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리산 중산리계곡 관속식물의 고도별 온도구배에 따른 수직 분포
Vertical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Jungsanri, Mt. Jiri by Temperature Gradient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4 no.6, 2010년, pp.680 - 707  

윤종학 (국립생물자원관 고등식물연구과) ,  김중현 (국립생물자원관 고등식물연구과) ,  오경희 (국립생물자원관 고등식물연구과) ,  이병윤 (국립생물자원관 고등식물연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리산 중산리지역의 고도별 온도변화에 따른 관속식물의 수직분포 및 분포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중산교(348m)에서 장터목(1,653m)까지 해발 100m단위로 등분하여 14개 구간에 대한 식물목록을 작성하였다. 2009년 4월부터 10월까지 조사한 결과 관속식물은 104과 287속 385종 7아종 42변종 6품종 총 440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해발700m(WI=$79.5^{\circ}C{\cdot}month$)를 경계로 관속식물의 출현종 수가 급격히 감소함과 동시에 귀화식물은 관찰되지 않았다. DCA방법에 의한 구간 간의 식물종 분포의 유사도는 고도에 따른 온도변화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제1축 (Eig.=0.76)에 대하여 해발 500m(WI=89), 700m(WI=80), 900m(WI=71), 1,200m(WI=60)를 경계로 5개 그룹으로 구분되어 배열되었다. 한편, 해발 1,200m 이상의 고해발 지역에서는 제2축(Eig.=0.25)에 대하여 해발 1,500m, 1,600m를 경계로 구분되어 배열되었다. 따라서 고도에 따라 구간 간 관속식물 분포의 유사성 및 상이성을 확인함으로써, 관속식물 종들의 고도별 생존 분포 양상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식물종의 분포가 변화하는 것은 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식물종은 생육지역의 온도에 따라 생존에 필수적인 호적범위 내에서 분포하므로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온상승은 현재 식물종의 분포범위를 변경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investigate vertical plant distribution on Jungsanri of Mt. Jirisan by temperature change, vascular plants of fourteen areas with 100-meter-high difference were surveyed from the Jungsan bridge(348 m alt.) to the Jangteumog(1653 m alt.). A total of 440 taxa belonging to 104 families, 287...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사지역의 해발고에 따른 식물종의 온도적 분포범위를 파악함과 동시에, DCA기법을 적용하여 조사구간 간 식물 종조성의 유사 관계 및 분포변화를 분석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식물종의 분포적 특성파악과 산림 식생 관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후 요인 중 식물종의 수직 분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호적범위의 결정인자는 일차적으로 기후 환경요소이며, 기후환경 다음으로 지형과 토양의 영향을 받으며, 환경인자 이외에 종간의 경쟁에 의하여 식물종의 분포역이 결정되기도 한다(Yim and Kim, 1992). 기후 요인 중에서 식물종의 수직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요인으로 온도의 차이인 것으로 확인되고 있으며(Yim, 1977a; Yun et al., 2008), 경사가 급한 사면 지역일수록 식물의 분포와 온도와의 관계를 파악하는데 좋은 연구 대상지역이 될 수 있다.
Yim and Kim(1992)에 따른 지리산 식생의 사면별 수직분포 범위를 종별, 군락별로 서술하시오. Yim and Kim(1992)은 지리산 식생에 대한 주요 식물 175종과 식물사회학적 방법에 의해 분류된 20개 식물군락에 대하여 사면별 수직분포 범위를 보고하였다. 이들의 수직분포 범위를 종별로 살펴보면 동백나무는 해발 200~350m, 졸참나무는 해발 200~1,200m, 신갈나무는 해발 600~1,800m, 구상나무는 해발 1,100~1,900m에서 분포하며, 식물군락의 분포를 살펴보면, 차나무-동백나무군락은 해발 200~300m, 졸참나무군락은 해발 400~800m, 신갈나무군락은 해발 900~1,400m, 산겨이삭-구상나무군락은 해발 1,350~1,850m에서 분포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이와 같이 지리산에 대한 식물상 및 식생 연구에서 식물종 분포의 다름이 확인되고 분포가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추론하고 있지만, 어떠한 요인이 분포변화에 역할을 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지 않다.
일차적으로 식물종의 분포를 결정하는 것은? 식물종은 무기환경에 대하여 각기 고유한 내성범위, 즉 생리적 호적범위(好適範圍)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호적범위가 일차적으로 식물종의 분포를 결정하게 된다. 호적범위가 극히 좁은 폭을 가지고 있는 식물종은 생육하고 있는 지역의 환경조건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환경 지표종으로서 이용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Benzecri, J.P.(1969) Statistical analysis as a tool to make patterns emerge from data. In Methodologies of pattern recognition, S. Watanable, Academic Press, New York, pp. 35-74. 

