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습자의 핵심역량 제고를 위한 과학 교사교육 개선 방안
Research on Ways to Improve Science Teacher Education to Develop Students' Key Competencies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3 no.2, 2012년, pp.162 - 169  

곽영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의 핵심역량 제고를 위한 과학 교사교육 개선 방안을 탐색하는 것이다. OECD에서 핵심역량을 '학생들이 향후 사회적 삶을 성공적으로 살아가기 위해 필요로 하는 능력'으로 재정립한 이래로 여러 나라에서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강조해왔다. 본 연구에서는 국외의 역량기반 교육과정 선도국과 국내의 외국인학교 및 국제 중학교를 방문하여 관계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교과교육 혁신 사례를 수집하고, 각 사례별로 교사 및 학교장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학습자의 핵심역량 제고를 위해 요청되는 과학 교사전문성 개선 방안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개별 교사 측면에서는 학습자의 역할 변화에 따라 교사의 역할 변화도 요청되며, 교사는 학생들에게 핵심역량의 모델이 되어야 하고, 교사역할의 다면화가 요청되며, 연구자로서의 교사가 요청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교사공동체 측면에서는 교사들의 학습공동체 조직이 필요하며, 교사들의 지식기반을 구축해야 하고, 미래의 교실에는 다양한 전문가를 투입해야 하며, 지역공동체 및 다른 전문가 집단과의 파트너십을 구축해야 한다는 요구가 수렴되었다. 본 연구의 결론 부분에서는 연구결과를 토대로 핵심역량 기반 교육을 실현하기 위한 제도적, 정책적 지원방안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ways to improve science teacher education in order to subsequently develop students' key competencies. Since the OECD redefined key competencies as 'what people should know and be able to do in order to lead a successful life in a well-functioning soci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연구결과 중, 핵심역량 강조에 따른 외국의 교사교육 실태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핵심 역량 제고를 위한 우리나라 과학 교사교육 개선 방안을 탐색하였다. 수업사례 고찰 및 교사면담 결과로부터 핵심역량 제고를 위한 교사교육 개선 방안을 추출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연구결과 중, 핵심역량 강조에 따른 외국의 교사교육 실태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핵심 역량 제고를 위한 우리나라 과학 교사교육 개선 방안을 탐색하였다. 수업사례 고찰 및 교사면담 결과로부터 핵심역량 제고를 위한 교사교육 개선 방안을 추출하였다.
  • 전문가로서 교사는 완성된 형태로 구축된 교육과정을 학생들에게 전달하는 역할이 아니라, 학생들에게 필요한 역량을 개발해주기 위해 어떤 교육과정이 필요한지를 고민하는 역할로 전환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핵심역량 제고를 위한 과학 교사교육 개선 방안을 탐색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의 결론 부분에서는 연구결과를 토대로 ‘미래 지향적 교육 구현의 첨병인 핵심역량 기반 교육을 실현하기 위한’ 제도적, 정책적 지원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1) 교사들의 학습공동체 조직이 필요하다.

  • 2) 교사가 학생들에게 핵심역량의 모델이 되어야 한다.

  • 2) 교사들의 지식기반을 구축해야 한다.

  • 3) 교사역할의 다면화가 요청된다.

  • 3) 미래의 교실에는 다양한 전문가를 투입해야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핵심역량을 기반으로 한 과학과 교육과정 재구조화 및 과학과 수업 프로그램 개발 등이 요청되는 실정인 이유는? 핵심역량은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아직은 많은 사람들에게 낯선 용어이다. 더욱이 과학수업을 통해 학습자의 핵심역량을 기르는 방안에 대해서는 거의 소개된 적이 없다. 이에 핵심역량을 기반으로 한 과학과 교육과정 재구조화 및 과학과 수업 프로그램 개발 등이 요청되는 실정이다.
OECD에서 핵심역량을 무엇으로 재정립하였는가?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의 핵심역량 제고를 위한 과학 교사교육 개선 방안을 탐색하는 것이다. OECD에서 핵심역량을 '학생들이 향후 사회적 삶을 성공적으로 살아가기 위해 필요로 하는 능력'으로 재정립한 이래로 여러 나라에서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강조해왔다. 본 연구에서는 국외의 역량기반 교육과정 선도국과 국내의 외국인학교 및 국제 중학교를 방문하여 관계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교과교육 혁신 사례를 수집하고, 각 사례별로 교사 및 학교장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학습자의 핵심역량 제고를 위해 요청되는 과학 교사전문성 개선 방안을 살펴보았다.
1997년부터 2003년까지 개인의 성공적 삶과 사회의 발전에 요구되는 핵심역량을 규명하기 위해 어떤 프로젝트를 추진하였는가? 최근 세계 각국이 미래를 대비하기 위해 마련하고 있는 교육 정책의 키워드가 ‘핵심역량(key competencies)’이다. OECD (2003)는 1997년부터 2003년까지 개인의 성공적 삶과 사회의 발전에 요구되는 핵심역량을 규명하기 위해 DeSeCo (Definition and Selection of Competencies) 프로젝트를 추진하였으며, 그 결과 3개 범주의 9개 영역으로 핵심역량을 설정하였다1). 이에 따라 호주, 뉴질랜드, 캐나다, 영국, 독일 등 많은 나라들에서 핵심역량을 기반으로 교육과정을 개편하거나 변화를 모색하기 시작하였다(Boyd and Watson, 2006; 윤현진 외, 2007; 이광우 외, 2009; 2010; 소경희 외,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강영혜, 박소영, 김민조, 2009, 선진형 미래학교 모형에 관한 연구: 교육복지 강화형 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CR 2009-04, 173 p. 

