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채소 및 과일의 섭취가 백내장 유병율에 미치는 영향 : 2012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Intake of fruits and vegetables may modify the risk of cataract in Korean males: data from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2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51 no.5, 2018년, pp.423 - 432  

이은경 (전남대학교 식품영양과학부 및 생활과학연구소) ,  최정화 (계명대학교 식품보건학부 식품영양학전공) ,  허영란 (전남대학교 식품영양과학부 및 생활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중 안검진이 가장 처음 진행된 2012년 자료를 바탕으로 남성 1,332명 (환자 222명) 및 여성 2,012명 (환자 337명)에서 나타난 채소 및 과일류 섭취 종류와 수준이 백내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남자 대상자의 낮은 TVF, TV, NSV, NSVF 섭취량은 백내장 위험을 약 1.4 ~ 1.7배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여자 대상자에서는 식이섭취와 백내장 위험도의 사이에 의미있는 상관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는 한국인 남성의 백내장 위험률 감소를 위해 충분한 채소와 과일을 섭취이 권장되며, 이를 위해 다양한 보건 영양 정책의 개발과 효과적 시행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Cataract is a major cause of a loss of eye sight, and is a critical health issue in an aging society. The oxidative stresses to the lens due to various exterior/interior stimuli leads to degenerative changes of the visual system, resulting in cataract. Therefore, reducing the level of oxid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한국의 대표적 대규모 질환 연구 코호트인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남녀에서 나타나는 채소류 및 과일 섭취 종류 및 수준이 백내장 위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백내장은 무엇인가? 백내장은 눈 속의 카메라 렌즈에 해당하는 수정체가 혼탁해지는 질환이다. 백내장은 주로 40대 이후에 발병하는데, 미국의 경우 40대 이상에서 약 2천 50만 명, 80세 이상의 연령에서는 약 50% 이상이 백내장을 앓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식생활 관련 백내장 위험도 연구에서 남성과 여성의 결과가 다른 이유는? 이러한 남성과 여성 사이의 식생활 관련 백내장 위험도에 관한 차이는 다음과 같이 해석될 수 있다. 남자와 여자는 건강에 관한 관심과 지식수준이 다르며, 이에 따르는 건강 행동 및 결과 역시 차이를 보인다. 19 여성의 경우 남성들보다 체형과 미용에 관한 관심이 높고, 건강한 식생활을 유지하려는 경향성이 높다. 19 이러한 건강에 관한 관심은 남자보다 여자에게서 전반적인 채소류 및 과일류의 섭취 권장량 및 기준량 이상 섭취자의 비율을 높여, 백내장 위험도와 유의적인 관계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추측된다.
다양한 채소류 및 과일의 충분한 섭취는 어떤 효과가 있는가? 다양한 채소류 및 과일의 충분한 섭취는 백내장을 비롯한 대사증후군, 심혈관 및 암 질환에서 보호 예방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이에 대한 다양한 식사 지침들이 수립되어 사용되고 있다. 세계암연구재단 (World Cancer Research Fund, WCRF)에서는 개인의 건강증진을 위해 과일과 채소 (전분성 채소, 염장채소는 제외한 것)를 하루 최소 400 g 이상 섭취할 것을 권장하고 있으며, 10 우리나라에서는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Health Plan, HP) 2020에 균형잡힌 식생활 실천과 만성질환의 예방 및 관리를 위한 방안의 하나로 과일과 채소를 1일 500 g 이상 섭취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National Eye Institute (US); Prevent Blindness America. Vision problems in the U.S. Prevalence of adult vision impairment and age-related eye disease in America. 2008 update to the fourth edition [Internet]. Chicago (IL): Prevent Blindness America; 2008 [cited 2018 Aug 8]. Available from: http://www.preventblindness.org. 

  2. Korean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omestic health and welfare news. Health Welf Policy Forum 2015; (229): 93-122. 

  3. Seddon J, Fong D, West SK, Valmadrid CT. Epidemiology of risk factors for age-related cataract. Surv Ophthalmol 1995; 39(4): 323-334. 

  4. Chang JR, Koo E, Agron E, Hallak J, Clemons T, Azar D, Sperduto RD, Ferris FL 3rd, Chew EY; Age-Related Eye Disease Study Group.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incident cataracts and cataract surgery in the Age-related Eye Disease Study (AREDS): AREDS report number 32. Ophthalmology 2011; 118(11): 2113-2119. 

