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건소 건강증진 사업 중 한방육아교실의 운영과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Management and Effects of Children's Care Program with Traditional Korean Medicine in Public Health Center 원문보기

大韓韓醫學會誌 = Journal of Korean Oriental Medicine, v.33 no.1, 2012년, pp.52 - 67  

박은성 (전라남도 강진군 보건소) ,  문윤희 (전라남도 강진군 보건소) ,  김양희 (전라남도 강진군 보건소) ,  최경희 (전라남도 강진군 보건소) ,  장동욱 (전라남도 강진군 보건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and develop the contents of a children's care program with traditional Korean medicine in a public health center.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28 parents who participated in a children care program with traditional Korean medic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영유아의 건강발달과 증진을 위해 오감신체놀이를 실시하였다. 간단한 이론과 더불어 부모와 함께 집에서 할 수 있는 오감발달놀이와 손쉽게 할 수 있는 신체발달놀이를 함께 실시해봄으로 아동의 흥미를 유발하고 신체의 고른 발달을 유도하고자 하였다.
  • 한의약 건강증진 Hub보건소 사업 중에서도 하나인 한방육아교실은 육아에 대한 잘못된 민간지식을 교정하고 한의학적 육아법을 교육함으로 건강한 아이를 기르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이를 통한한의학에 대한 접근도를 높이고 체계적인 한의학적 건강관리로 인해 영유아의 건강증진과 양육자의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하며 지역사회의 건강증진에 이바지하고자 하였다.
  • 마지막으로 세 번째 원칙인 지속성을 가지는 프로그램 구성으로는 프로그램의 종료 후 3개월에 한번씩 2012월 6월까지 총 3회에 걸쳐 사후관리를 하기로 하였고 인프라 구축으로 연계된 지역의료 프로그램이나 드림스타트 프로그램을 연계하여 지속적인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계획하였다. 또한 지속성이 가장 필요하다고 보았던 저소득층 대상이었던 아동시설원생은 주 1회 6개월 동안 진료 및 치료를 프로그램화하여 지속성을 높이고자 하였다(Fig. 14).
  • 아동의 발달에 따른 두뇌의 발달을 단계적으로이해하고 이에 따른 각각의 적합한 놀이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생활속에서 쉽게 뇌를 자극하고 발달할 수 있는 두뇌자극놀이와 손가락, 신문지, 찰흙놀이 등을 통한 발달에 대해 배우고 체험하게 하였다.
  • 아이와의 정서와 인지발달을 위한 단계와 적절한부모의 대응법, 자녀의 눈높이를 이해한 대화법을 강의하고 따라해 봄으로 아이의 정서를 안정화시키고 발달을 촉진하고자 하였다. 또한 아이의 특징을 이해하고 화를 없애는 대화, 두려움을 없애는 대화, 부모와의 친밀감을 높이는 대화 스킬을 강의하였다.
  • 한의약 건강증진 Hub보건소 사업 중에서도 하나인 한방육아교실은 육아에 대한 잘못된 민간지식을 교정하고 한의학적 육아법을 교육함으로 건강한 아이를 기르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이를 통한한의학에 대한 접근도를 높이고 체계적인 한의학적 건강관리로 인해 영유아의 건강증진과 양육자의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하며 지역사회의 건강증진에 이바지하고자 하였다.
  • 해당 보건소에서 시행한 한방육아교실은 필수 5대 사업 중 하나로 2011년 6월부터 9월까지 양육자의 삶의 질 증가와 영유아의 건강증진이라는 목표 하에 시행되었다. 그러나 해당 보건소 역시도 다른 보건소와의 유사한 문제인 표준 프로토콜의 부재와 잦은 전담인력의 교체로 프로그램의 연속성이 없었고 프로그램의 구성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의약 건강증진Hub보건소에서 추진하고 있는 사업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현재 253개 보건소1) 중에서 한의약 지역보건사업을 실시하고 있는 보건소는 204개 이며 그 중에서도 70개 보건소가 한의약 건강증진Hub보건소로 지정되어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사업은 필수5대사업과 지역특화사업으로 이루어지며 필수사업은 중풍예방교실, 사상체질교실, 가정방문진료, 기공체조교실, 한방육아교실이며 특화사업은 지역의 특성에 맞게 한방금연교실, 한방요실금교실, 한방월경통교실, 한방관절염교실 등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사업전담인력의 부족과 잦은 교체, 인식의 부족, 표준화된 프로토콜, 평가 및 모니터링의 부재 등이 지속적인 문제점으로 제기되고 있어 많은 관심과 해결책이 요구되고 있다.
만성퇴행성질환이 증가하게 된 배경은? 최근 인구의 저출산 고령화 추세와 생활양식의 변화로 인한 만성퇴행성질환의 증가는 우리사회의 다양한 문제를 야기한다. 또한 노인환자의 증가와 만성질환의 증가는 의료비의 증가와 사회구조의 문제 등의 단순한 현상의 문제를 넘어 효율적인 재정운용, 포괄적인 문제접근과 새로운 해결책을 요구하고 있다.
한의약 건강증진Hub보건소은 몇 년도부터 도입되었는가? 한의약 공공보건사업은 한의약 지역보건사업, 한의약 건강증진Hub보건소 사업, 한방기능보강사업, 공공의료기관 한방진료부설치사업으로 구성되며, 1998년 농어촌지역에 처음으로 공중보건한의사가 배치된 이래 현재까지 지역주민 건강증진과 예방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 중에서도 2005년부터 보건복지부에 의해 도입된 한의약 건강증진Hub보건소 사업은 한방건강증진사업의 중점적 사업으로 우리나라의 전통의료로 지역사회 건강증진과 삶의 질 향상의 목표 하에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현재 253개 보건소1) 중에서 한의약 지역보건사업을 실시하고 있는 보건소는 204개 이며 그 중에서도 70개 보건소가 한의약 건강증진Hub보건소로 지정되어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보건복지부. 2011년 한의학 공공보건사업 안내. 보건복지부. 2011. 

