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작업치료사의 소진과 전문직 자아개념 및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Occupational Therapists' Burn-out,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Self-efficacy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3 no.4, 2012년, pp.1728 - 1738  

황상희 (가톨릭상지대학 작업치료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치료사의 소진과 전문직 자아개념 및 자기효능감 정도를 파악하고,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전문직 자아개념, 자기효능감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작업치료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작업치료사 138명이었고, 2011년 10월 13일부터 11월 2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작업치료사의 소진은 평균 2.12(범위: 0-6), 전문직 자아개념은 평균 2.64(범위: 1-4)이었고, 자기효능감은 평균 3.56(범위: 1-5)이었다. 둘째, 작업치료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소진은 1일 치료시간, 토요근무, 적성, 종교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전문직 자아개념은 자기효능감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전문직 자아개념과 자기효능감은 소진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작업치료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는 전문직 자아개념과 종교였다. 따라서 전문직 자아개념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작업치료사의 소진을 감소시키고, 작업치료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egree of occupational therapists' burn-out,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self-efficacy and also thei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o verify the effects of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self-efficacy on their burn-out. The subjects of this su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작업치료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알아본다면 소진을 감소시키고, 예방할 수 있는 프로그램 및 직무환경을 마련하고, 작업치료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제공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작업치료사의 소진과 전문직 자아개념, 자기효능감 정도를 파악하고,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전문직 자아개념, 자기효능감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의 소진과 전문직 자아개념 및 자기효능감 정도를 파악하고,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전문직 자아개념, 자기효능감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실시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pencer는 자기효능감이 높은 구성원이 어떠한 경향을 나타낸다고 하였는가? 즉, 자기효능감이란 어떤 행동이나 행위를 수행할 수 있다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신념으로 스스로를 어려움에 잘 직면하게 하며, 스트레스를 보다 잘 견뎌내게 한다[29]. Spencer[30]는 자기효능감이 높은 구성원의 경우, 그렇지 않은 구성원에 비하여 자신이 수행하는 직무에 대하여 스트레스를 덜 보고하였다고 하였다. Leither[31]는 자기효능감 수준이 높은 개인은 보다 문제 지향적 대처전략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으며, 자기효능감 수준이 낮은 개인은 스트레스를 대처하기 위해서 보다 감정적 방안을 추구한다고 하였다.
소진은 정서적 소모, 감소된 개인의 성취감, 비인격화로 세 가지 상황을 포함하는 복합적 증후군인데, 이들은 각각 무엇을 의미하는가? 소진(burnout)은 사람을 대상으로 장기간 서비스를 제공하는 직업인에게서 올 수 있는 일과 관련된 일련의 경험으로 정서적 소모, 감소된 개인의 성취감, 그리고 비인격화의 세 가지 상황을 포함하는 복합적 증후군이다[8]. 정서적 소모는 업무나 인간관계에서 스트레스로 고민하며 의욕을 잃은 탈진상태이며[9], 비인격화는 대상자를 돌보거나 교육할 때 비인격적으로 대하고 냉담해지는 것으로 정서적 소모를 극복하기 위한 다른 물리적 방안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심리적 대응으로 발현된다[10]. 개인적 성취감 감소는 정서적 소모와 비인격화가 장기화될 때 자신이 조직에서 더 이상 필요한 존재가 아니라는 사실을 지각하면서 자아성취감이 결여됨을 의미한다[11]. 소진이 진행되면 의료적 치료가 필요한 환자를 하나의 인격체가 아니라 해결해야 할 문제의 대상으로 보고 환자뿐 아니라 치료사, 자신조차 비인간화되어 신체적 문제뿐 아니라 정서적인 절망감과 무력감을 느끼고 일과 타인, 자신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취함으로써 의료서비스의 질이 급격하게 저하되게 된다[12].
소진은 무엇인가? 소진(burnout)은 사람을 대상으로 장기간 서비스를 제공하는 직업인에게서 올 수 있는 일과 관련된 일련의 경험으로 정서적 소모, 감소된 개인의 성취감, 그리고 비인격화의 세 가지 상황을 포함하는 복합적 증후군이다[8]. 정서적 소모는 업무나 인간관계에서 스트레스로 고민하며 의욕을 잃은 탈진상태이며[9], 비인격화는 대상자를 돌보거나 교육할 때 비인격적으로 대하고 냉담해지는 것으로 정서적 소모를 극복하기 위한 다른 물리적 방안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심리적 대응으로 발현된다[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National Board for Certification in Occupational Therapy Inc.( $NBCOT^{(R)}$ ), "Executive Summary for the Practice Analysis Study: Occupational Therapist Registered, $NBCOT^{(R)}$ 2008 Practice Analysis", Gaitersburg, Md: Author, 2008. 

