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과 교육과정 개정에 대비한 핵심역량 재구조화 방안
Ways of Restructuring Key Competencies for a Revision of Science Curriculum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4 no.4, 2013년, pp.368 - 377  

곽영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향후 과학과 교육과정 개정에서 다루어야 할 핵심역량들을 재구조화하는 방안을 탐색하는 것이다. 최근 세계 각국에서 미래 사회의 변화된 상황에 맞추어 학교 교육의 방향을 근본적으로 재조정하려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교육 개혁의 핵심 키워드로 등장하게 된 것이 핵심역량이다. 본 연구에서는 향후 핵심역량 중심의 과학과 교육과정 재구조화를 위한 선결 요건으로 선행연구에서 다양하게 논의되어온 핵심역량 대범주를 재구조화하고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에서 제시됨직한 각 영역별 핵심역량 구성요소를 논의하였다. 문헌분석, 전문가 심층면담, 델파이 및 설문조사 등을 통해 핵심역량 대범주 3가지를 (1) 인성 역량, (2) 지적 역량, (3) 사회적 역량으로 구성하고, 각 핵심역량 대범주별로 의미와 특징을 제시하였다. 각 대범주별로 어떤 핵심역량을 선정하고 가르칠 것인지는 교과 및 교사수준에서 전문성을 발휘하여 결정하도록 맡겨둘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결론 부분에서는 본 연구에서 논의한 핵심역량 대범주들을 중심으로 향후 과학과 교육과정을 재구성할 때 주목할 점을 제안하였다. 향후 과학과 교육과정을 개발할 때는 인성 역량을 포함하여 핵심역량의 3개 대범주들을 적극적으로 포함시켜야 하며, 핵심역량을 모든 학생들이 도달해야 할 최소 수준의 목표로 설정해야 할 것이다. 또한 과학 주제와 목표 등에 따라 각 대범주별 핵심역량 구성요소와 구성요소들 간의 연계방식이 달라질 수 있음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ways of restructuring key competencies (KCs) in preparation for a revision of Korean science curriculum. Recently a number of countries have reformed their curricular using competencies as a key element because they believe that competencies-based cur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과학을 가르치되, 지금까지와는 다른 교육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 대안은 전통적인 학교 교육에서 강조하던 지식의 축적이 아니라 지식을 발견하고, 활용하고 새롭게 창출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과학과 교육과정은 교육과정 측면에만 국한된 노력이 아니라 교수학습과 교육평가가 연계된 실천을 통해서 그 지향과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 이렇듯 핵심역량 중심의 과학과 교육과정이 앎의 실천 능력을 강조한다고 했을 때, 그것은 전통적인 과학과 교육과정의 조직 양태와는 다른 교육과정 구성 원리를 필요로 한다. 이에 본 논문의 결론 부분에서는 본 연구에서 논의한 핵심역량 대범주들을 중심으로 과학과 교육과정을 재구성할 때 주목할 점을 제언하고자 한다.
  • , 2008; 2009), 핵심역량을 중심으로 과학과 교육과정을 재편하는 작업은 아직 초기 단계의 연구에 머물러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학과 교육과정을 역량기반 교육과정으로 개정할 것에 대비하여 핵심역량 재구조화 작업을 진행하였다.
  • 이를 토대로 각 교과 교육과정에서는 이를 교과의 특성에 맞추어 ‘교과 고유 역량’을 재구성하고 교과 수업을 통해 핵심역량을 구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향후 핵심역량 중심의 과학과 교육과정 재구조화를 위한 선결 요건으로 선행연구에서 다양하게 논의되어온 핵심역량 대범주를 재구조화하고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에서 제시해야 할 각 영역별 핵심역량 구성요소를 논의하고자 한다.
  • 즉, 핵심역량 기반 교육과정은 이 세 가지 측면의 조화로운 발달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일관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미래 국가 교육과정을 구상하기 이전에, 핵심역량 영역을 재구조화하고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에서 제시됨직한 각 영역별 핵심역량 구성요소를 논의하고자 한다.
  • 이에 핵심역량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포괄하는 대범주를 다시 설정함으로써 핵심역량을 ‘대강화’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핵심역량의 등장은 어떤 인식 속에 등장했는가? 그리고 이러한 교육 개혁의 핵심 키워드로 등장하게 된 것이 핵심역량이다. 핵심역량의 등장은 종래의 지식 중심, 전달 위주의 학교 교육에서 벗어나 학습자가 실제로 정보와 지식을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의 함양이 필요하다는 인식에 근거한 것이다(OECD, 2003; 2006; Yoon et al., 2007; Lee et al.
핵심역량을 도입하면서 나타난 제도의 한계점은 무엇이 있는가? 핵심역량을 도입한 학교 개혁이나 국가 교육과정 개정 사례는 대체로 기존 교과체계 속에 핵심역량을 접목하는 형태의 접근을 취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 교육과정에서 묵시적으로 다루어진 핵심역량에 대한 정의가 불명확하거나, 핵심역량이 교과 수업과 연계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으로 인해 교육현장에서 핵심역량을 실천적으로 구현하지 못한 한계점을 지닌다. 따라서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에서 핵심역량을 구체적인 목표로 설정하고, 핵심역량의 대범주와 그 구성요소를 예시하고, 교과 교육과정과 연계하는 방안을 명시할 필요가 있다.
핵심역량을 도입한 학교나 국가 교육과정은 대체로 어떤 경향을 띄는가? 핵심역량을 도입한 학교 개혁이나 국가 교육과정 개정 사례는 대체로 기존 교과체계 속에 핵심역량을 접목하는 형태의 접근을 취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 교육과정에서 묵시적으로 다루어진 핵심역량에 대한 정의가 불명확하거나, 핵심역량이 교과 수업과 연계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으로 인해 교육현장에서 핵심역량을 실천적으로 구현하지 못한 한계점을 지닌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hn, B.H., 2004. The reality of character education in schools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Collaboration Research with University, 14, 169-254. (in Korean) 

