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본 연구는 국가 교육정책과 관련, 교육정보화의 측면에서 교육 관련 당사자라 할 수 있는 학생, 교사, 학부모의 교육정보화 수준 측정 지표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각 집단별 지표에 대한 준거를 설정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교육정보화 지수 설정을 위한 지표 개발 결과, 4개 영역, 10개 요소, 24개의 세부 지표를 산출하였다. 그리고 각 집단별 특성을 고려하여 영역, 요소, 지표별 각각 다른 가중치를 설정하였다. 둘째, 개발된 교육정보화 지표를 토대로 전문가들이 산출한 교육정보화 수준의 준거는 100점 만점으로 환산할 때, 학생은 80.64점, 교사는 80.90점, 학부모는 76.52점으로 학부모 집단에 대한 준거가 가장 낮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교육정보화 방향을 설정할 때, 어느 측면을 보다 집중적으로 지원해야 하는지에 대한 방향 모색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has developed indicators and criteria for measuring educational informatization level of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with regard to the national educational policy. The criteria for indicator of each group are also set up. A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irst, 4 areas, 10 elements, 24 sub-indicators are generated as the result of development of indicator for level measure of educational informatization. And different weights are established for each area, element and sub-indicator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ategory. Second, generated criteria are evaluated by specialists based on the indicator of education informatization and on a scale of 100. The criteria for students are evaluated to be 80.64, the criteria for teachers to be 80.90 and the criteria for parents to be 76.52 which was found to be the lowest. Therefore, this research was completed to determine which aspect should be supported more intensively when setting the directions of future educational informatization.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