  2. M. Y. Jung, Y. J. Cha, "An Analysis on the Status and Supply-demand of Occupational Therapist in Korea", The Journal of Korea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Vol.17, No.4, pp. 113-116, 2009. 

  3. H. S. Lee, M. Y. Jung, B. I. Chung, S. H. Park, E. Y. Yoo, and D. H. Kang, "Survey of Job Characteristics and Practice Analysis among Korean Occupational Therapists", The Journal of Korea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Vol.18, No.2, pp. 113-116, 2010. 

  4. G. M. Sweeney, K. A. Nichols, and P. Kline, "Factors Contributing to Workrelated Stress in Occupational Therapist: Result form A Pilot Study", British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Vol.54, No.8, pp. 284-288, 1991. 

  5. J. J. Chung, "The Effect of Hospital Environment on Employee`s Job Stres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Vol.28, No.3, pp. 72-76, 2002. 

  6. H. freudenberger, "Burnout: the Organizational Menace", Training and Developmental Journal, Vol.31, pp. 26-27, 1977. 

  7. A. M. Pines, and A. D. Kanner, "Nurses Burnout: Lack of Positive Conditions and Presence of Negative Condition as Two Independent Sources of Stress", Journal of Psychiatric Nursing and Mental Health Science, Vol.20, No.8, pp. 30-35, 1982. 

  8. C. Maslach, and S. E. Jackson, "MBI: Maslach Burnout Inventory; Manual Research Edi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Palo Alto, CA, USA, 1986. 

  9. R. J. Burke, and E. Greenglass, "A Longitudinal Study of Psychological Burnout in Teachers", Human Relations, Vol.48, pp. 187-202, 1995. 

  10. M. J. Saxton, J. S. Phillips, and R. N. Blakeney,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otional Exhaustion in the Airline Reservations Service Sector", Human Relations, Vol.44, pp. 583-595, 1991. 

  11. G. Y. Choi and Y. J. Kim, "A Study on Antecedents of Burnout of the Workers in A Hotel", Korean Journal of Hospitality Administration, Vol.9, No.1, pp. 141-161, 2000. 

  12. S. P. Kim, "A Study on the Factors Related to Nurse Practitioner's Burnout in Medical Welfare Cent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2006. 

  13. H. J. Lee, "Comparative Study on Job Stress and Burnout Experience between Operating Room Nurses and General Ward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00. 

  14. C. Brollier, D. Bender, J. Cyranowski, and C. Velletri, "Occupational Therapists Burnout: A Comparison by Clinical Practice and Direct Service Time", Occupational Therapy in Mental health, Vol.7, No.1, pp. 39-54, 1987. 

  15. G. T. Brown, and T. Pranger, "Predictors of Burnout for Psychiatric Occupational Therapists Burnout: A Comparison by Clinical Practice and Direct Service Time", Occupational Therapy in Mental health, Vol.7, No.1, pp. 39-54, 1987. 

  16. J. C. Rogers, and S. C. Dodson, "Burnout in Occupational Therapist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Vol.42, No.12, pp. 787-792, 1988. 

  17. J. A. Balogun, V. Titiloye, A. Balogun, A, Oyeyemi, and J. Katz, "Prevalence and Determinant of Burnout Among Physical and Occupational Therapists", Journal of Allied Health, Vol.31, No.3, pp. 131-138, 2002. 

  18. C. Lloyd, and R. A. King, "A Survey of Burnout among Australian Mental Health Occupational Therapists and Social Workers", Social Psychiatry Psychiatric Epidemiology, Vol.39, No.9, pp. 752-757, 2004. 

  19. J. J. Kim, "The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Stress and Burnout among Occupational Therapist",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2009. 

  20. M. S. Min, "A Study on College Hospital Physical Therapists' Experience of Burnout by Grounded Theor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gi University, 2009. 

  21. N. H. Lee,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urnout, Job Stress and Self-efficacy in Psychiatric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2011. 

  22. M. K. Lee, "Protective Factors for Social Workers' Burnout in a Medical Sett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2007. 

