간 건조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BCP 조직 내에 생체 활성을 향상 시키는 Si 이온과, Mg 이온을 각각 첨가하여 Si-BCP, Mg-BCP 분말을 공침법을 이용하여 합성하였다. 합성된 분말의 결정학적 특성 및 화학적 결합 거동을 측정하기 위하여 XRD 및 FT-IR을 통하여 X-선 회절 분석 및 적외선 분광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생체활성 거동을 평가하기 위하여 Hanks’ Balanced Salt Solution(HBSS)에 침적시켜 시간에 따른 BCP분말의 표면 활성 및 결정상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 데이터

  • 각각의 이온을 첨가하기 위하여 Si-BCP 분말은 Si(OC2H5)4(TEOS(tetraethly orthosilicate))(Sigma Aldrich)를 Mg-BCP 분말은 Mg(NO3)2 · 6H2O(Junsei chemical, Japan)를 사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 이온이 첨가된 BCP 분말을 제조하기 위하여 출발물질로 Ca(NO3)2 · 4H2O(Junsei chemical, Japan), (NH4)2HPO4(Junsei chemical, Japan)를 사용하였고, 제조공정으로 공침법(co-precipitation process)을 이용하였다.

이론/모형

  • 또한 생체활성 거동을 평가하기 위하여 Hanks’ Balanced Salt Solution(HBSS)에 침적시켜 시간에 따른 BCP분말의 표면 활성 및 결정상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각각의 분말의 세포와의 친화력을 평가를 위하여 MTT assay를 시행하였다.
  • 합성한 분말의 세포와의 친화력을 비교 평가하기 위하여 Human osteosarcoma cell line인 MG-63을 이용하여 MTT assay를 실시하였다. MTT assay는 cell을 penicillin (100 units/ml), streptomycin(100 µg/ml) solution과 10%우태아 혈청(fetal bovine serum; FBS, Gibco, USA)이 포함된 Dulbeco’s Modified Eagle’s Medium(DMEM, Gibco, USA) 배지를 사용하여 5% CO2, 37℃ 배양기에서 배양시켜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i 이온은 어떤 성장의 필수적인 요소인가? 이러한 이온들 중 Si 이온은 뼈 성장에 작용하는 생물학적 과정에 필수적인 요소이며, Si 이온이 첨가된 인산칼슘계 생체재료는 생체활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2]. Si-HAp의 경우 세포실험에서 골아 세포의 활성을 증가시키며, 인체 내에서 분해 속도를 빠르게 한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었다[13-15].
인산칼슘계 세라믹은 어떤 일을 하는가? 다양한 원소가 쉽게 치환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인산칼슘계 세라믹은 인체 이식 후 인산칼슘계 세라믹 내에 치환된 여러 가지 이온 성분이 골 조직과의 작용에 의해 골 형성을 촉진한다[7, 8]. 이러한 이온이 첨가된 인산칼슘에서 이온의 종류나 첨가되는 농도는 wt%에서 ppm 단위까지 다양하다[9, 10].
공침법을 이용한 Si-BCP, Mg-BCP 분말의 결정학적 특성 및 화학적 결합 거동을 측정하기 위해 적용한 분석법은? 본 연구에서는 BCP 조직 내에 생체 활성을 향상 시키는 Si 이온과, Mg 이온을 각각 첨가하여 Si-BCP, Mg-BCP 분말을 공침법을 이용하여 합성하였다. 합성된 분말의 결정학적 특성 및 화학적 결합 거동을 측정하기 위하여 XRD 및 FT-IR을 통하여 X-선 회절 분석 및 적외선 분광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생체활성 거동을 평가하기 위하여 Hanks’ Balanced Salt Solution(HBSS)에 침적시켜 시간에 따른 BCP분말의 표면 활성 및 결정상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K. de Groot, "Clinical applications of calcium phosphate biomaterials; A review", Ceram. Int. 19 (1993) 363. 

  2. M. Jarcho, "Biological aspects of calcium phosphates: Properties and applications", Dent. Clin. North. Am. 30 (1986) 25. 

  3. R.W. Bucholz, A. Carlton and R.E. Holmes, "Hydroxyapatite and tricalcium phosphate bone graft substitutes", Orthop. Clin. North. Am. 18 (1987) 323. 

  4. L.L. Hench, "Bioceramics", J. Am. Ceram. Soc. 81 (1998) 1705. 

  5. S. Yamada, D. Heyman, J.K. Bouler and G. Daculsi, "Osteoclastic resorption of calcium phosphate ceramics with different hydroxyapatite/ $\beta$ -tricalcium phosphate ratios", Biomaterials 18 (1997) 1037. 

  6. J.M. Bouler, R.Z. LeGeros and G. Daculsi, "Biphasic calcium phosphates: Influence of three synthesis parameters on the HA/ $\beta$ -TCP ratio", J. Biomed. Mater. Res. A 51 (2000) 680. 

  7. S.G. Dahl, P. Allain, P.J. Marie, Y. Mauras, G. Boivin, P. Ammann, Y. Tsouderos, P.D. Delmas and C. Christiansen, "Incorporation and distribution of strontium in bone", Bone 28 (2001) 446. 

