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논문에서 용어와 풀이말을 자동 추출한 결과로,
시범 서비스 중입니다.
정보교과에서 정보의 표현과 자료구조에 대한 이해는 컴퓨터과학의 기본원리에 대한 기초단계교육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자료구조가 정보교과에서 갖고 있는 교육적 함의나 학생들에게 성찰을 제공하기 위해 어떤 형태로 구성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2007 개정 교육과정을 기초로 제작되어, 2010년부터 사용되고 있는 정보교과서 '정보의 표현과 관리'영역의 탐구적 경향을 분석하였다. Romey 분석법으로 분석한 결과, 본문 분석, 학습자료 분석, 학습활동 분석, 장이나 절에 대한 분석에서 탐구적 경향을 보인 교과서는 1개로 나타났다. 교과서가 지식을 전달하는 데 집중하면, 학생들을 학습에서 소외시킬 수 있다. 특히 정보교과의 경우, IT를 활용한 문제해결에 기저가 되는 교과이므로 학습에서 소외된 학생들은 다양한 문제해결의 과정에서 박탈될 수 있음을 고려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Abstract In informatics subject, a good understanding of information representation and the structure of materials is the first step to acquire the basic principles of computer science. But few studies have ever focused on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e structure of materials in informatics subject or how to organize materials in a manner to stimulate students to introsp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 'information representation and management' sections of informatics textbooks of the revised 2007 curriculum that have been in use since 2010 had an inquiry tendency or no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extbooks by utilizing Romey method, one textbook was found to have an inquiry tendency in terms of texts, figures/diagrams, activities and questions at the end of chapters. If textbooks are just organized to convey knowledge, it might result in making students less interactive in class. Specifically, informatics is a subject to teach basic problem-solving skills by using IT, and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students who get less interactive in class are likely to have less chances to learn about how to solve the given problems in diverse way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2009년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서는 교육과정 질관리의 차원에서 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평가 실시, 교과별 평가 기준의 개발 및 보급 등이 그것이다[18]. 또한 교육과정의 구성 방침에서는 학교 교육과정 평가, 교과 평가의 개선 등을 통해 교육과정질 관리 체제를 강화하고자 하였다. 즉, 평가는 목적 달성의 가치를 판단하는 것이기 때문에 교육과정의 목적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정보교과서의 ‘정보의 표현과 관리’ 영역은 지식 전달에 치우친 문장을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문의 내용이 정보과학적 추상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데이터의 구조화된 표현 및 저장에 대한 것으로 학생들이 추상화를 배울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본문의 표현이 지나치게 지식 전달의 권위적 경향을 보임으로써 오히려 학생들이 배워야 할 내용을 제대로 배우지 못하게 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논문은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을 반영하여 기술된 중학교 정보 교과서의 ‘정보의 표현과 관리’ 영역이 학습내용만을 전달하기보다 학생들에게 성찰적 실천을 제공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정보교과 | 정보교과의 내용에 컴퓨터의 도구적 활용뿐만 아니라 정보 과학과 정보 기술에 대한 원리의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해 정보 처리의 기본 원리를 포함시킨 목적은? |
정보처리의 기본 원리를 토대로 자신의 생각을 다양한 형태의 정보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고자 한 것
즉, 컴퓨터의 도구적 활용뿐만 아니라 정보 과학과 정보 기술에 대한 원리의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해 정보 처리의 기본 원리를 포함하였다. 이것은 정보처리의 기본 원리를 토대로 자신의 생각을 다양한 형태의 정보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고자 한 것이다[4] |
정보의 표현과 관리 | 정보교육과정에서 정보의 표현과 관리 영역에서는 무엇을 배울 수 있도록 하고 있는가? |
스택, 큐와 같은 자료구조를 통해 인간과 컴퓨터가 상호작용을 할 수 있게 하는 정보과학적 추상화
정보교육과정에서는 ‘정보의 표현과 관리’ 영역에서 스택, 큐와 같은 자료구조를 통해 인간과 컴퓨터가 상호작용을 할 수 있게 하는 정보과학적 추상화를 배울 수 있도록 하고 있다[29]. 즉, 정보과학적 추상화를 통해 메모리에서 구조화된 데이터와 효율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게 내용요소를 제공함으로써, 추상화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였다[7][30]. |
자료 | 컴퓨터과학에서 자료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
넓은 의미에서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과 이용에 관련된 정보를 말하며, 좁은 의미로는 프로그램 수행에 필요한 프로그램에서 정의된 규칙에 따른 임의로 정의된 자료를 의미
컴퓨터과학에서 자료는 넓은 의미에서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과 이용에 관련된 정보를 말하며, 좁은 의미로는 프로그램 수행에 필요한 프로그램에서 정의된 규칙에 따른 임의로 정의된 자료를 의미한다. 즉, 자료란 컴퓨터 시스템이 처리해야 될 대상으로 주어지는 모든 것을 의미하며, 여기에는 단순한 숫자나 문자 뿐 아니라 소리나 화상 그리고 사실이나 자연현상까지 포함될 수 있다[28].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