  23. Y. J. Je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Burnout of the Playtherapist",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ans University, 2011. 

  24. E. J. Cho,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Burnout of Nurses in Geriatric Hospit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sin University, 2006. 

  25. E. H. Le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Stress, Coping Methods, and the Burn-out States in Nursing Job", The Journal of Catholic Medical College, Vol.40, No.1, pp. 361-368, 1987. 

  26. J. W. K. Geiger, and J. S. Davit, "Self-imaged Job Satisfaction in Varied Setting", Nursing Management, Vol.19, No.12, pp. 50-58, 1988. 

  27. D. Arthur, "The Developmental of an Instrument for Measuring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of Nurses", Master of Educational Thesis, University of Newcastle, Australia, 1990. 

  28. R. E. Wood, and A. Banbura, "Social Cognitive Theory of Organizational Managemen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14, pp. 361-384, 1989. 

  29. C. Benight, and A. Bandura, "Social Cognitive Theory of Posttraumatic Recovery: The Role of Perceived Self-efficacy", Behav Res Ther, Vol.42, No.10, pp. 1129-1148, 2004. 

  30. A. R. Spencer, "Psychology", Holt, Rinehart and Winston, 1990. 

  31. M. P. Leither, "Coping Patterns as Predictors of Burnout: The Function of Control and Escapist Coping Patterns",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12, pp. 123-144, 1991. 

  32. A. Banbur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Vol.84, No.2, pp. 191-215, 1977. 

  33. E. Y. Park, E. J. Kim, "Job Stress and Self-efficacy of Occupational Therapist",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8, No.10, pp. 208-216, 2008. 

  34. H. J. Lee, "Predictors of Job Performance, Work Satisfaction, and Productivity among Korean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31, No.4, pp. 571-583, 2001. 

  35. B. K. Seo, "A Correlational Study on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Job Satisfaction of Hospital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1995. 

  36. M. Sherer. J. E. Maddux, B. Merchandate, S. Prentice- Dunn, B. Jacobs and R. W. Rogers,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 Rep, Vol.51, No.2, pp. 663-671, 1982. 

  37. G. S. Oh, "Nursing Concept Material", Yonsei University, 1993. 

  38. H. K. Noh, and H. J. Park, "A Study on the Burnout of Physical Therapists and Its Influencing Factors", Korean Journal of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Vol.51, No.1, pp. 117-145, 2008. 

  39. S. H. Lee,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Self-concept,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in Clinical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Vol.20, No.1, pp. 10-20, 2008. 

  40. H. J. Jang, S. O. Yang, and M. O. Lee,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Job Satisfaction in Clinical Nurses",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ol.14, No.1, pp. 110-119, 2007. 

  41. E. Y. Cho, and G. H. Kim, "A Study on Professional Self-concept,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of Nephrology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Vol.12, No.3, pp. 345-355, 2000. 

  42. G. M. Acker, "The Impact of Client' Mental Illness on Social Worker's Job Satisfaction and Burnout", Health and Social Work, Vol.24, No.2, pp. 112-119, 1999. 

  43. C. Maslach, W. B. Schaufeli, and M. P. Leiter, "Job Burnout", Annual Review of Psychology, Vol.52, pp.397-422, 2001. 

  44. H. Freudenberger, "Staff Burnout Syndrome", Journal of Social Issues, Vol.3, pp. 159-165, 1975. 

  45. S. Leddy, and J. M. Pepper, "Conceptual Bases of Professional Nursing", Philadelphia: Lippincott, 1985. 

  46. D. H. Seo,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Job Satisfaction of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es and General Psychiatric Nurses", Chonnam Journal of Nursing Science, Vol.10, No.1, pp. 141-150, 2005. 

  47. S. M. Jung, "Relationship between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Role Performance of The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sun University, 2003. 

  48. M. Y. Kim, "The Burnout and Coping Type of Nurses Working in Cancer Ward",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2003. 

  49. M. H. Hwang, S. J. Jeon, and B. R. Jeong, "A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Job Satisfaction in Clinical Nurses",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ol.9, No.2, pp. 518-532. 1998. 

  50. S. Y. Lim,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Self-concept,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in Operating Room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llym University, 2009. 

  51. H. Edward, and D. Dirette,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Identity and Burnout among Occupational Therapists", Occupational Therapy in Health Care, Vol.24, No.2, pp. 119-129,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