  8. R.S. Lee, M.V. Kayser and S.Y. Ali, "Calcium phosphate microcrystal deposition in the human intervertebral disc", J. Anat. 208 (2006) 13. 

  9. N.C. Blumenthal, F. Betts and A.S. Posner, "Precipitation of calcium phosphates from electrolyte solutions III. Radiometric studies of the kinetics of precipitation and aging of calcium phosphates", Calcif. Tissue. Int. 18 (1975) 81. 

  10. A. Bigi, G. Cojazzi, S. Panzavolta, A. Ripamonti, N. Roveri, M. Romanello, K. Noris Suarez and L. Moro, "Chemical and structural characterization of the mineral phase from cortical and trabecular bone", J. Inorg. Biochem. 68 (1997) 45. 

  11. R.Z. Le Geros, "Calcium phosphates in oral biology and medicine", Monogr. Oral. Sci. 15 (1991). 

  12. I.R. Gibson, S.M. Best and W. Bonfield, "Chemical characterization of silicon-substituted hydroxyapatite", J. Biomed. Mater. Res. A. 44 (1999) 422. 

  13. N. Patel, S.M. Best, W. Bonfield, I.R. Gibson, K.A. Hing, E. Damien and P.A. Revell, "Novel bioresorbable and bioactive composites based on bioactive glass and polylactide foams for bone tissue engineering", J. Mater. Sci. Mater. Med. 13 (2002) 1199. 

  14. A.E. Porter, N. Patel, J.N. Skepper, S.M. Best and W. Bonfield, "Effect of sintered silicate-substituted hydroxyapatite on remodelling processes at the bone-implant interface", Biomaterials 25 (2004) 3303. 

  15. C.W. Song, T.W. Kim, D.H. Kim, H.C. Park and S.Y. Yoon,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silicon ion substituted biphasic calcium phosphate", J. Kor. Cry. Grow. Cry. Tech. 20 (2010) 243. 

  16. K.J. Lilley, U. Gbureck, J.C. Knowles, D.F. Farrar and J.E. Barralet, "Cement from magnesium substituted hydroxyapatite", J. Mater. Sci. Mater. Med. 16 (2005) 455. 

  17. W.L. Suchanek, K. Byrappa, P. Shuk, R.E. Riman, V.F. Janas and K.S. TenHuisen, "Effect of sintered silicatesubstituted hydroxyapatite on remodelling processes at the bone-implant interface", Biomaterilas 25 (2004) 4647. 

  18. I. Cacciotti, A. Bianco, M. Lombardi and L. Montanaro, "Mg-substituted hydroxyapatite nanopowders: Synthesis, thermal stability and sintering behaviour", J. Eur. Ceram. Soc. 29 (2009) 2969. 

  19. H.S. Lee, T.W. Kim, D.H. Kim, H.C. Park and S.Y. Yoon, "Suitability evaluation of magnesium substituted biphasic calcium phosphates prepared by coprecipitation method", J. Kor. Cry. Grow. Cry. Tech. 20 (2010) 237. 

  20. I. Cacciotti and A. Bianco, "High thermally stable Mgsubstituted tricalcium phosphate via precipitation", Ceram. Intern. 37 (2011) 127. 

  21. S.R. Kim, J.H. Lee, Y.T. Kim, D.H. Riu, S.J. Jung, Y.J. Lee, S.C. Chung and Y.H. Kim, "Synthesis of Si, Mg substituted hydroxyapatites and their sintering behaviors", Biomaterials 24 (2003) 1389. 

  22. I.R. Gibson, I. Rehman, S.M. Best and W. Bonfield, "Characterization of the transformation from calciumdeficient apatite to $\beta$ -tricalcium phosphate", J. Mater. Sci. Mater. Med. 12 (2000) 799. 

  23. J. Pena and M. Vallet-Regi, "Hydroxyapatite, tricalcium phosphate and biphasic materials prepared by a liquid mix technique", J. Eur. Ceram. Soc. 23 (2003) 1687. 

  24. A. Mortier, J. Lemaitre and P.G. Rouxhet, "Temperatureprogrammed characterization of synthetic calcium-deficient phosphate apatites", Thermochimica Acta 143 (1989) 265. 

  25. S. Kannan, I.A.F. Lemos, J.H.G. Rocha and J.M.F. Ferreira,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magnesium substituted biphasic mixtures of controlled hydroxyapatite/ $\beta$ -tricalcium phosphate ratios", J. Solid. State. Chem. 178 (2005) 3190. 

  26. L.H. Long, L.D. Chen, S.Q. Bai, J. Chang and K.L. Lin, "Preparation of dense $\beta-CaSiO_{3}$ ceramic with high mechanical strength and HAp formation ability in simulated body fluid", J. Eur. Ceram. Soc. 26 (2006) 1701. 

  27. C.W. Song, T.W. Kim, D.H. Kim, H.H. Jin, K.H. Hwang, J.K. Lee, H.C. Park and S.Y. Yoon, "In situ synthesis of silicon-substituted biphasic calcium phosphate and their performance in vitro", J. Phys. Chem. solid. 73 (2012) 3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