  2. Fordyce, W. E. (1988), Pain and Suffering: A Reappraisal. American Psychologist, 43,276-283. 

  3. Aber, Belsky, Slade., & Crinic. (1999). Stability and change in mother's representations of their relationship. Developmental psychological. 4. 1038-1047. 

  4. Rosenberg, M., Leonard I. Pearlin. Social Class and Self-Esteem Among Children and Adults,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84. 53-55. 

  5. 한정원. 정서 표현성이 건강 및 주관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7. 

  6. 이혜선. 편부모가정 아동의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7. Roh NS.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a Family Play Therapy Program for Attachment Improvement Using Puppet. Seoul. Myongji University. 2010. 

  8. Yim JT, Lee SR. A Research on the State of Korean Medical Doctor Working at Public Health Center and an Attitude Survey of Patients Visiting Korean Medical Doctor's Clinic for Treatment. Korea Journal of Acupuncture. 2001;18(2):89-100. 

  9. Yoo KS, Kim MJ. A study on the current atatus of oriental medical care services in health centers and implication for its expans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01; 18(2):157-168. 

  10. Choi HS. Survey on the Satisfaction Status of the Oriental Medical Service Rendered by Health Center in Kyung-ki Province. Kim hea. Inje University.. 2003. 

  11. Roh HP, Sul IC, Kim YS. The Statistical Analyses of Oriental Medical Office of Sub-health Center During Recent 3 years. 大田大學校 韓醫學硏究所 論文集. 2004;13(2):213-219. 

  12. Moon HG. Sul IC, Kim YS. The Statistical Analyses of Oriental Medical Office in a Public Health Center of Dalseong-gun, Daegu Metropolitan City During Recent 3 years. 大田大學校 韓醫學硏究所 論文集. 2005;14(2):93-105. 

  13. Kim SJ. A Study on the Working Practice and Satisfaction of Public Health Oriental Medical Doctors. Pochen. Cha Medical University. 2006. 

  14. Lee BK. Analysis of the satisfaction degree of users of oriental medical service in public health center. Deaku. kyemyeong University. 2007. 

  15. Byen MH. A Study on the Satisfaction in Using the Combination Treatment of Oriental medicinemedicine in the Public Health Center of a Large City. Deaku. kyongbuk University. 2009. 

  16. 장동민. 한방지역보건사업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THE STUDIES OF HUMANITIES &SOCIAL SCIENCES. 2001; 8(1):317-335. 

  17. Han CH, Jung DS, Park SJ, Kwon YK Vitalization Measures of the Class for Qi-gong Gymnastics in the Public Health Center. J Korean Oriental Med. 2004;13(1):1-167. 

  18. Choi KJ, Kim HJ, Ahn SW. A Research on the improvement measures about Community-based Korean medical public health service in public service center. J Korean Oriental Med. 2004;10(2):107-117. 

  19. Cho WY. A study on actual condition og oriental medical health promotion program in the health center. Kyengsan. Deaku Orienatl Medical University. 2007. 

  20. Lee SJ, Han DW, Yoon TH, Song KM, Kim YS. Perception of Health Center Staff on Health Promotion Programme Using Traditional Korean Medicine. J Korean Oriental Med. 2007;28(3):1-12. 

  21. Shin HT. Utilization and Improvement of 8 Principle TKM Public Health Services in Rural Areas of Korea. Korean journal of oriental preventive medical society. 2007;11(1):23-34. 

  22. Go HY. Study of Efficacy of Gigong Program in Health Promotion Service Programs. J Korean Oriental Med. 2010;31(4): 141-150. 

  23. Lee JS. The Study on Recognition of Traditional Korean Medical Public Health Program in Public Health Oriental Medical Doctors. Iksan. Woonkyang University. 2010. 

  24. Kim CH. An Analysis of Effects on Vision Care Program Including Traditional Korean Treatmen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J Korean Oriental Med.. 2011;32(2):92-10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