  5. McCarty CA, Mukesh BN, Fu CL, Taylor HR. The epidemiology of cataract in Australia. Am J Ophthalmol 1999; 128(4): 446-465. 

  6. Beebe DC. Nuclear cataracts and nutrition: hope for intervention early and late in life. Invest Ophthalmol Vis Sci 1998; 39(9): 1531-1534. 

  7. Theodoropoulou S, Samoli E, Theodossiadis PG, Papathanassiou M, Lagiou A, Lagiou P, Tzonou A. Diet and cataract: a case-control study. Int Ophthalmol 2014; 34(1): 59-68. 

  8. Rautiainen S, Lindblad BE, Morgenstern R, Wolk A. Total antioxidant capacity of the diet and risk of age-related cataract: a population-based prospective cohort of women. JAMA Ophthalmol 2014; 132(3): 247-252. 

  9. Sedaghat F, Ghanavati M, Nezhad Hajian P, Hajishirazi S, Ehteshami M, Rashidkhani B. Nutrient patterns and risk of cataract: a case-control study. Int J Ophthalmol 2017; 10(4): 586-592. 

  10. World Cancer Research Fund; American Institute for Cancer Research. Summary. In: Food, Nutrition, Physical Activity, and the Prevention of Cancer: a Global Perspective. Washington, D.C.: WCRF/AICR; 2007. p.xiv-xxi. 

  1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third national health promotion plan (2011-2020) in Korea. Seoul: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1. 

  12. Lam D, Rao SK, Ratra V, Liu Y, Mitchell P, King J, Tassignon MJ, Jonas J, Pang CP, Chang DF. Cataract. Nat Rev Dis Primers 2015; 1(1): 15014. 

  13. Babizhayev MA, Deyev AI, Linberg LF. Lipid peroxidation as a possible cause of cataract. Mech Ageing Dev 1988; 44(1): 69-89. 

  14. Bloemendal H, de Jong W, Jaenicke R, Lubsen NH, Slingsby C, Tardieu A. Ageing and vision: structure, stability and function of lens crystallins. Prog Biophys Mol Biol 2004; 86(3): 407-485. 

  15. Palmquist BM, Philipson B, Barr PO. Nuclear cataract and myopia during hyperbaric oxygen therapy. Br J Ophthalmol 1984; 68(2): 113-117. 

  16. Rao LG, Rao AV. Oxidative stress and antioxidants in the risk of osteoporosis: role of the antioxidants lycopene and polyphenols. In: Valdes-Flores M, editor. Topics in Osteoporosis. Rijeka: InTech; 2013. p.117-161. 

  17. Rizvi SI, Pandey KB. Activation of the erythrocyte plasma membrane redox system by resveratrol: a possible mechanism for antioxidant properties. Pharmacol Rep 2010; 62(4): 726-732. 

  18. Ahn SE, Jun SY, Kang MJ, Shin SA, Wie GA, Baik HW, Joung HJ. Association between intake of antioxidant vitamins and metabolic syndrome risk among Korean adults. J Nutr Health 2017; 50(4): 313-324. 

  19. Westenhoefer J. Age and gender dependent profile of food choice. Forum Nutr 2005; (57): 44-51. 

  20. Lim H, Kim SY, Wang Y, Lee SJ, Oh K, Sohn CY, Moon YM, Jee SH. Preservation of a traditional Korean dietary pattern and emergence of a fruit and dairy dietary pattern among adults in South Korea: secular transitions in dietary patterns of a prospective study from 1998 to 2010. Nutr Res 2014; 34(9): 760-770. 

  21. Kwon JH, Shim JE, Park MK, Paik HY. Evalu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intake for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 in Korean adults aged 30 years and over: using the Third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II), 2005. Korean J Nutr 2009; 42(2): 146-157. 

  22. Kim EK, Ha AW, Choi EO, Ju SY. Analysis of Kimchi, vegetable and fruit consumption trends among Korean adults: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998-2012). Nutr Res Pract 2016; 10(2): 188-197. 

  23. Song DY, Park JE, Shim JE, Lee JE. Trends in the major dish groups and food groups contributing to sodium intake i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998-2010. Korean J Nutr 2013; 46(1): 72-85. 

  24. Bae JH, Shin DS, Lee SC, Hwang IC. Sodium intake and socioeconomic status as risk factors for development of age-related cataracts: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PLoS One 2015; 10(8): e01362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