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단양 지역 모범음식점 조리사들의 약선에 대한 인식
Perceptions of Medicated Diets among Exemplary Restaurant Chefs in the Danyang Area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27 no.2, 2012년, pp.105 - 112  

민성희 (세명대학교 한방식품영양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regarding the perceptions of medicated diets among chefs. The subjects were 22 exemplary restaurant chefs in the Danyang area. The results showed that 40.9% of the chefs regarded the taste of medicated diets as good. Conversely, 22.7% of the subje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건강식의 개발을 위해 지역의 특산물을 활용한 약선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있으며 본 조사에서는 향후 음식업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삼고자 단양지역 모범음식점을 대상으로 조리사들의 약선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관광산업 및 지역 홍보의 일환으로 새롭게 향토음식을 선정하거나(Yoon & Song 1995) 발굴하는 작업에 지자체에서도 많은 관심이 있으며 여기에 약선이 융합된다면 가치는 더욱 증대될 것이다. 이에 관광지로 잘 알려져 있으며 마늘 및 잡곡, 산채 등의 특산물이 풍부한 단양에서 외식업계의 화두가 되고 있는 약선을 응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고자 본 조사에서는 단양지역 모범음식점에서 근무하는 조리사들을 대상으로 약선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비자들이 보양식이나 생식 등의 식단에도 많은 관심을 갖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 각종 질병의 발생과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로 매체들은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작하여 식생활과 건강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소비자들은 식생활의 중요성에 대해 인식하게 되면서 건강에 좋은 음식을 선택하거나 보양식이나 생식 등의 식단에도 많은 관심을 갖게 되었다(Kim 2006; Lee & Hwang 2006). 이와 같이 변화하는 고객의 욕구와 요구에 맞추어 외식산업에서는 다양한 메뉴와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으며 약선에 대한 관심이 그 중 하나로(Kang 2002; Jung & Park 2005; Choi 등 2009) 약선 메뉴 개발에 대한 여러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Ku 2000; Park & Kim 2003; Jeon 2004; Lee 2007).
약선을 외식업에 대입하기 위해 어떠한 정립이 필요한가? 약선의 효능은 사용하는 식재 및 약재의 성미에 근거하며, 음식의 맛을 저하시키 않는 범위에서 재료의 특성을 잘 알고 조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즉 섭취하는 이의 건강 상태 유형에 따라 한의학적 이론을 바탕으로 재료를 배합하고 식품영양학적 이론에 근거하여 조리하여야 하며 관련 지식을 외식업체 조리사들이 응용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이론의 정립이 필요하다(Park & Kim 2010). 외식업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건강 및 한방음식에 관한 연구 결과(Kang 2003; Cho 2005) 많은 관심을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된 바 있다.
약선이란 무엇인가? 이와 같이 변화하는 고객의 욕구와 요구에 맞추어 외식산업에서는 다양한 메뉴와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으며 약선에 대한 관심이 그 중 하나로(Kang 2002; Jung & Park 2005; Choi 등 2009) 약선 메뉴 개발에 대한 여러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Ku 2000; Park & Kim 2003; Jeon 2004; Lee 2007). 약선이란 우리 몸에 좋은 약이 되는 음식으로 수천년 전 중국에서 시작하였고(Bok 등 2005) 우리나라에서는 단군신화에도 등장하고 있으며(Kim 2006), 조선 선조와 광해군 때 허준이 지은 동의보감(東醫寶鑑), 목초비방(木草秘方)편에 풀이나 열매, 꽃, 과일 등과 일상의 식품이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에 응용됨을 설명하고 있다(Han 2005). 우리나라의 약선 개념은 절식에서도 찾아볼 수 있어 정월 대보름에는 오곡밥과 묵은 나물로 부족한 비타민과 무기질을 보충하였고 여름철 더위를 삼계탕, 육개장, 임자수탕 등과 같은 보익 식품으로 이겨냈으며 겨울철에는 열량이 있는 육류탕 종류를 섭취하여 추위로부터 건강을 보호하였다(Ku 200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이영은. 홍승헌. 2004. 한방식품재료학. 교문사. 서울. pp 30-188 