  2. Bray, J.R. and J.T. Curtis(1957) An ordination of the upland forest communities of southern Wisconsin. Ecological Monographs 27: 325-349. 

  3. Cho, H.S., K.S. Song, B.H. Han and E.H. Park(2000) Forest community structure of Yunhachon valley, Jiri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13(4): 382-39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Chung, T.H.(1957) Korean Flora. Vol. I and II. Shinjisa, Seoul. (in Korean) 

  5. Eom, A.H., Y.C. Cho, H.C. Shin and C.S. Lee(2004) Analyses of landscape and vegetation and ecological suggestion for the conservation of Mt. Songnisan National Park, Central Korea. J. Ecol. Field Biol. 27(3): 185-19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Flora of Korea Editorial Committee(2007)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Academy Publishing co., Seoul, 1,482pp. 

  7. Hatsusima, S.(1934) Preliminary report on the flowering plants and ferns colleted on the Nansen experimental forest of Kyushu imperial university. Kyushu imperial University. pp. 5-241. 

  8. Hill, M.O. and Gauch, H.G.(1980)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an improved ordination technique. Vegtatio. 43: 47-58. 

  9. Hong, K.H.(1987) Study of the herbaceous flora in Sunduryu area of Mt. Chirisan. Korea Univ. M.S. Thesis.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0. Jang. C.G., Y.Y. Kim, S.J. Ji, E. M. Ko, J.C. Yang, C.S. Jang, J.A. Eom, C.Y. Yoon, C.S. Chang, C.H. Lee, K.S. Kim and B.U. Oh(2007) The Floristic Study of Chirisan National Park in Korea. Korean J. Pl. Taxon 73(2): 155-19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im, D.P. and S.H. Choi(2004) Vegetation structure of mountain ridge from Gajisan to Neungdongsan in the Nakdong-jeongmaek. Kor. J. Env. Eco. 18(3): 279-28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Kim, G.T., G.C. Choo and G.J. Baek(2000b)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Myungsunbong, Tokp'yongbong area in Chirisan National Park(Abies koreana forest). Kor. J. Env. Eco. 13(4): 299-30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Kim, Y.D.(1975) The investigation of flowering plants and ferns in the northern side of the Mt. Jiri. I. Woody plants (Trees and Shrubs). Jinju A. & F. Jr. coll. 13: 79-86. 

  14. Kim, Y.D.(1976) The investigation of flowering plants and ferns in the northern side of the Mt. Jiri. II. Herbs (Dicotyledones). Jinju A. & F. Jr. coll. 14: 13-22. 

  15. Kim, Y.D.(1977) The investigation of flowering plants and ferns in the northern side of the Mt. Jiri. III. Ferns and herbs (Monocotyledones). Jinju A. & F. Jr. coll. 15: 235-242. 

  16. Kim, Y.S. and K.B. Yim(1991) Flora of the Hwaomsa Valley, Chirisan Nnational Park. Kor. J. Env. Eco. 5(1): 1-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Kim, Y.S., D.O. Yim, S.H. Chun, H.T. Shin and B.D. Kim(2000a) Vascular plants of east area in Chiri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13(4): 316-32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Kim, Y. S., H. K. Oh, M. H. Koh and M. S. Beon(2004) Vascular plants of east area in Girisan. -Areas in Georim Valley, Baekmudong Valley, Hanshin Valley, Jungsanri Valley- Kor. J. Env. Eco. 18(4): 415-43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Kira, T.(1948) On the altitudinal arrangement of climatic zones in Japan. Kanti-Nogaku 2: 147-173. 

  20. Korea Fern Society(2005) Ferns and Fern Allies of Korea. Geobook, Seoul. (in Korean) 

  21.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2009) Climatological stand normals of Korea. 