  2. 곽영순, 2010, 멘토링 전후의 초임 과학교사의 수업 특징 변화. 한국지구과학회지, 31, 403-417. 

  3. 박순경, 이광우, 이미숙, 정영근, 민용성, 이근호, 김평국, 이경진, 2008,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선진화 개혁 방안 연구(I) -총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C 2008-28-1, 165 p. 

  4. 소경희, 이상은, 이정희, 허효인, 2010, 뉴질랜드 교육과정 개혁 동향: 핵심역량 중심 교육과정의 실천 사례. 한국비교교육학회지, 20, 27-50. 

  5. 신종호, 모경환, 박민정, 민지연, 2009, 창의적 문제해결력 증진을 위한 사회과 교육과정의 재구성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9-10-3, 205 p. 

  6. 윤현진, 김영준, 이광우, 전제철, 2007, 미래 한국인의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교육과정 비전 연구(I) - 핵심역량 준거와 영역 설정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7-1, 211 p. 

  7. 이광우, 전제철, 허경철, 홍원표, 김문숙, 2009, 미래 한국인의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교육과정 설계방안 연구: 총괄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9-10-1, 364 p. 

  8. 이양락, 곽영순, 김동영, 2005, 제7차 과학과 교육과정 지구과학 내용의 적정성 분석 및 평가. 한국지구과학회지, 26, 759-770. 

  9. 이정아, 맹승호, 김찬종, 2007, 지구계 교육에 대한 과학교사의 인식과 지향: 사례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28, 705-717. 

  10. 이혜영, 강영혜, 박재윤, 나병현, 김민조, 2008, 미래 학교 모형 탐색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 2008-03, 297 p. 

  11. 최유현, 유태명, 문대영, 최지연, 강경균, 2009, 미래 한국인의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의 재구조화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9-10-1, 354 p. 

  12. 홍원표, 이근호, 이은영, 2010, 외국의 역량기반 교육과정 현장적용 사례 연구: 호주와 뉴질랜드, 캐나다, 영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10-2, 175 p. 

  13. Boyd, S. and Watson, V., 2006, Shifting the frame: Exploring integration of the Key Competencies at six normal schools. New Zealand: New Zealand Council for Education Research, 165 p. 

  14. Darling-Hammond, L., Wei, R.C., Andree, A., Richardson, N., and Orphanos, S., 2009, Professional learning in the learning profession: A status report on teacher development in the United States and abroad. Published by the National Staff Development Council and The School Redesign Network at Stanford University, 162 p. 

  15. Gess-Newsome, J., and Lederman, N.G. (eds.), 1999,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Dordrecht: Kluwer Academic Publishers, 320 p. 

  16. Luke, A. and McArdle, F., 2009, A model for research-based state professional development policy. Asia-Pacific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7, 1-21. 

  17. Niemi, H., 2005, Future challenges for education and learning outcomes. Wingspan, E-volume 1, 5-12. 

  18. OECD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003, Definition and selection of competencies: Theoretical and conceptual foundation. OECD Press, 224 p. 

  19. OECD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006, Schooling for Tomorrow: Think Scenarios, Rethink Education. OECD: Paris, 200 p. 

  20. Shulman, L.S., 1987,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s of the new reform. Harvard Educational Review, 57, 1-21. 

  21. Wenger, E., 1998, Communities of practice: Learning, meaning, and ident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NY, USA, 336 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