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덕유산국립공원내 남덕유산 관속식물의 고도별 온도구배에 따른 수직분포
Vertical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Namdeogyusan, Mt. Deogyu National Park by Temperature Gradient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9 no.5, 2015년, pp.651 - 680  

김중현 (국립생물자원관 식물자원과) ,  김선유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전시교육실) ,  박찬호 (국립생물자원관 식물자원과) ,  이병윤 (국립생물자원관 식물자원과) ,  윤종학 (국립생태원 생태공간 조사.평가팀)

초록

남덕유산의 고도별 온도변화에 따른 관속식물의 수직분포 및 분포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덕산교(650m)에서 남덕유산(1,507m)까지 해발 100m단위로 등분하여 9개 구간에 대한 식물목록을 작성하였다. 2012년 6월부터 2013년 10월까지 조사한 결과 관속식물은 99과 280속 402종 5아종 43변종 4품종 1교잡종의 총 455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해발 700m($WI=81.0^{\circ}C$ month)를 경계로 관속식물의 출현종 수가 급격히 감소하였다. DCA방법에 의한 구간 간의 식물종 분포의 유사도는 고도에 따른 온도변화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제1축(Eig.=0.60)에 대하여 해발 700m(WI=83.4), 1,100m(WI=67.5), 1,300m(WI=59.8)를 경계로 4개 그룹으로 구분되어 배열되었다. 한편, 제2축(Eig.=0.27)에 대하여 해발 800~900m를 경계로 구분되어 배열되었다. 따라서 고도에 따른 구간별 간의 관속식물 분포의 유사성 및 상이성을 확인함으로써, 관속식물 종들의 고도별 생존분포 양상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식물종의 분포가 변화하는 것은 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식물종은 생육지역의 온도에 따라 생존에 필수적인 호적범위내에서 분포하므로 기후변화에 의한 기온상승은 현재 식물종의 분포변화를 변경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investigate vertical plant distribution on Namdeogyu of Mt. Deogyu National Park by temperature change, vascular plants of nine areas with 100-meter-high difference were surveyed from the Deogsangyo (650m alt.) to the Namdeogyusan (1,507m alt.). A total of 455 taxa belonging to 99 famil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조사지역의 해발고에 따른 식물종의 분포와 온도적 분포범위를 파악함과 동시에, 조사구간 간 식물 분포 종조성의 유사관계 및 분포변화를 분석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식물종의 분포적 특성파악과 기후변화에 따른 산림 식생 관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덕유산의 특징은 무엇인가? 덕유산은 식물구계지리학상 남부아구(Lee and Yim, 1978)에 속하며, 식생군계로는 냉온대 중부와 냉온대 남부에 걸쳐 있어 참나무속(Quercus), 단풍나무속(Acer), 서어나무속(Carpinus) 등을 우점종으로 하는 냉온대 낙엽활엽수림대와 고해발 지역에는 구상나무(Abies koreana) 등의 아한대 상록침엽수종이 정상부근에서 아고산대림을 형성하고 있다.
덕유산의 식물상은 몇 종이 있는가? 덕유산의 식물상은 Yim et al.(1994), Kil and Kim(1994) 에 의해 각각 541분류군, 795분류군이 발표된 바 있으며, 최근 보고된 덕유산 국립공원 일대의 자원식물상 연구(Park et al., 2005)에서는 549분류군, 남덕유산의 식물상(Lee et al., 2013)에서는 507분류군을 제시하였다. 식물군락에 대한 연구로는 Kim and Choo(1999), 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Chung, T.H. (1957) Korean Flora. Vol. I, II. Shinjisa, Seoul. 507pp, 1025pp. (in Korean) 

  2. Hill, M.O. and H.G. Gauch (1980)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an improved ordination technique. Vegtatio 42: 47-58. 

  3. Kil, B.S. and C.H. Kim (1994) The flora of Tokyusan National Park, Korea. Bull. Wonkwang Univ. 28: 63-10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Kim, G.T. and G.C. Choo (1999)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in subalpine zone of Togyusan.-Abies koreana forest-. Kor. J. Env. Eco., 13: 70-7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Kim, H.S., S.M. Lee, H.L. Chung and H.K. Song (2009) A study of the vegetation in the Deogyusan National Park.-Focused on the deciduous forest at Namdeogyu area-. Kor. J. Env. Eco. 23: 471-48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Kim, J.S. and T.Y. Kim (2011) Woody Plants of Korean Peninsula. Dolbegae, Paju, 688pp. (in Korean) 

  7. Kira, T. (1948) On the altitudinal arrangement of climatic zones in Japan. Kanti-Nogaku 2: 147-173. (in Japanese) 

  8. Kong, W.S., S.G. Lee, K.H. Yoon and H. N. Park (2011)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Wind-Hole and phytogeographical Values.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0(3): 381-39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Kong, W.S., K.O Kim, S.G Lee, H.N. Park and S.H. Cho (2014) Distribution of high mountain plants and species Vulnerability against climate change.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3(2): 119-13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Korea Fern Society (2005) Ferns and Fern Allies of Korea. Geobook, Seoul. 399pp. (in Korean) 

  11.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4) Climatological stand normals of Korea. http://www.kma.go.kr 

  12. Lee, B.Y., G.H. Nam, J.H. Yun, G.Y. Cho, J.S. Lee, J.H. Kim, T.S. Park, K.G. Kim and K.H. Oh (2010) Biological indicators to monitor responses against climate change in Korea. Korean J. Pl. Taxon. 40 (4): 202-207. 