  2. Choe, S.H., Kwak, Y., and Noh, E.H., 2011. Research on teaching and learning and teacher education to improve learners' key competencies: Centering on mother tongue, mathematics and science. KICE Research Report RRI 2011-1. 452 p. (in Korean) 

  3. Griffin, P., McGaw, B., Care, E. (Eds.), 2012, Assessment and teaching of 21st century skills. Springer: New York, USA, 358 p. 

  4. Hong, W.P., Lee, G.H., and Lee, E.Y., 2010, Exploring how to implement competence-based curriculum in Korean schools: Based on foreign cases. KICE Research Report RRC 2010-2. 175 p. 

  5. Kang, S.H., et al., 2002. Changes in core competencies according to the changes in labor market and job requirements. KEDI Research Report RR2002-19-18. 156 p. (in Korean) 

  6. Kim, M.J., 2010. A study on the activation methods of character education in moral curriculum. Doctoral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KongJu National University. Kong Ju, Korea. 212 p. (in Korean) 

  7. Kwak, Y., 2012, Research on ways to improve science teacher education to develop students' key competencies,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3(2), 162-169. (in Korean) 

  8. Kwak, Y. and Lee Y., 2007. Poststructural curriculum and topic-centered framework of the new science curriculum.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8(2), 169-178. (in Korean) 

  9. Lee, H.J., 2010. Issues of the competence-based curriculum for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8(3), 151-171. (in Korean) 

  10. Lee, K.W., Jeon, J.C., Huh, K.C., Hong, W.P., and Kim, M.S., 2009. Redesigning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curriculum for developing future Koreans' core competences. KICE Research Report RRC 2009-10-1. 364 p. (in Korean) 

  11. Lee, K.W., Min, Y.S., Jeon, J.C., and Kim, M.Y., 2008. A study on developing key competencies in the primary/ secondary school curriculum for the future of Koreans (II): Focused on the establishing sub-domains and components for key competencies. KICE Research Report RRC 2008-7-1. 450 p. (in Korean) 

  12. Lee, K., Kwak, Y., Lee, S., and Choi, J., 2012. Design of the competencies-based national curriculum for the future society. KICE Research Report RRC 2012-4. 286 p. (in Korean) 

  13. OECD, 2003, Definition and selection of competencies:Theoretical and conceptual foundation. OECD Press, 224 p. 

  14. OECD, 2006, Schooling for tomorrow: Think scenarios, rethink education. OECD: Paris, 200 p. 

  15. Park, J.Y. and Lee, J.M., 2010, Vision for the future education system. KEDI Research Report RR2010-08. 287 p. (in Korean) 

  16. Shin, J.H., Mo, K.H., Park, M.J., and Min, J.Y., 2009. Reorganization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for developing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ies. KICE Research Report RRC 2009-10-3. 205 p. (in Korean) 

  17. Sim, S.B., 2010, Enlarging domain of character education & human-right education and their holistic amalgamation. Journal of Holistic Education, 14(1), 83-99. (in Korean) 

  18. So, K.H., Lee, S.E., Lee, J.H., and Heo, H.I., 2010. Review on curriculum reform in the New Zealand: Implementation of key competencies-based curriculum. Comparative Education Society, 20(2), 27-50. (in Korean) 

  19. Yoon, H.J., Kim, Y.J., Lee, K.W., and Joen, J.C., 2007, A study on developing a key competence in the primary/secondary school curriculum for the future of Koreans. KICE Research Report RRC 2007-1. 211 p. (in Korean) 

  20. Young, M., 2009, Education, globalisation and the 'voice of knowledge'. Journal of Education and Work, 22(3), 193-204. 

  21. Yu, H.S., Lee, J.M., Choi, J.Y., Lim, H.N., Kwon, K., Seo, Y.I., and Ryu, J., 2011. A study on establishing higher education future vision 2040. KEDI Research Report CR2011-24. 195 p.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