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동주택관리상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위탁관리업 종사자의 의견조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Housing Management - Focused on the Worker's Opinions of Management -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23 no.2, 2012년, pp.79 - 87  

이영애 (우리관리(주)주거문화연구소) ,  김정인 (우리관리(주)주거문화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ffer improvements, by deriving practical problems and suggesting ways to improve more realistic solutions in the multi-family housing management industry. This study is conducted in two ways. First, it was performed by reviewing related previous studies and clarify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공동주택관리 업계의 문제에 대해 현실적인 해결방안을 제시하고자 이론적 고찰을 통해 공동주택관리 주요 문제점을 정리하고, 업계종사자들이 실질적으로 체감하고 있는 공동주택관리 문제점은 무엇인지 의식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결과에 대한 요약과 결론은 다음과 같다.
  • 업계종사자의 의견조사에서는 정리된 주요 문제점을 가지고 설문문항을 작성하여 위탁관리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업계종사자들은 무엇을 가장 심각하게 생각하는지 알아보았다. 위탁관리업 종사자들은 관리계약을 체결한 주택관리업체에서 파견되어 관리업무 일체를 위임받아 수행하는 관리업체 소속 직원으로서 관리소장직, 관리직, 경리직, 기술직, 보안직, 미화직 등을 모두 포함한다.
  • 이에 본 연구는 공동주택관리 업계의 실질적인 문제를 재조명하기 위하여 지금까지 나타난 업계의 주요 문제점에 대해 업계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체감하고 있는 주요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방안을 제안함으로서 좀 더 현실적인 해결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특히 관리소장이외의 종사자 의견이 수렴된 경우는 거의 없다. 제도에 대한 다양한 개선방안이 수차례 거론되었으나 과거에 지적되었던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본 연구는 제도적으로 접근하여 해결방안을 모색하기 보다는 관리현장에서 현업에 종사하는 업계종사자들이 어떻게 느끼고 체감하는지 의견을 수렴함으로써 보다 현실적인 방법으로 문제 해결에 접근하고자 한다. 주택관리와 관련한 문제는 천편일률적인 것이 아니라 단지의 상황이나 주변 환경의 영향이 크다는 점에서 업계 종사자로부터 관리현실에 대한 의견수렴은 매우 의미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축물의 하자, 보수 등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 계기는 무엇인가? 1932년 서울 충정로의 유림아파트를 시작으로 행촌아파트(1956년), 종암아파트(1958년), 개명아파트(1959년) 등이 건설되었고, 1962년 최초의 단지형 아파트인 마포아파트를 건설함으로서 공동주택 보급이 확산되기 시작했다. 공동주택 건설 초기단계인 1960년대에는 아파트 건설에 급급하여 공동주택관리에 대한 관심이 부족했는데, 1970년 와우아파트 붕괴사건으로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되자, 이를 계기로 건축물의 하자, 보수 등에 대해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1979년에는 주택건설촉진법의 하위법령으로 공동주택관리령이 제정되어 보다 체계적으로 공동주택을 관리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기 시작했는데, 공동주택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자 하는 것은 단순히 인명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것만은 아니다.
공동주택관리는 무엇인가? 이러한 점에서 미루어 볼 때, 공동주택관리는 건물의 노후화 방지를 위한 물리적 측면의 유지관리만이 아니라 입주자의 주거생활 전반에 걸쳐 발생하는 제반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측면을 포괄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성숙된 공동주택의 관리문화는 우리나라 지역사회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공동주택 거주자의 안정된 주거환경 조성을 위하여 중요하게 인식되어야 한다.
공동주택관리가 중요한 이유 4가지측면에서 요약한 내용은 무엇인가? 공동주거관리이론(주거학연구회, 2008)에서는 공동주택관리가 중요한 이유를 네 가지 측면에서 요약하고 있다. 첫째, 공동주택관리는 주기적인 수선과 보수로 재건축기간을 연장시켜 자원낭비로 부터 환경을 보호해준다는 점이다. 우리나라는 재건축을 하면 주택의 자산가치가 높아진다는 잘못된 인식으로 주택의 유지관리보다는 재건축 선호현상이 나타나게 되었다. 건물의 수명이 다하기 전에 재건축을 하면, 자원의 낭비는 물론 재건축 기간 동안 주생활 문화를 단절시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둘째, 공동주택은 양적 및 질적으로 공동 사회적 자산이라 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관리를 통해 생활양식에 대응하고, 주택의 자산가치를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셋째, 공동주택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노후화되어 거주자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으므로 주기적인 점검으로 수선과 보수를 함으로써, 지진과 홍수 그리고 태풍 등과 같은 자연재해로부터 안전할 수 있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지속가능한 주거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공동주택관리가 필수적이라는 점이다. 주거문화란, 주거라는 물리적 공간에 바탕을 두고 그 안에서 일어나는 생활양식과 사람들과의 유기적인 관계, 지속적인 커뮤니티라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주거문화가 계승되기 위해서는 물리적 공간인 주거가 잘 정비되고 관리되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노병용 (2008). 공동주택 관리의 현황과 발전 방향. 주거, 3(2), 28-37. 

  2. 은난순 (2008). 21C형 공동주택관리를 위한 새로운 모색. 주거, 3(2), 38-42. 

  3. 주거학연구회 (2008). 공동주거관리이론, 파주: 교문사 

  4. Eun, N., & Hong, H. (2000). A study on general management of multi-family housing manager.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11(2), 139-148. 

  5. Kang, S., & Kim, J. (1993). Satisfaction and attitude of resident to the management of multi-family housing - in case of apartment in seoul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4(2), 33-43. 

  6. Lee, K. (2010). The study of improvement for apartment management system - Focused on rules and regulations related apartment management -. Master's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Technology, Seoul. 

  7. Lee, H. (2005). A study on the problems of multi-family housing management and its improvement method. Master's dissertation, University of Dong eui, Busan. 

  8. You, B., Eun, N., & Hong, H. (2003). An analysis on the determinates of performance motivation and job satisfaction of housing manager. Housing Studies Review, 11(2), 51-7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