  13. Lee, B.Y., G.H. Nam, J.Y. Lee, C.H. Park, C.E. Lim, M.H. Kim, S.J. Lee, T.K. Noh, J.A. Lim, J.E. Han and J.H. Kim (2011) National List of Species of Korea (Vascular Plants). NIBR, Incheon, 633pp. (in Korean) 

  14. Lee, D.H., D.P. Jin, J.H. Lee, I.S. Choi and B.H. Choi (2013) Floristic study of Mt. Namdeogyu. Korean J. Pl. Taxon. 43: 69-7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Lee, H.S., G.S. Jung and H.H. Yoo (2009) Slope analysis of mountain trail using mobile GP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17(2): 81-9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Lee, T.B. (1980)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990pp. (in Korean) 

  17. Lee, T.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 II. Hyangmunsa, Seoul. 914pp, 910pp. (in Korean) 

  18. Lee, W.T. and Y.J. Yim (1978)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 Pl. Taxon. 8 (Appendix): 1-33. (in Korean) 

  19. Lee, W.T. (1996a) Lineamenta Florae Koreae. Academy Press, 1688pp. Seoul. (in Korean) 

  20. Lee, W.T. (1996b)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demy Press, 624pp. Seoul. (in Korean) 

  21. Lee, Y.N. (1996) Flora of Korea. Gyohaksa, Seoul. 1236pp. (in Korean) 

  22. Lee, Y.N. (2006) New Flora of Korea. Vol. I, II. Gyohaksa, Seoul. 974pp, 885pp. (in Korean) 

  23.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3) Endemic Species of Korea. NIBR, Incheon, 912pp. (in Korean) 

  24.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2) A Guide to the 4th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NIER, Incheon, pp. 173-226. (in Korean) 

  25. Oh, J.G., C.H. Kim, E.O. Kang and Y.R. Gin (2013) Community distribution on forest vegetation of the Namdeogyusan area in the Deogyusan National Park, Korea. KJEE 46: 440-44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6. Oh, Y.C. (2006)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 Flora of Korea. Vol. 41, Monocotyledoneae, Cyperacea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oul. 757pp. (in Korean) 

  27. Park, K.W., Y.H. Kwon, K. Choi, S.H. Oh, D.K. Kim, J.H. Tho, K.H. Tae and J.H Kim (2005) A floristic study on the economic plants of Deogyusan National Park area. Korean J. Plant Res. 18: 32-5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8. Park, S.H. (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Seoul. 575pp. (in Korean) 

  29. Raunkiaer, C. (1934) The life form of plants and stistical plant geography: Being the collected papers of C. Raunkiaer. Clarendon Press, Oxford. 

  30. Yim, K.B., Y.S. Kim, S.H. Chun and J.I. Jeon (1994) Floristic study on Tokyu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7: 91-10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1. Yim, Y.J. and T. Kira (1975)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climate in the Korean Peninsula. I. Distribution of some indices of thermal climate. Jap. J. Ecol. 25: 77-88. 

  32. Yim, Y.J. and T. Kira (1976)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climate in the Korean Peninsula. II. Distribution of climatic humidity/ aridity. J. Ecol. 25: 157-164. 

  33. Yim, Y.J. (1977a)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climate in the Korean Peninsula. III. Distribution of tree species along the thermal gradient. Jap. J. Ecol. 27: 177-189. 

  34. Yim, Y.J. (1977b)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climate in the Korean Peninsula. IV. Zonal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in relation to thermal climate. Jap. J. Ecol. 27: 177-189. 

  35. Yun, J.H., J.H. Kim, K.H. Oh and B.Y. Lee (2010) Vertical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Jungsanri, Mt. Jiri by temperature gradient. Kor. J. Env. Eco. 24: 680-70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6. Yun, J.H., J.H. Kim, S.Y. Kim, C.H. Park and B.Y. Lee (2012) Vertical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Osaek valley, Seoraksan National Park by temperature gradient. Kor. J. Env. Eco. 26: 156-18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7. Yun, J.H., T. Hukusima, M.H. Kim and M. Yoshikawa (2011) The comparative studies on the distribution and species composition of forest community in Korea and Japan around the East Sea. Kor. J. Env. Eco. 25: 327-35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