  22. Korea National Arboretum(2007)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23. Lee, E.B. and K.Y. Chung(1993) A floristic study of the northern part of Mt. Chiri. The report of KACN No. 31: 37-79. 

  24. Lee, K.J., J.O. Kwon and J.Y. Kim(2000) Plant community structure in Keolim valley of Chiri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13(4): 392-40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5. Lee, T.B.(1980)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in Korean) 

  26. Lee, T.B.(2003)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 II. Hyangmunsa, Seoul. (in Korean) 

  27. Lee, W.C. and Y.J. Yim(1978)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 Pl. Taxon. 8: 103-107. 

  28. Lee, W.T.(1996a) Lineamenta Florae Koreae. Academy Press, Seoul. (in Korean) 

  29. Lee, W.T.(1996b)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demy Press, Seoul. (in Korean) 

  30. Lee, Y.N.(1996) Flora of Korea. Gyohaksa, Seoul. (in Korean) 

  31. Lee, Y.N.(2006) New Flora of Korea. Vol. I, II. Gyohaksa, Seoul. (in Korean) 

  32. Ministry of Environment(2005) Endemic species of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pp. 325-417. (in Korean) 

  33. Ministry of Environment(2006) A guide to the Thir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pp. 114-155. (in Korean) 

  34. Ministry of Environment(2009) http://www.me.go.kr/ 

  35. Mussain, M.S., A. Sultana, J.A. Khan and A. Khan(2008) Species composition and community structure of forest stands in Kumaon Himalaya, Uttarakhand, India. Tropical Ecol. 49(2): 167-181. 

  36. Nakai, T.(1915) Report on the Vegetation of Mt. Chiisan. Government-General of Korea. 

  37. Oh, K.K. and Y.K. Jee(2000) Plant community structure by aspect and altitude at eastern district in Chiri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14(1): 67-7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8. Oh, K.K., Y.S. Kim, J.G. Oh and Y.B. Ki(2008) Dynamics of forest community structure at the valley of Piagol and Daeseonggol in the Jirisan National Park(I). Kor. J. Env. Eco. 22(5): 514-52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9. Oh, Y.C.(2006)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 Flora of Korea. Vol. 41. Monocotyledoneae, Cyperacea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oul. (in Korean) 

  40. Okamoto, S.(1961) The plants list of Mt. Chirisan in Chosen. Bull. Kyoto Univ. Forest 31: 13-161. 

  41. Orloci, L.(1975) Measurement of redundancy in species collection. Vegetatio. 31: 65-67. 

  42. Park, I.H., D.H. Lim and G.S. Moon(2000) Forest structure in relation to slope aspect and altitude in valley forests at Chiri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14(1): 11-1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3. Park, S.H.(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Seoul. (in Korean) 

  44. Raunkiaer, C.(1934) The life form of plants and stistical plant geography: Being the collected papers of C. Raunkiaer. Clarendon Press, Oxford. 

  45. Yim, Y.J. and J.U. Kim(1992) The vegetation of Mt. Chiri National Park. Chung-Ang Univ. Press, Seoul, 467pp. (in Korean) 

  46. Yim, Y.J. and T. Kira(1975)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climate in the Korean Peninsula. I. Distribution of some indices of thermal climate. Jap. J. Ecol. 25: 77-88. 

  47. Yim, Y.J. and T. Kira(1976)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climate in the Korean Peninsula. II. Distribution of climatic humidity/ aridity. J. Ecol. 25: 157-164. 

  48. Yim, Y.J.(1977a)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climate in the Korean Peninsula. III. Distribution of tree species along the thermal gradient. Jap. J. Ecol. 27: 177-189. 

  49. Yim, Y.J.(1977b)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climate in the Korean Peninsula. I.V. Zonal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in relation to thermal climate. Jap. J. Ecol. 27: 177-189. 

  50. Yun, J.H., T. Hukusima, M.H. Kim, M. Yoshikawa and H. Homma(2008) The comparative studies on the specie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of forest communities in the Korean Peninsula, northern Kyushu and the satellite islands. Vegetation Science 25: 75-93. 

  51. Zhang, G.S., R.Q. Wang and B.M. Song(2007) Plant community succession in modern Yellow River Delta, China. J. Zhejiang Univ. Sci. B. 8(8): 540-54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