  2. Bok HJ, Lee GJ, Song JE. 2005. A research on the traditional food materials for developing medicinal food and the direction of applying the theories of oriental medicin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5(3):346-356 

  3. Cha SB, Park GT. 2003. The development of traditional local menu using medicinal cooked food in Chonan area. Korean Academic Soc of Tourism and Leisure, 15(2):9-22 

  4. Cho YS. 2005. The study on the customer's and cook's perception of Han-Bang Menu. Masters degree thesis. Kyunggi University. pp 66-68 

  5. Cho YS, Youn SK, Kim MH. 2006. The customer's perception of herbal items and Food items used in medicinal cuisin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6(1):77-84 

  6. Choi W, Park HJ, Park IS. 2009. The effect of perceived value on satisfaction and loyalty in yaksun cuisine. J of Foodservice Management, 12(3):149-169 

  7. Han AR. 2005. A study on the literature on Yaksun. Masters degree thesis. Kyunghee University. pp 2-9 

  8. Han KH, Choi MS. 2001.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preference of local foods in Chungbuk area. The thesis collection of Ho-Suh culture, 15:181-206 

  9. Jeon SH. 2004. A study on menu development of added herb medicine. Masters degree thesis. Kyunggi University. pp 34-47 

  10. Jung JW, Park BG. 2005. The effect of taste and cooking method of medicinal customer loyalty.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5(3):357-365 

  11. Kang MA. 2004. The research about recognition degree of health food cooks in a special grade hotel. Masters degree thesis. Kyunggi University. pp 75-76 

  12. Kang MS. 2002. A purpose of Yaksunyori menu develop a plan, Masters degree thesis.Kyunggi University. pp 19-45 

  13. Kim JM. 2006. Research on the menu selecting attribute of medicinal cuisine ane customers' recognition, Masters degree thesis. Dong-eui University. pp 5-23 

  14. Ku SJ. 2000. Medicinal food culture in Korea.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0(6): 560-564 

  15. Lee BR & Min SH. 2009. A survey on the perception of Yaksun among school foodservice dietitians in the Chungbuk area.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9(6):882-890 

  16. Lee DW. 2007.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ocal traditional food menu. Masters degree thesis. Sejong University. pp 20-22 

  17. Lee IK. 2010. A study in the perception of five star hotel chef's about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s. Masters degree thesis. Kyung-Hee University. pp 41-43 

  18. Lee SM, Hwang DW. 2006. Acknowledge of herbal food in foodservice industry. J Korean Contents Assoc., 6(11):65-73 

  19. Lee YD. 2007.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development of menus on the herbal cuisine. Masters degree thesis. Gyeongju University. pp 26-29 

  20. Liu JN. 2006. A study on yaksun restaurant by wellbeing market segmentation. Masters degree thesis. Kyung-Hee University. pp 17-24 

  21. Middleton G. 2000. A preliminary study of chefs' attitudes and knowledge of healthy eating in Edinburgh's restaurants. International Journal of Hospitality Management, 1(4):399-412 

  22. Min SH, Um JS, Oh IG. 2005. Study on the perception and preference of the native local foods in Jecheon area.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5(5):504-515 

  23. Park KT, Kim DW. 2003. Studies on development of functional herbal food based on Yaksun.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9(4):191-202 

  24. Park SH, Kim GY. 2010. Oriental diet therapy area approach of Reajerksodo-tang. Korean J Food & Nutr., 23(2):285-290 

  25. Reichler G, Dalton S. 1998. Chef's attitudes toward healthful preparation are more positive than their food science knowledge and practices. J Am Diet Assoc., 98(2):165-169 

  26. Yoon ES, Song TH. 1995. A study of the consciousness on the Korean folk foods. Korean J Soc Food Sci., 11(2):145-15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