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설악산국립공원 오색계곡 관속식물의 고도별 온도구배에 따른 수직분포
Vertical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Osaek valley, Seoraksan National Park by Temperature Gradient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6 no.2, 2012년, pp.156 - 185  

윤종학 (국립생물자원관 식물자원과) ,  김중현 (국립생물자원관 식물자원과) ,  김선유 (국립생물자원관 식물자원과) ,  박찬호 (국립생물자원관 식물자원과) ,  이병윤 (국립생물자원관 식물자원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설악산 오색계곡의 고도별 온도변화에 따른 관속식물의 수직분포 및 분포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오색교(325m)에서 대청봉(1,708m)까지 해발 100m단위로 등분하여 14개 구간에 대한 식물목록을 작성하였다. 2010년 6월부터 2011년 5월까지 조사한 결과 관속식물은 94과 279속 397종 5아종 45변종 2품종 총 449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해발 500m(WI=$79.0^{\circ}C{\cdot}month$)를 경계로 관속식물의 출현종 수가 급격히 감소하였다. DCA방법에 의한 구간 간의 식물종 분포의 유사도는 고도에 따른 온도변화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제1축(Eig.=0.70)에 대하여 해발 500m(WI=79.0), 900m(WI=63.6), 1,400m(WI=44.8), 1,600m(WI=38.2)를 경계로 5개 그룹으로 구분되어 배열되었다. 한편, 제2축(Eig.=0.27)에 대하여 해발 1,100m를 경계로 구분되어 배열되었다. 따라서 고도에 따른 구간 간의 관속식물 분포의 유사성 및 상이성을 확인함으로써, 관속식물 종들의 고도별 생존분포 양상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식물종의 분포가 변화하는 것은 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식물종은 생육지역의 온도에 따라 생존에 필수적인 호적범위 내에서 분포하므로 기후변화로 인한 기온상승은 현재 식물종의 분포변화를 변경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investigate vertical plant distribution on Osaek valley of Mt. Seorak by temperature change, vascular plants of fourteen areas with 100-meter-high difference were surveyed from the Osaekgyo(345m alt.) to the Daecheongbong(1708m alt.). A total of 449 taxa belonging to 94 families, 279 g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조사지역의 해발고에 따른 식물종의 온도적 분포범위를 파악함과 동시에, 조사구간 간 식물 종조성의 유사 관계 및 분포변화를 분석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식물종의 분포적 특성파악과 산림식생 관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물구계지리학상 설악산이 어떻게 형성되어 있는가? 설악산은 식물구계지리학상 중부아구(Lee and Yim, 1978)에 속하며 참나무속(Quercus), 단풍나무속(Acer), 서어나무속(Carpinus) 등을 우점종으로 하는 냉온대 낙엽활엽수림대를 형성하고 있다. 고해발 지역에는 분비나무(Abies nephrolepis), 눈잣나무(Pinus pumila) 등의 아한대상록침엽수종으로 고산대림을 형성하고 있다.
설악산에서 조사된 관속식물의 종은? 설악산 오색계곡의 고도별 온도변화에 따른 관속식물의 수직분포 및 분포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오색교(325m)에서 대청봉(1,708m)까지 해발 100m단위로 등분하여 14개 구간에 대한 식물목록을 작성하였다. 2010년 6월부터 2011년 5월까지 조사한 결과 관속식물은 94과 279속 397종 5아종 45변종 2품종 총 449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해발 500m(WI=$7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Chung, T.H. and I.K. Lee(1959) The flora of Mt. Solak I. Bull. Kyunghee Univ. 2: 289-354. (in Korean) 

  2. Chung, T.H. and W.T. Lee(1963) The flora of Mt. Sulak. Bull. Sungkyunkwan Univ. 8: 269-285. (in Korea) 

  3. Chung, T.H.(1957) Korean Flora. Vol. I, II. Shinjisa, Seoul, 507pp., 1,025pp. (in Korean) 

  4. Flora of Korea Editorial Committee(2007)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Academy Publishing Co., Seoul, 1,482pp. 

  5. Hill, M.O. and H.G. Gauch(1980)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an improved ordination technique. Vegtatio. 43: 47-58. 

  6. Hong, M.P.(2001) Flora. In: Nature resource investigation of Seoraksan National Park. National Park Authority, Seoul, pp. 19-38, pp. 325-354. (in Korean) 

  7. Hong, M.P., H.J. Lee, Y.M. Chun and B.R. Hong(2010) Flora of Mt. Seorak, Gangwon-do. Kor. J. Env. Eco. 24: 436-486.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8. Kangwon-do Office of Education(1991) Nature of Kangwon(Plant). Chuncheon, 443pp. (in Korean) 

  9. Kira, T.(1948) On the altitudinal arrangement of climatic zones in Japan. Kanti-Nogaku 2: 147-173. (in Japanese) 

  10. Korea Fern Society(2005) Ferns and Fern Allies of Korea. Geobook, Seoul, 399pp. (in Korean) 

  11.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2011) Climatological stand normals of Korea. 

  12. 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2007)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534pp. (in Korean) 

  13. Lee, B.Y., G.H. Nam, J.H. Yun, G.Y. Cho, J.S. Lee, J.H. Kim, T.S. Park, K.G. Kim and K.H. Oh(2010) Biological indicators to monitor responses against climate change in Korea. Korean J. Pl. Taxon 40(4): 202-207. 

  14. Lee, T.B. and J.D. Yoo(1984) Endemic and Rare plants. In: Report of the academic survey of Mt. Sorak. Kangwon Province, Chuncheon, pp. 169-191. (in Korean) 

  15. Lee, T.B.(1980)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990pp. (in Korean) 

  16. Lee, T.B.(2003)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 II. Hyangmunsa, Seoul, 914pp., 910pp. (in Korean) 

  17. Lee, W.C. and Y.J. Yim(1978)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 Pl. Taxon. 8: 103-107. (in Korean) 

  18. Lee, W.T.(1996a) Lineamenta Florae Koreae. Academy Press, Seoul, 1,688pp. (in Korean) 

  19. Lee, W.T.(1996b)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demy Press, Seoul, 624pp. (in Korean) 

  20. Lee, Y.N. and Y.J. Oh(1984) An investigation for diversity of flora on Mt. Sorak. In: Report of the academic survey of Mt. Sorak. Kangwon Province, Chuncheon, pp. 192-215. (in Korean) 

  21. Lee, Y.N.(1996) Flora of Korea. Gyohaksa, Seoul, 1236pp. (in Korean) 

  22. Lee, Y.N.(2006) New Flora of Korea. Vol. I, II. Gyohaksa, Seoul, 974pp, 885pp. (in Korean) 

  23. Ministry of Education(1967) SULAKSAN. Report of the Academic Survey of Mt. SULAK, Seoul, 230pp. (in Korean) 

  24. Ministry of Environment(2005) Endemic species of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pp. 325-417. (in Korean) 

  25. Ministry of Environment(2006) A guide to the Thir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pp. 114-155. (in Korean) 

  26. Ministry of Environment(2009) http://www.me.go.kr/ 

  27. Oh, Y.C.(2006)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 Flora of Korea. Vol. 41, Monocotyledoneae, Cyperacea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oul, 757pp. (in Korean) 

  28. Park, S.H.(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Seoul, 575pp. (in Korean) 

  29. Raunkiaer, C.(1934) The life form of plants and stistical plant geography: Being the collected papers of C. Raunkiaer. Clarendon Press, Oxford. 

  30. Song, J.S. and S. Nakanishi(1985) On the pinus pumila scrub of Mt. Sulak, Korea. Jap. J. Ecol. 35: 537-541. 

  31. Song, J.S.(1988) Phytosociological study of the mixed coniferous and deciduous broad-leaf forests in South Korea. Hikobia 10: 145-156. (in Japanese with English summary) 

  32. Song, J.S.(1991) Phytosociology of subalpine coniferous forests in Korea. I. Syntaxonomical Interpretation. Ecol. Res. 6: 1-19. 

  33. Takeda, Y., S. Nakanishi and D. Choe(1994) Phytosociological study on natural summer-green forests in Korea. Ecol. Res. 9: 21-32. 

  34. Yim, Y.J. and S.D. Baik(1985) The vegetation of Mt. Seolag. Chung-Ang University Press, Seoul, 199pp. (in Korean) 

  35. Yim, Y.J. and T. Kira(1975)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climate in the Korean Peninsula. I. Distribution of some indices of thermal climate. Jap. J. Ecol. 25: 77-88. 

  36. Yim, Y.J. and T. Kira(1976)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climate in the Korean Peninsula. II. Distribution of climatic humidity/aridity. J. Ecol. 25: 157-164. 

  37. Yim, Y.J.(1977a)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climate in the Korean Peninsula. III. Distribution of tree species along the thermal gradient. Jap. J. Ecol. 27: 177-189. 

  38. Yim, Y.J.(1977b)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climate in the Korean Peninsula. IV. Zonal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in relation to thermal climate. Jap. J. Ecol. 27: 177-189. 

  39. Yun, J.H.(2011) The comparative studies on the distribution and species composition of forest community in Korea and Japan around the East Sea. Kor. J. Env. Eco. 25: 327-357.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40. Yun, J.H., J.H. Kim, K.H. Oh and B.Y. Lee(2010) Vertical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Jungsanri, Mt. Jiri by temperature gradient. Kor. J. Env. Eco. 24: 680-707.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